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윤환의 삶과 생각
|
김윤환 |
*제68회 - " 나를 키운 건 팔할이 바람이다 "
영광도서
0
3,758
2016.12.01 03:45
나를 키운 건 팔할이 바람이다.
애비는 종이었다. 밤이 깊어도 오지 않았다.
파뿌리같이 늙은 할머니와 대추꽃이 한 주 서 있을 뿐이었다.
어매는 달을 두고 풋살구가 꼭 하나만 먹고 싶다 하였으나… 흙으로 바람벽 한 호롱불 밑에
손톱이 까만 에미의 아들
갑오년(甲午年)이라든가 바다에 나가서는 돌아오지 않는다 하는 외할아버지의 숱 많은 머리털과
그 커다란 눈이 나는 닮았다 한다.
스물세 해 동안 나를 키운 건 팔할(八割)이 바람이다.
세상은 가도가도 부끄럽기만 하드라.
어떤 이는 내 눈에서 죄인(罪人)을 읽고 가고
어떤 이는 내 입에서 천치(天痴)를 읽고 가나
나는 아무것도 뉘우치진 않을란다.
찬란히 티워 오는 어느 아침에도
이마 위에 얹힌 시(詩)의 이슬에는
몇 방울의 피가 언제나 섞여 있어
별이거나 그늘이거나 혓바닥 늘어뜨린
병든 수캐마냥 헐떡거리며 나는 왔다.
-서 정 주 <자화상>
<자화상>은 근대 역사의 시련기를 배경으로 하여 괴로운 삶을 살아 온 한 인물의 반생을 노래한 작품이다. 우리 중 누가 이와 같은 삶의 질곡에서 자유로울 수 있을까. 왕가(王家)의 후손도, 장삼이사(張三李四)네 자손도 똑 같다. 나 역시 격변기와 가난한 청년시절을 보냈기에 시에서 제시하는 풍경이 내 젊은 날의 초상 같아서 뭉클하게 다가온다.
<자화상>은 서정주 초기시의 특징인 생명의 강렬성이 잘 나타나 있다. 대담한 언어 구사와 솔직함으로 독자의 가슴에 충격을 준다. 실제로 서정주의 아버지는 인촌 김성수 일가의 머슴살이(마름)를 했다. 그것을 부끄러움으로 여기지 않고 과감하게 시적 은유로 사용했다.
첫 행부터 '애비는 종이었다.'는 충격적인 고백을 함으로써 그의 미천한 출신 내력과 가난 그리고 그것으로부터 벗어나기 위한 몸부림에 의해서 운명적으로 규정되었음을 말하고 있다. 이처럼 절망적 몸부림으로 점철된 시적 자아의 젊은 날은 '8할이 바람'이라는 감각적 이미지를 통해 구체화된다.
'바람'의 이미지는 그의 젊은 날이 격정과 울분과 방황의 과정이었음을 암시한다. 이처럼 뒤틀린 그의 젊은 날은 다시 '천치'나 '죄인' 같은 시어로 압축된다. 그러나 그 뒤틀린 젊은 날에 대하여 '아무것도 뉘우치지 않을란다'라고 진술한다. 이는 자신의 운명에 대한 긍정이라고 할 수 있다. 시적 자아가 자신의 운명을 수용하는 것은 '피'가 섞인 시를 쓰는 자로서의 자긍심 때문이다. 예술이야말로 저주받은 시인의 운명을 구원하는 존재다.
이 시는 시적 화자가 자신의 존재에 대하여, 그리고 자신이 살아 온 과거에 대하여 솔직하게 고백하는 시이다. 첫째 연에서는 자신의 미천한 출신을 당당하게 고백하는 정직성과, 현실에 자신을 대결시키는 저항 의지가 드러나 있다. 둘째 연은 봉건적 인간관계가 한 개인에게 부과하는 굴욕적인 삶과 그에 맞서고 있는 시인의 의지가 드러나 있다. 셋째 연에는 현실적 고통을 이겨 내려는 노력과 의지가 드러나 있다. 이런 의지는 '피'가 섞여 있는 시를 쓰는 시인이 삶의 고통을 극복하며 예술 정신을 추구하는 태도라고 할 수 있다.
이 작품은 미당 서정주가 23세 되던, 일제 치하인 1937년 가을에 지은 것이다. 전체적인 시의 짜임새가 그다지 견고하지 못하지만 솔직한 자기 고백의 시이며, 동시에 당시의 민족적 현실을 반영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스스로를 '종의 자식'으로 단정하는 자학, 23살 청춘의 절정기에 ‘병든 수캐마냥 헐떡거리며’ 살아왔다고 고백하는 철저한 자기 비하는 당시 시인이 처한 심리적인 황폐함을 엿보게 한다.
21세기를 살아가고 있는 청년들이라해서 행복의 항아리 속에서 사는 것은 아니다. 정치적 억압이 없고 경제적으로 넉넉한 시대에 살고 있다지만 내적 고민과 고통은 예나 지금이나 다르지 않다. 단지 그것을 극복하는 힘, 인내하고 승화하는 방식의 차이는 있을 것이다.
오늘날의 청소년과 청년들은 외칠 것이다.
'나를 키운 건 8할이 입시지옥이다.’
'나를 키운 건 8할이 인터넷이다.’
'나를 키운 건 8할이 앞이 보이지 않는 절망이다.’라고.
