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복현의 나를 찾는 여행
| 최복현 |
정월 초하루,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까치 까치 설날은 어저께고요. 우리 우리 설날은 오늘이에요."
설날이 바짝 다가옵니다. 이미 새해 인사는 할 만큼 했는데, 새삼스럽게 새해 인사를, 아니 제대로 새해 인사는 이제부터라는 생각이 들게끔 하는 설날이 내일 모레입니다. 고향 갈 이들은 고행 가는 일로, 다른 계획을 잡은 이들은 그 일로 마음이 싱숭생숭할 터이니, 오늘은 구구한 이야기 말고 설날의 의미를 생각해 보자고요.
양력 1월 1일엔 새해라는 말을 쓰고, 음력 1월 1일에라야 정월초하루라고, 게다가 설날이라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1월 1일이란 문자는 분명 같은데 하나는 1월이고 다른 하나는 정월이라고 하는 이유, 하나에만 설날이라고 하는 이유, 피상적으로는 같으나 달리 부른다면 그 부르는 이유가 있을 겁니다. 예로부터 이 날을 원단, 세수, 연수, 설이라고 합니다. 그러니까 1월 1일은 딱히 달리 부는 이름이 없다가 정월 초하루에는 이처럼 여러 가지로 부릅니다. 거의 음력으로 이 한 달엔 매일 매일 다른 풍속들이 줄을 잇기도 합니다. 이를 세시풍속이라고 하고요. 차례라는 형식으로 조상에게 인사를 하는 것으로 시작하여, 부모는 물론 가족 내 웃어른, 동네 어른들에게 세배를 하는 것도 이 날입니다. 그러면서 서로 복 받으라는 말를 시작으로 덕담을 주고받습니다. 새해에 복을 서로 기원해줍니다.
어원으로 따져서 설운 날이라고 하는 이도 있습니다. 음력 설이 지나야 진정 나이 한 살 더 먹은 것으로 생각하니, 그게 서럽다는 의미라는 것이지요. 서럽다의 원형에서 이를 수식어로 바꾸면 서러운에서 설운 으로 볼 수 있으니까요. 또한 소리나는 대로 보면 설익은 말에서 보듯 낯설다의 의미도 있겠네요. 새로운 날을 맞으니 낯설음은 당연하니 말입니다. 그뿐만이겠어요. 새 날이 오니 그냥 앉아 있을 수 없으니 일어서서 뭔가를 시작해야 겠지요. 그러니 일어서다의 의미인 서다를 줄여서 설이란 말일 수도 있을 테지요. 그러니 나이를 더 먹어 서러운 설, 처음으로 맞는 날이라 낯설은 설, 움직여야 하기에 서야 하는 설, 어떤 의미로 받아들이든 설날입니다.
어떤 의미이든 우리나라는 1월 1일은 그냥 새해 정도로 받아들였으나 설날은 여러 형식을 행하는 날로 받아들이고 있습니다. 평소에 잊고 지내던 친척들이거나 가족들이 서로 만납니다. 잊고 있던 이들에게 안부를 묻고 새해란 말에 복을 얹어 기원을 전합니다. 돌아가신 부모뿐 아니라 조상들을 떠올리며 세상으로 새삼 다시 모시는 날도 이날입니다. 그리 많지도 않게 이 설날이나 추석날에라야 조상들을 불러냅니다. 소위 제사를 드리는 게 아니라 차례를 지내는 것이지요. 이를테면 과거 중에서도 먼 과거와 현재와 미래가 함께 만나는 날이 이 날 아닌가 합니다.
아! 또 있습니다. 먹고 살기 어려웠던 시절엔 설날 이 날만엔 그래도 흰쌀밥을 먹을 수 있는 날이었고, 옷이라도 새옷 한 벌 얻어입는 날이었고 아주 작은 돈이지만 세뱃돈을 받는 날도 이 날이었으니까요. 이런 추억을 안고 사는 이들이 물론 조금씩 밀려나는 시절에 살고 있긴 하지만, 어린 아이들에게 참 좋은 날이 설날이었습니다. 그 많은 추억을 안고 많은 이들이 고향으로 달려가거나 그렇지 못한 이들도 있겠지요. 설날의 의미를 어떻게 받아들이든 이왕이면 좋은 의미로 받아들여서 다시 서는 설이었으면 좋겠습니다. 낯설기 때문에 새로운 희망 안는 날, 희망이 있으니 다시 서는 날로 설을 받아들이자고요.
로마신화에 나오는 신들 중 야누스가 바로 정월 초하루의 신이랄 수 있습니다. 똑같은 얼굴을 앞뒤로 갖고 있어서 신들 중 유일하게 자신의 등을 볼 수 있는 신입니다. 부정적인 의미의 신이 이나라 앞뒤를 똑같이 볼 수 있는 신이지요. 달리 말하면 앞뒤를 동시에, 시간적으로는 과거외 미래를 동시에 볼 수 있으니, 그 중심에 선 신이 야누스 아니겠어요. 이쯤에서 중심을 잡고 서서 과거를 돌아보며 반성하여, 앞으로는 시행착오를 하지 않고 제대로 서는 날로 받아들이면 좋겠지요. 잘 서는 설로 맞이하자는 것이지요.
고향 잘 다녀오세요. 나처럼 고향에 갈 일이 없다면, 새로운 날들 한 날 한 날을 낯설어서 두려워할 게 아니라, 새롭기에 희망찬 날들로, 설레는 날들로 하루 하루를 맞는 그 원단이기를 바랍니다.
눈으로 볼 수는 없지만 마음으로 큰 절 드리니 절 받으세요.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