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소개
▣ 출판사서평
우리가 사랑한 문학, 꽃으로 피어나다
《문학이 사랑한 꽃들》은 33편의 한국소설에 등장하는 야생화를 다룬 독창적인 책이다.
수많은 소설 작품이 현실을 반영하는 것처럼 우리 주변의 꽃과 식물이 소설에 등장하는 것은 어찌 보면 자연스러운 일이다. 이 책은 독자들이 무심코 지나칠 수 있는 ‘소설 속에 등장하는 꽃’을 주목한다.
《문학이 사랑한 꽃들》은 소설 작품 속 꽃의 상징적 의미를 ‘청춘, 사랑, 추억, 치유, 인생’ 등 다섯 개의 키워드로 나누어 소설의 어떤 대목에서 야생화가 나오는지, 그 야생화가 어떤 맥락으로 쓰였는지, 그 야생화는 어떤 꽃인지를 상세하게 담고 있다.
1부 ‘꽃, 청춘을 기억하다’에서는 4년 전 헤어진 연인의 이야기(김연수의 [벚꽃 새해])에 등장하는 벚꽃을 소개한다. 꽃은 단순히 ‘보는 것’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에게 계절의 시작을 알리는 벚꽃과 매화의 구분법은 알찬 정보다. 저자는 영화로도 만들어진 김애란의《두근두근 내 인생》에 등장하는 ‘도라지꽃’의 상징적인 의미에도 관심을 가진다. 남들보다 빨리 늙는 조로증(早老症)에 걸려 투병하는 열일곱 살 아름이의 컴퓨터 바탕화면에 등장하는 도라지꽃도 허투루 보지 않았다. 아울러 야생화 사이트에 저자가 쓴 ‘도라지꽃 이야기’에 댓글을 단 김애란 작가의 고교 담임선생님 이야기도 인상 깊다. 2부 ‘꽃, 사랑을 간직하다’에는 소설 속 등장인물의 사랑(남녀 간의 사랑,모성애,금지된 사랑 등)을 표현하는 꽃(장미,협죽도,자귀나무꽃,영산홍 등)들이 등장한다.
3부 ‘꽃, 추억을 떠올리다’에서는 박완서의《그 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에 나오는 싱아를 중심으로 추억의 먹거리 식물들을 비롯해 지금은 오래 되어버린 추억의 소재로 소설 속에 등장하는 꽃들을 다룬다. 4부 ‘꽃, 상처를 치유하다’, 5부 ‘꽃, 인생을 그리다’는 소설 속에서 각기 다른 인생을 살아가는 등장인물들을 상징하는 꽃과 나무들을 다룬다. 문순태의 [생오지 가는 길]의 박태기나무꽃은 결혼 이주여성의 부푼 꿈을 보여주기도 하고, 이금이의《유진과 유진》의 등나무는 성추행을 당한 작은 유진이 기억을 되찾으며 진실을 알아가는 장소로 등장한다.
독자들은 소설 속에 녹여진 우리의 삶 이야기, 관심을 가지지 않아서 잘 모를 뿐 우리 주변에서 쉽게 발견할 수 있는 꽃 이야기를 통해 자연과 조화를 이룬 문학의 향기를 만날 수 있다.
야생화를 향한 애정을 담다
《문학이 사랑한 꽃들》은 지난 2013년에 출간된《문학 속에 핀 꽃들》(2014년 6월 23일 네이버 ‘오늘의 책’ 선정 도서)의 연장선상에 있는 책이다.《문학이 사랑한 꽃들》은 전작에서 더 나아가 요즘 활동이 활발한 젊은 작가들의 소설을 비롯해 1980년대부터 꾸준히 사랑받고 있는 작가(양귀자, 조정래, 박완서, 성석제 등)의 소설까지 33편의 한국소설을 150여 점의 사진과 함께 야생화를 중심으로 이야기를 풀어나간다.