그런 절망과 분노를 만든 것은 사회와 기성세대다. 그 절규를 살갑게 이해하고 개선해야할 책임도 기성세대에게 있다. 그런 와중에도 외로운 목소리도 있음을 믿는다. '나를 키운 건 8할이 책이다.'라고. (*)
애비는 종이었다. 밤이 깊어도 오지 않았다.
파뿌리같이 늙은 할머니와 대추꽃이 한 주 서 있을 뿐이었다.
어매는 달을 두고 풋살구가 꼭 하나만 먹고 싶다 하였으나… 흙으로 바람벽 한 호롱불 밑에
손톱이 까만 에미의 아들
갑오년(甲午年)이라든가 바다에 나가서는 돌아오지 않는다 하는 외할아버지의 숱 많은 머리털과
그 커다란 눈이 나는 닮았다 한다.
스물세 해 동안 나를 키운 건 팔할(八割)이 바람이다.
세상은 가도가도 부끄럽기만 하드라.
어떤 이는 내 눈에서 죄인(罪人)을 읽고 가고
어떤 이는 내 입에서 천치(天痴)를 읽고 가나
나는 아무것도 뉘우치진 않을란다.
찬란히 티워 오는 어느 아침에도
이마 위에 얹힌 시(詩)의 이슬에는
몇 방울의 피가 언제나 섞여 있어
별이거나 그늘이거나 혓바닥 늘어뜨린
병든 수캐마냥 헐떡거리며 나는 왔다.
-서 정 주 <자화상>
<자화상>은 근대 역사의 시련기를 배경으로 하여 괴로운 삶을 살아 온 한 인물의 반생을 노래한 작품이다. 우리 중 누가 이와 같은 삶의 질곡에서 자유로울 수 있을까. 왕가(王家)의 후손도, 장삼이사(張三李四)네 자손도 똑 같다. 나 역시 격변기와 가난한 청년시절을 보냈기에 시에서 제시하는 풍경이 내 젊은 날의 초상 같아서 뭉클하게 다가온다.
<자화상>은 서정주 초기시의 특징인 생명의 강렬성이 잘 나타나 있다. 대담한 언어 구사와 솔직함으로 독자의 가슴에 충격을 준다. 실제로 서정주의 아버지는 인촌 김성수 일가의 머슴살이(마름)를 했다. 그것을 부끄러움으로 여기지 않고 과감하게 시적 은유로 사용했다.
첫 행부터 '애비는 종이었다.'는 충격적인 고백을 함으로써 그의 미천한 출신 내력과 가난 그리고 그것으로부터 벗어나기 위한 몸부림에 의해서 운명적으로 규정되었음을 말하고 있다. 이처럼 절망적 몸부림으로 점철된 시적 자아의 젊은 날은 '8할이 바람'이라는 감각적 이미지를 통해 구체화된다.
'바람'의 이미지는 그의 젊은 날이 격정과 울분과 방황의 과정이었음을 암시한다. 이처럼 뒤틀린 그의 젊은 날은 다시 '천치'나 '죄인' 같은 시어로 압축된다. 그러나 그 뒤틀린 젊은 날에 대하여 '아무것도 뉘우치지 않을란다'라고 진술한다. 이는 자신의 운명에 대한 긍정이라고 할 수 있다. 시적 자아가 자신의 운명을 수용하는 것은 '피'가 섞인 시를 쓰는 자로서의 자긍심 때문이다. 예술이야말로 저주받은 시인의 운명을 구원하는 존재다.
이 시는 시적 화자가 자신의 존재에 대하여, 그리고 자신이 살아 온 과거에 대하여 솔직하게 고백하는 시이다. 첫째 연에서는 자신의 미천한 출신을 당당하게 고백하는 정직성과, 현실에 자신을 대결시키는 저항 의지가 드러나 있다. 둘째 연은 봉건적 인간관계가 한 개인에게 부과하는 굴욕적인 삶과 그에 맞서고 있는 시인의 의지가 드러나 있다. 셋째 연에는 현실적 고통을 이겨 내려는 노력과 의지가 드러나 있다. 이런 의지는 '피'가 섞여 있는 시를 쓰는 시인이 삶의 고통을 극복하며 예술 정신을 추구하는 태도라고 할 수 있다.
이 작품은 미당 서정주가 23세 되던, 일제 치하인 1937년 가을에 지은 것이다. 전체적인 시의 짜임새가 그다지 견고하지 못하지만 솔직한 자기 고백의 시이며, 동시에 당시의 민족적 현실을 반영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스스로를 '종의 자식'으로 단정하는 자학, 23살 청춘의 절정기에 ‘병든 수캐마냥 헐떡거리며’ 살아왔다고 고백하는 철저한 자기 비하는 당시 시인이 처한 심리적인 황폐함을 엿보게 한다.
21세기를 살아가고 있는 청년들이라해서 행복의 항아리 속에서 사는 것은 아니다. 정치적 억압이 없고 경제적으로 넉넉한 시대에 살고 있다지만 내적 고민과 고통은 예나 지금이나 다르지 않다. 단지 그것을 극복하는 힘, 인내하고 승화하는 방식의 차이는 있을 것이다.
오늘날의 청소년과 청년들은 외칠 것이다.
'나를 키운 건 8할이 입시지옥이다.’
'나를 키운 건 8할이 인터넷이다.’
'나를 키운 건 8할이 앞이 보이지 않는 절망이다.’라고.
그런 절망과 분노를 만든 것은 사회와 기성세대다. 그 절규를 살갑게 이해하고 개선해야할 책임도 기성세대에게 있다. 그런 와중에도 외로운 목소리도 있음을 믿는다. '나를 키운 건 8할이 책이다.'라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