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피니언 칼럼
*제141회 - " 마키아벨리에게 배우는 독서 "
영광도서
0
564
2016.12.01 13:07
독서서에 대한 유명한 문구나 일화를 남긴 저자가 많이 있다. 그래도 그 가운데 마키아벨리의 이름을 발견한다면 다소 의외일지 모르겠다. 『군주론』의 저자 말이다. 권모술수의 대명사로 오해받아왔지만 위대한 정치사상가로서 한창 재조명되고 있다. 위대한 정치사상가라는 타이틀에 견주면 사소하지만 그는 위대한 독서가이기도 했다. 1513년 마흔네 살에 쓴 한 편지에서 그는 저녁에 귀가하여 서재로 들어가는 모습을 이렇게 묘사한다. “문가에 그날 입었던 진흙과 진창으로 더럽혀진 옷을 벗어두고, 위풍당당한 궁정풍의 옷을 입지.”
마키아벨리에게 서재는 고대의 대가들을 만날 수 있는 고대 궁전이다. 고대의 대가들을 더럽혀진 옷을 아무렇게나 입고서 만날 수는 없는 노릇이다. 궁전에 초대받은 기분으로 입성하려면 최대한 격식을 갖출 필요가 있다. ‘위풍당당한 궁정풍의 옷’은 그래서 필요하다. 대가들과 만찬을 나누며 그들과 같은 수준의 고담준론을 나누기 위한 ‘드레스 코드’다.
서재에서, 아니 궁전에서 마키아벨리는 무엇을 하는가. 일단은 따뜻한 환대를 받으면서 품위 있는 식사를 한다. 끼니를 때우는 식사가 아니라 나름대로 잘 준비된 식사여야 한다. 그리고 대가들과 서슴없이 대화를 나눈다. 옆에서 지켜본다면, 대화라는 건 책장을 이곳저곳 펼치는 것이겠지만 마키아벨리는 독서를 대가들에게 질문을 건네고 그들의 대답을 경청하는 과정으로 이해한다. 이 과정은 그에게 더할 수 없는 만족감을 가져다 준다. 그는 이렇게 적었다. “그곳에 머무르는 네 시간 동안 나는 지루함을 전혀 느끼지 않고, 모든 고통을 잊어버리고, 빈곤을 두려워하지 않으며, 죽음도 두려워하지 않는다네.”
이 정도면 역사에 남을 만한 독서 아닐까. 마키아벨리를 오늘날에도 독서가의 모범으로 삼아야 할지는 모르겠지만 우리 주변에서 점점 찾아보기 어려운 모습인 건만은 분명하다. 조건도 충족되어야 한다. 궁전에 견줄 만한 자기만의 서재가 있어야 하고, 저자들에 대한 상당한 존경심을 갖고 있어야 하며, 그들과 어울릴 자격이 있다는 자부심도 갖춰야 한다. ‘죽음도 두려워하지 않는’ 독서의 비결이다. 물론 우리와는 무관해 보이는 비결이다.
이젠 새로운 소식도 아니지만 한국은 ‘책 안 읽는 사회’ 혹은 ‘독서 안 하는 나라’의 대명사가 되어 가고 있다. 먹고살 만한 수준의 나라들에 대한 독서량 조사에서 매번 꼴찌를 도맡고 있다. ‘2013년 국민독서실태조사’에서도 20대 이상은 연간 9.2권을 읽었다. 평균 잡아 ‘한 달에 한 권’에도 눈에 띄게 못 미치는 수치다. 글을 읽을 줄 아는 인구의 비율이 가장 높은 축에 속하는 나라이면서 성인 독서량이 이토록 저조한 나라는 전 세계에 다시 없다. ‘책을 가장 적게 읽기’ 월드컵이라도 있다면 막강한 우승 후보다. 문제는 그래도 좋은가이다.
우리에게 다소 위안이 되는 얘기일지 모르겠지만 독서를 많이 한다고 해서 더 훌륭한 인격을 갖게 되는지는 불확실하다. 유대인 학살을 자행한 나치의 수용소에서도 독일군 사령관은 틈나는 대로 괴테를 읽고 있었다고 하니 독서의 효과는 분명 제한적일 것이다. 일찍이 책은 거울과 같기 때문에 “거울에 당나귀를 비추면서 성직자의 모습이 나타나길 기대할 수 없다”고 일갈한 과학자도 있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로선 ‘책을 읽는 당나귀’가 좀 더 나은 선택이라고 믿는다. 적어도 ‘책을 읽을 자유’는 갖게 되기 때문이다. 이 자유는 권리의 의미도 갖는다.
마키아벨리의 독서론이 시사하듯 우리는 독서를 통해 고대의 대가들뿐만 아니라 온갖 지식의 거장들, 그리고 지혜의 현인들과 만날 수 있다. 당장 내달 방한이 예정돼 있는 프란치스코 교황의 책도 많이 나와 있기에 직접 바티칸을 방문하지 않더라도 그의 생각과 메시지를 만나볼 수 있다. 교황 역시 단테의 『신곡』은 물론 톨킨의 『반지의 제왕』까지 섭렵한 상당한 독서가이다. 독서를 통해서라면 교황과도 마주앉아 질문과 대답을 주고받을 수 있는 기회가 우리에겐 활짝 열려 있다. 그런 기회를 아낌없이 걷어찬다면 그냥 ‘당나귀 인증’이랄 수밖에 설명의 여지가 없다. 그래도 좋다면야!