책 곳곳에는 “아빠, 이게 무슨 꽃이야”라고 묻는 딸에게 대답해주지 못한 것을 계기로 10여 년 전부터 산과 들을 다니며 야생화 사진을 찍고 공부한 저자의 진심어린 애정이 담겨 있다. 김형경의《꽃피는 고래》에 나오는 처용포의 실제 배경지인 울산 장생포항, 권여선의 [끝내 가보지 못한 비자나무 숲]에 등장하는 세계 최대 규모의 제주도 평대리 비자나무 숲 등 소설에서 등장하는 실제 장소와 작품 속에 등장하는 꽃과 나무를 만나기 위해 주말마다 전국 방방곡곡을 누볐다.
《문학이 사랑한 꽃들》은 꽃에 대한 잘못된 인식과 오류도 다룬다. 독성이 강한 식물로 방송에 소개되어 제거해야 할 식물 1위로 인식이 굳어진 ‘협죽도’는 유독 성분이 있지만, 일부러 먹지 않으면 위험하지 않다는 것이다. 또한 버드나무에서 날리는 하얀 솜뭉치 같은 것이 눈병이나 피부병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버드나무가 수난을 당했다는 이야기도 흥미롭다.
알면 알수록 그윽한 향기가 전해지는 꽃 이야기
저자는 ‘야생화 공부의 시작은 무엇보다 주변에 있는 식물에 관심을 갖는 것’이라고 말하며, 독자들이 예쁜 우리 꽃의 세계로 입문했으면 하는 바람으로 알아두면 좋은 꽃들을 주제별로 묶어 꽃 사진과 함께 상세히 전한다. 우리 주변의 생울타리로 쓰는 나무(쥐똥나무,화살나무,회양목,주목)와 가정에서 흔히 키워 친숙한 난초도 다룬다. 바닷물의 영향을 받는 지역에서 자라는 염생식물(퉁퉁마디,나문재 ,해홍나물,칠면초)에 대한 이야기는 어디에서도 접할 수 없는 새로운 정보다.
꽃 정보 페이지에서는 비슷하지만 다른 이름을 가진 식물들을 비교해보는 재미도 느낄 수 있다. 엉겅퀴, 원추리, 나리, 참나무가 그러하다. 그저 똑같은 모양을 가진 것 같은데 냉이라는 이름을 가진 식물이 수십여 가지에 이른다는 내용도 이채롭다. 주변을 둘러보면 가장 많이 보이는 것이 잡초와 가로수, 길거리 꽃들이다. 7대 잡초, 7대 가로수, 5대 길거리 꽃에 대해 정리해놓은 것은 이 책의 자랑거리 중 하나다.
공선옥의 [영희는 언제 우는가]에서 등장하는 망초를 통해 저자는 ‘7대 잡초(바랭이,왕바랭이,망초,개망초,명아주,쇠비름,환삼덩굴)’를 소개한다. 강신재의 [젊은 느티나무]에서 이루어질 수 없는 사랑을 했던 열여덟 살 숙희가 붙들었던 느티나무를 소재로 ‘서울 7대 가로수(은행나무,버즘나무,느티나무,벚나무,이팝나무,회화나무,메타세쿼이아)’를 보여준다. 이 책의 부록에는 도심에서 가장 흔하게 만날 수 있는 ‘5대 길거리 꽃(팬지,피튜니아,마리골드,베고니아,제라늄)’을 실었다. 이 책에는 독자들이 해상도가 높은 실제 사진을 살펴볼 수 있도록 꽃 정보 페이지 하단 QR코드를 삽입했으며, 원하는 꽃 사진을 편하게 찾아볼 수 있도록 색인을 담았다.
▣ 작가 소개
저자 : 김민철
야생화와 문학에 관심이 많은 기자다.
학창 시절부터 수많은 소설을 읽었고, 기자 생활을 하면서도 문학에 대한 관심을 놓지 않았다. 십여 년 전부터 야생화에 빠져 산과 들을 다니며 꽃 사진을 찍고 공부했으며, 이에 관한 이야기를 칼럼과 SNS를 통해 소개하고 있다. 이 같은 삶의 결과물로, 2013년 야생화를 통해 한국소설에 접근한《문학 속에 핀 꽃들》을 펴냈다.
