▣ 오피니언 칼럼
*제132회 - " 문화융성 시대, 지식산업 초라한 성적표 "
영광도서
0
555
2016.12.01 13:07
‘책 안 읽는 한국’은 하루 이틀 이야기가 아니다. 출판계에는 ‘단군 이래 최대 불황’이란 말이 상투어가 됐다. 이를 증명하는 또 하나의 통계가 나왔다. 27일 통계청이 발표한 가계동향조사를 보면 지난해 전국 2인 이상 가계가 책을 구입하는 데 쓴 비용은 월평균 1만8690원이었다. 이는 11년 만에 최저 수준이다. 가구당 한 달 책 구입비용은 2003년 월 2만6346원에서 2004년 2만1325원으로 떨어진 뒤 2012년부터 1만원대에 머물고 있다. 대한출판문화협회 발표에 따르면 지난해 도서 평균 정가가 1만4678원이었다고 하니, 한 가정에서 한 달에 구입한 책이 채 2권이 안 되는 셈이다.
문화체육관광부가 2년마다 실시하는 ‘국민독서실태조사’에서 2013년 성인의 연평균 독서량은 9.2권이었다. 2011년보다 0.7권 줄었다. 성인의 하루 평균 독서 시간은 23.5분으로 2011년보다 2.4분 짧았다. 사는 사람이 줄어드니 제작도 감소한다.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 조사 결과 2012년 한국 출판사들의 도서 초판 인쇄부수는 2733부로 3000부에 미치지 못했다. 2002년의 평균 5550부와 비교하면 절반 수준이다. 올해는 지방선거와 월드컵, 아시안게임 등의 대형 행사가 줄지어 기다리고 있다. 출판계의 성적은 더 나빠질 것이란 우려가 높다.
사람들이 책을 멀리하는 이유로는 TV와 영화 등 영상매체의 발달, 인터넷·스마트폰의 일상화 등이 꼽힌다. 지하철에서 책 읽는 사람을 찾아보기 힘들게 된 지 오래다. 이와 함께 경기불황과 점점 치열해지는 경쟁 속에서 사람들이 책을 펼쳐들 금전적·심리적 여유를 잃어버린 것도 중요한 원인으로 보인다. 문화체육관광부 조사에서도 평소 책 읽기를 어렵게 하는 요인으로 성인과 학생 모두 ‘일이나 공부 때문에 시간이 없어서’라는 응답이 39.5%로 가장 많았다. 소득수준별 도서구입 금액에도 차이가 나타난다. 지난해 소득 하위 20%인 1분위 가계는 책을 사는 데 월평균 5278원을 써 1년 전보다 12.9% 감소했다. 반면 상위 20%에 속한 5분위 가계는 3만160원을 지출해 1년 전보다 9.0% 늘었다. 책 읽기의 ‘부익부 빈익빈’ 현상이다.
문화융성 시대의 기반에는 책이 있다. 책을 통해 다른 세상을 만나고 다른 이의 삶을 이해함으로써 나만의 통찰과 창조력을 키울 수 있다는 건 상식이다. ‘그런데도 왜 책을 안 읽는가’라고 탓하기보다 책을 읽고 싶게 하는, 보다 다채로운 환경을 만들어내야 할 때다. 정부가 추진 중인 독서동아리 활성화, 대중 독서프로그램 지원 등도 중요하다. 하지만 그 바탕에는 퇴근 후 한 권의 책을 집어들 수 있는 마음의 여유, 그것을 가능하게 하는 사회 분위기가 조성돼야 할 것 같다.
[중앙일보 2014.4.28 취재일기 -이영희 문화스포츠부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