[2014.7.29 중앙일보 삶의 향기 - 이현우 북칼럼니스트]
마키아벨리에게 서재는 고대의 대가들을 만날 수 있는 고대 궁전이다. 고대의 대가들을 더럽혀진 옷을 아무렇게나 입고서 만날 수는 없는 노릇이다. 궁전에 초대받은 기분으로 입성하려면 최대한 격식을 갖출 필요가 있다. ‘위풍당당한 궁정풍의 옷’은 그래서 필요하다. 대가들과 만찬을 나누며 그들과 같은 수준의 고담준론을 나누기 위한 ‘드레스 코드’다.
서재에서, 아니 궁전에서 마키아벨리는 무엇을 하는가. 일단은 따뜻한 환대를 받으면서 품위 있는 식사를 한다. 끼니를 때우는 식사가 아니라 나름대로 잘 준비된 식사여야 한다. 그리고 대가들과 서슴없이 대화를 나눈다. 옆에서 지켜본다면, 대화라는 건 책장을 이곳저곳 펼치는 것이겠지만 마키아벨리는 독서를 대가들에게 질문을 건네고 그들의 대답을 경청하는 과정으로 이해한다. 이 과정은 그에게 더할 수 없는 만족감을 가져다 준다. 그는 이렇게 적었다. “그곳에 머무르는 네 시간 동안 나는 지루함을 전혀 느끼지 않고, 모든 고통을 잊어버리고, 빈곤을 두려워하지 않으며, 죽음도 두려워하지 않는다네.”
이 정도면 역사에 남을 만한 독서 아닐까. 마키아벨리를 오늘날에도 독서가의 모범으로 삼아야 할지는 모르겠지만 우리 주변에서 점점 찾아보기 어려운 모습인 건만은 분명하다. 조건도 충족되어야 한다. 궁전에 견줄 만한 자기만의 서재가 있어야 하고, 저자들에 대한 상당한 존경심을 갖고 있어야 하며, 그들과 어울릴 자격이 있다는 자부심도 갖춰야 한다. ‘죽음도 두려워하지 않는’ 독서의 비결이다. 물론 우리와는 무관해 보이는 비결이다.
이젠 새로운 소식도 아니지만 한국은 ‘책 안 읽는 사회’ 혹은 ‘독서 안 하는 나라’의 대명사가 되어 가고 있다. 먹고살 만한 수준의 나라들에 대한 독서량 조사에서 매번 꼴찌를 도맡고 있다. ‘2013년 국민독서실태조사’에서도 20대 이상은 연간 9.2권을 읽었다. 평균 잡아 ‘한 달에 한 권’에도 눈에 띄게 못 미치는 수치다. 글을 읽을 줄 아는 인구의 비율이 가장 높은 축에 속하는 나라이면서 성인 독서량이 이토록 저조한 나라는 전 세계에 다시 없다. ‘책을 가장 적게 읽기’ 월드컵이라도 있다면 막강한 우승 후보다. 문제는 그래도 좋은가이다.
우리에게 다소 위안이 되는 얘기일지 모르겠지만 독서를 많이 한다고 해서 더 훌륭한 인격을 갖게 되는지는 불확실하다. 유대인 학살을 자행한 나치의 수용소에서도 독일군 사령관은 틈나는 대로 괴테를 읽고 있었다고 하니 독서의 효과는 분명 제한적일 것이다. 일찍이 책은 거울과 같기 때문에 “거울에 당나귀를 비추면서 성직자의 모습이 나타나길 기대할 수 없다”고 일갈한 과학자도 있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로선 ‘책을 읽는 당나귀’가 좀 더 나은 선택이라고 믿는다. 적어도 ‘책을 읽을 자유’는 갖게 되기 때문이다. 이 자유는 권리의 의미도 갖는다.
마키아벨리의 독서론이 시사하듯 우리는 독서를 통해 고대의 대가들뿐만 아니라 온갖 지식의 거장들, 그리고 지혜의 현인들과 만날 수 있다. 당장 내달 방한이 예정돼 있는 프란치스코 교황의 책도 많이 나와 있기에 직접 바티칸을 방문하지 않더라도 그의 생각과 메시지를 만나볼 수 있다. 교황 역시 단테의 『신곡』은 물론 톨킨의 『반지의 제왕』까지 섭렵한 상당한 독서가이다. 독서를 통해서라면 교황과도 마주앉아 질문과 대답을 주고받을 수 있는 기회가 우리에겐 활짝 열려 있다. 그런 기회를 아낌없이 걷어찬다면 그냥 ‘당나귀 인증’이랄 수밖에 설명의 여지가 없다. 그래도 좋다면야!
[2014.7.29 중앙일보 삶의 향기 - 이현우 북칼럼니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