《문학이 사랑한 꽃들》은 전작에서 더 나아가 주변 식물들과 요즘 활동이 활발한 젊은 작가들의 소설을 중심으로 이야기를 풀어나간다. 1967년 전라북도 정읍에서 태어나 서울대 해양학과를 졸업했고,《조선일보》사회정책부 차장으로 일하고 있다.
▣ 주요 목차
머리말 - 4
1부 꽃, 청춘을 기억하다
‘벚꽃 새해’에 만난 연인들 _김연수 〈벚꽃 새해〉 - 14
도라지꽃을 바탕화면으로 깐 아이 _김애란 《두근두근 내 인생》 - 24
무규칙 이종 작가가 선택한 쥐똥나무 _박민규 《삼미 슈퍼스타즈의 마지막 팬클럽》 - 34
“환경오염의 상징이라고?” 억울한 미국자리공 _김형경 《꽃피는 고래》 - 44
무녀 월에게서 나는 은은한 난향 _정은궐 《해를 품은 달》 - 54
2부 꽃, 사랑을 간직하다
여성 감성을 자극하는 장미 _정이현 《달콤한 나의 도시》 - 66
구불구불 약한 듯 강한 모성, 용버들 _구효서 [소금가마니] - 74
신부의 녹의홍상 닮은 협죽도 _성석제 [협죽도 그늘 아래] - 84
자귀나무 꽃빛의 홍조를 띤 소녀 _윤후명 [둔황의 사랑] - 92
금지된 사랑과 관능 담은 영산홍 _오정희 [옛 우물] - 100
끝내 이를 수 없는 지점, 비자나무 숲 _권여선 [끝내 가보지 못한 비자나무 숲] - 110
자주색 비로드 치마 펼쳐놓은 듯한 함초밭 _권지예 [꽃게 무덤] - 118
3부 꽃, 추억을 떠올리다
시큼한 싱아 줄기의 맛 _박완서 《그 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 - 128
그리운 아빠의 냄새, 배초향 _김향이 《달님은 알지요》 - 138
조숙한 소녀의 풋사랑, 사과꽃 향기 _은희경 《새의 선물》 - 148
민들레처럼 피어나는 달동네 아이들 _김중미 《괭이부리말 아이들》 - 156
낙원 체험의 상징, 굽은 사철나무 _전경린 [강변마을] - 164
아홉 살 아이가 인생 배운 놀이터, 상수리나무 _위기철 《아홉 살 인생》 - 174
모진 겨울 견디는 냉이 같은 몽실 언니 _권정생 《몽실 언니》 - 184
4부 꽃, 상처를 치유하다
홍자색으로 피어나는 부푼 꿈, 박태기나무꽃 _문순태 〈생오지 가는 길〉 - 196
흰 구름처럼 풍성한 조팝나무꽃 _이혜경 [피아간] - 206
낮은 목소리로 고민 나눈 추억의 등나무 그늘 _이금이 《유진과 유진》 - 214
험한 세상에서 스러져간 사람들의 상징, 엉겅퀴 _임철우 [아버지의 땅] - 224
4·3 ‘도피자’들 한이 서린 청미래덩굴 _현기영 [순이삼촌] - 234
달콤한 여인의 살내음, 치자꽃 향기 _정미경 [달은 스스로 빛나지 않는다] - 244
5부 꽃, 인생을 그리다
온 산에 붉은 꽃무더기, 진달래 _양귀자 [한계령] - 254
칡처럼 얽힌 3대에 걸친 가족 인연 _김동리 [역마] - 262
한국에선 배꽃, 중국에선 ‘돈꽃’ _조정래 《정글만리》 - 270
백합, 50대 여성의 참회를 자극하다 _윤성희 [부메랑] - 280
처제의 몸에 그린 주황색 원추리 _한강 《채식주의자》 - 290
고모의 사랑과 회한 담은 탱자 _윤대녕 [탱자] - 300
벼랑 끝에 몰린 여성들의 망초 같은 생명력 _공선옥 [영희는 언제 우는가] - 308
숙희가 느티나무를 붙든 이유는? _강신재 [젊은 느티나무] - 318
부록_ 도심에 가장 흔한 ‘5대 길거리 꽃’은? - 330
참고도서 목록 - 340
색인 - 343
우리가 사랑한 문학, 꽃으로 피어나다
《문학이 사랑한 꽃들》은 33편의 한국소설에 등장하는 야생화를 다룬 독창적인 책이다.
수많은 소설 작품이 현실을 반영하는 것처럼 우리 주변의 꽃과 식물이 소설에 등장하는 것은 어찌 보면 자연스러운 일이다. 이 책은 독자들이 무심코 지나칠 수 있는 ‘소설 속에 등장하는 꽃’을 주목한다.
《문학이 사랑한 꽃들》은 소설 작품 속 꽃의 상징적 의미를 ‘청춘, 사랑, 추억, 치유, 인생’ 등 다섯 개의 키워드로 나누어 소설의 어떤 대목에서 야생화가 나오는지, 그 야생화가 어떤 맥락으로 쓰였는지, 그 야생화는 어떤 꽃인지를 상세하게 담고 있다.
1부 ‘꽃, 청춘을 기억하다’에서는 4년 전 헤어진 연인의 이야기(김연수의 [벚꽃 새해])에 등장하는 벚꽃을 소개한다. 꽃은 단순히 ‘보는 것’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에게 계절의 시작을 알리는 벚꽃과 매화의 구분법은 알찬 정보다. 저자는 영화로도 만들어진 김애란의《두근두근 내 인생》에 등장하는 ‘도라지꽃’의 상징적인 의미에도 관심을 가진다. 남들보다 빨리 늙는 조로증(早老症)에 걸려 투병하는 열일곱 살 아름이의 컴퓨터 바탕화면에 등장하는 도라지꽃도 허투루 보지 않았다. 아울러 야생화 사이트에 저자가 쓴 ‘도라지꽃 이야기’에 댓글을 단 김애란 작가의 고교 담임선생님 이야기도 인상 깊다. 2부 ‘꽃, 사랑을 간직하다’에는 소설 속 등장인물의 사랑(남녀 간의 사랑,모성애,금지된 사랑 등)을 표현하는 꽃(장미,협죽도,자귀나무꽃,영산홍 등)들이 등장한다.
3부 ‘꽃, 추억을 떠올리다’에서는 박완서의《그 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에 나오는 싱아를 중심으로 추억의 먹거리 식물들을 비롯해 지금은 오래 되어버린 추억의 소재로 소설 속에 등장하는 꽃들을 다룬다. 4부 ‘꽃, 상처를 치유하다’, 5부 ‘꽃, 인생을 그리다’는 소설 속에서 각기 다른 인생을 살아가는 등장인물들을 상징하는 꽃과 나무들을 다룬다. 문순태의 [생오지 가는 길]의 박태기나무꽃은 결혼 이주여성의 부푼 꿈을 보여주기도 하고, 이금이의《유진과 유진》의 등나무는 성추행을 당한 작은 유진이 기억을 되찾으며 진실을 알아가는 장소로 등장한다.
독자들은 소설 속에 녹여진 우리의 삶 이야기, 관심을 가지지 않아서 잘 모를 뿐 우리 주변에서 쉽게 발견할 수 있는 꽃 이야기를 통해 자연과 조화를 이룬 문학의 향기를 만날 수 있다.
야생화를 향한 애정을 담다
《문학이 사랑한 꽃들》은 지난 2013년에 출간된《문학 속에 핀 꽃들》(2014년 6월 23일 네이버 ‘오늘의 책’ 선정 도서)의 연장선상에 있는 책이다.《문학이 사랑한 꽃들》은 전작에서 더 나아가 요즘 활동이 활발한 젊은 작가들의 소설을 비롯해 1980년대부터 꾸준히 사랑받고 있는 작가(양귀자, 조정래, 박완서, 성석제 등)의 소설까지 33편의 한국소설을 150여 점의 사진과 함께 야생화를 중심으로 이야기를 풀어나간다.
책 곳곳에는 “아빠, 이게 무슨 꽃이야”라고 묻는 딸에게 대답해주지 못한 것을 계기로 10여 년 전부터 산과 들을 다니며 야생화 사진을 찍고 공부한 저자의 진심어린 애정이 담겨 있다. 김형경의《꽃피는 고래》에 나오는 처용포의 실제 배경지인 울산 장생포항, 권여선의 [끝내 가보지 못한 비자나무 숲]에 등장하는 세계 최대 규모의 제주도 평대리 비자나무 숲 등 소설에서 등장하는 실제 장소와 작품 속에 등장하는 꽃과 나무를 만나기 위해 주말마다 전국 방방곡곡을 누볐다.
《문학이 사랑한 꽃들》은 꽃에 대한 잘못된 인식과 오류도 다룬다. 독성이 강한 식물로 방송에 소개되어 제거해야 할 식물 1위로 인식이 굳어진 ‘협죽도’는 유독 성분이 있지만, 일부러 먹지 않으면 위험하지 않다는 것이다. 또한 버드나무에서 날리는 하얀 솜뭉치 같은 것이 눈병이나 피부병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버드나무가 수난을 당했다는 이야기도 흥미롭다.
알면 알수록 그윽한 향기가 전해지는 꽃 이야기
저자는 ‘야생화 공부의 시작은 무엇보다 주변에 있는 식물에 관심을 갖는 것’이라고 말하며, 독자들이 예쁜 우리 꽃의 세계로 입문했으면 하는 바람으로 알아두면 좋은 꽃들을 주제별로 묶어 꽃 사진과 함께 상세히 전한다. 우리 주변의 생울타리로 쓰는 나무(쥐똥나무,화살나무,회양목,주목)와 가정에서 흔히 키워 친숙한 난초도 다룬다. 바닷물의 영향을 받는 지역에서 자라는 염생식물(퉁퉁마디,나문재 ,해홍나물,칠면초)에 대한 이야기는 어디에서도 접할 수 없는 새로운 정보다.
꽃 정보 페이지에서는 비슷하지만 다른 이름을 가진 식물들을 비교해보는 재미도 느낄 수 있다. 엉겅퀴, 원추리, 나리, 참나무가 그러하다. 그저 똑같은 모양을 가진 것 같은데 냉이라는 이름을 가진 식물이 수십여 가지에 이른다는 내용도 이채롭다. 주변을 둘러보면 가장 많이 보이는 것이 잡초와 가로수, 길거리 꽃들이다. 7대 잡초, 7대 가로수, 5대 길거리 꽃에 대해 정리해놓은 것은 이 책의 자랑거리 중 하나다.
공선옥의 [영희는 언제 우는가]에서 등장하는 망초를 통해 저자는 ‘7대 잡초(바랭이,왕바랭이,망초,개망초,명아주,쇠비름,환삼덩굴)’를 소개한다. 강신재의 [젊은 느티나무]에서 이루어질 수 없는 사랑을 했던 열여덟 살 숙희가 붙들었던 느티나무를 소재로 ‘서울 7대 가로수(은행나무,버즘나무,느티나무,벚나무,이팝나무,회화나무,메타세쿼이아)’를 보여준다. 이 책의 부록에는 도심에서 가장 흔하게 만날 수 있는 ‘5대 길거리 꽃(팬지,피튜니아,마리골드,베고니아,제라늄)’을 실었다. 이 책에는 독자들이 해상도가 높은 실제 사진을 살펴볼 수 있도록 꽃 정보 페이지 하단 QR코드를 삽입했으며, 원하는 꽃 사진을 편하게 찾아볼 수 있도록 색인을 담았다.
▣ 작가 소개
저자 : 김민철
야생화와 문학에 관심이 많은 기자다.
학창 시절부터 수많은 소설을 읽었고, 기자 생활을 하면서도 문학에 대한 관심을 놓지 않았다. 십여 년 전부터 야생화에 빠져 산과 들을 다니며 꽃 사진을 찍고 공부했으며, 이에 관한 이야기를 칼럼과 SNS를 통해 소개하고 있다. 이 같은 삶의 결과물로, 2013년 야생화를 통해 한국소설에 접근한《문학 속에 핀 꽃들》을 펴냈다.
《문학이 사랑한 꽃들》은 전작에서 더 나아가 주변 식물들과 요즘 활동이 활발한 젊은 작가들의 소설을 중심으로 이야기를 풀어나간다. 1967년 전라북도 정읍에서 태어나 서울대 해양학과를 졸업했고,《조선일보》사회정책부 차장으로 일하고 있다.
▣ 주요 목차
머리말 - 4
1부 꽃, 청춘을 기억하다
‘벚꽃 새해’에 만난 연인들 _김연수 〈벚꽃 새해〉 - 14
도라지꽃을 바탕화면으로 깐 아이 _김애란 《두근두근 내 인생》 - 24
무규칙 이종 작가가 선택한 쥐똥나무 _박민규 《삼미 슈퍼스타즈의 마지막 팬클럽》 - 34
“환경오염의 상징이라고?” 억울한 미국자리공 _김형경 《꽃피는 고래》 - 44
무녀 월에게서 나는 은은한 난향 _정은궐 《해를 품은 달》 - 54
2부 꽃, 사랑을 간직하다
여성 감성을 자극하는 장미 _정이현 《달콤한 나의 도시》 - 66
구불구불 약한 듯 강한 모성, 용버들 _구효서 [소금가마니] - 74
신부의 녹의홍상 닮은 협죽도 _성석제 [협죽도 그늘 아래] - 84
자귀나무 꽃빛의 홍조를 띤 소녀 _윤후명 [둔황의 사랑] - 92
금지된 사랑과 관능 담은 영산홍 _오정희 [옛 우물] - 100
끝내 이를 수 없는 지점, 비자나무 숲 _권여선 [끝내 가보지 못한 비자나무 숲] - 110
자주색 비로드 치마 펼쳐놓은 듯한 함초밭 _권지예 [꽃게 무덤] - 118
3부 꽃, 추억을 떠올리다
시큼한 싱아 줄기의 맛 _박완서 《그 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 - 128
그리운 아빠의 냄새, 배초향 _김향이 《달님은 알지요》 - 138
조숙한 소녀의 풋사랑, 사과꽃 향기 _은희경 《새의 선물》 - 148
민들레처럼 피어나는 달동네 아이들 _김중미 《괭이부리말 아이들》 - 156
낙원 체험의 상징, 굽은 사철나무 _전경린 [강변마을] - 164
아홉 살 아이가 인생 배운 놀이터, 상수리나무 _위기철 《아홉 살 인생》 - 174
모진 겨울 견디는 냉이 같은 몽실 언니 _권정생 《몽실 언니》 - 184
4부 꽃, 상처를 치유하다
홍자색으로 피어나는 부푼 꿈, 박태기나무꽃 _문순태 〈생오지 가는 길〉 - 196
흰 구름처럼 풍성한 조팝나무꽃 _이혜경 [피아간] - 206
낮은 목소리로 고민 나눈 추억의 등나무 그늘 _이금이 《유진과 유진》 - 214
험한 세상에서 스러져간 사람들의 상징, 엉겅퀴 _임철우 [아버지의 땅] - 224
4·3 ‘도피자’들 한이 서린 청미래덩굴 _현기영 [순이삼촌] - 234
달콤한 여인의 살내음, 치자꽃 향기 _정미경 [달은 스스로 빛나지 않는다] - 244
5부 꽃, 인생을 그리다
온 산에 붉은 꽃무더기, 진달래 _양귀자 [한계령] - 254
칡처럼 얽힌 3대에 걸친 가족 인연 _김동리 [역마] - 262
한국에선 배꽃, 중국에선 ‘돈꽃’ _조정래 《정글만리》 - 270
백합, 50대 여성의 참회를 자극하다 _윤성희 [부메랑] - 280
처제의 몸에 그린 주황색 원추리 _한강 《채식주의자》 - 290
고모의 사랑과 회한 담은 탱자 _윤대녕 [탱자] - 300
벼랑 끝에 몰린 여성들의 망초 같은 생명력 _공선옥 [영희는 언제 우는가] - 308
숙희가 느티나무를 붙든 이유는? _강신재 [젊은 느티나무] - 318
부록_ 도심에 가장 흔한 ‘5대 길거리 꽃’은? - 330
참고도서 목록 - 340
색인 - 343
01. 반품기한
- 단순 변심인 경우 : 상품 수령 후 7일 이내 신청
- 상품 불량/오배송인 경우 : 상품 수령 후 3개월 이내, 혹은 그 사실을 알게 된 이후 30일 이내 반품 신청 가능
02. 반품 배송비
반품사유 | 반품 배송비 부담자 |
---|---|
단순변심 | 고객 부담이며, 최초 배송비를 포함해 왕복 배송비가 발생합니다. 또한, 도서/산간지역이거나 설치 상품을 반품하는 경우에는 배송비가 추가될 수 있습니다. |
고객 부담이 아닙니다. |
03. 배송상태에 따른 환불안내
진행 상태 | 결제완료 | 상품준비중 | 배송지시/배송중/배송완료 |
---|---|---|---|
어떤 상태 | 주문 내역 확인 전 | 상품 발송 준비 중 | 상품이 택배사로 이미 발송 됨 |
환불 | 즉시환불 | 구매취소 의사전달 → 발송중지 → 환불 | 반품회수 → 반품상품 확인 → 환불 |
04. 취소방법
- 결제완료 또는 배송상품은 1:1 문의에 취소신청해 주셔야 합니다.
- 특정 상품의 경우 취소 수수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05. 환불시점
결제수단 | 환불시점 | 환불방법 |
---|---|---|
신용카드 | 취소완료 후, 3~5일 내 카드사 승인취소(영업일 기준) | 신용카드 승인취소 |
계좌이체 |
실시간 계좌이체 또는 무통장입금 취소완료 후, 입력하신 환불계좌로 1~2일 내 환불금액 입금(영업일 기준) |
계좌입금 |
휴대폰 결제 |
당일 구매내역 취소시 취소 완료 후, 6시간 이내 승인취소 전월 구매내역 취소시 취소 완료 후, 1~2일 내 환불계좌로 입금(영업일 기준) |
당일취소 : 휴대폰 결제 승인취소 익월취소 : 계좌입금 |
포인트 | 취소 완료 후, 당일 포인트 적립 | 환불 포인트 적립 |
06. 취소반품 불가 사유
- 단순변심으로 인한 반품 시, 배송 완료 후 7일이 지나면 취소/반품 신청이 접수되지 않습니다.
- 주문/제작 상품의 경우, 상품의 제작이 이미 진행된 경우에는 취소가 불가합니다.
- 구성품을 분실하였거나 취급 부주의로 인한 파손/고장/오염된 경우에는 취소/반품이 제한됩니다.
- 제조사의 사정 (신모델 출시 등) 및 부품 가격변동 등에 의해 가격이 변동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반품 및 가격보상은 불가합니다.
- 뷰티 상품 이용 시 트러블(알러지, 붉은 반점, 가려움, 따가움)이 발생하는 경우 진료 확인서 및 소견서 등을 증빙하면 환불이 가능하지만 이 경우, 제반 비용은 고객님께서 부담하셔야 합니다.
- 각 상품별로 아래와 같은 사유로 취소/반품이 제한 될 수 있습니다.
상품군 | 취소/반품 불가사유 |
---|---|
의류/잡화/수입명품 | 상품의 택(TAG) 제거/라벨 및 상품 훼손으로 상품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된 경우 |
계절상품/식품/화장품 | 고객님의 사용, 시간경과, 일부 소비에 의하여 상품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
가전/설치상품 | 전자제품 특성 상, 정품 스티커가 제거되었거나 설치 또는 사용 이후에 단순변심인 경우, 액정화면이 부착된 상품의 전원을 켠 경우 (상품불량으로 인한 교환/반품은 AS센터의 불량 판정을 받아야 합니다.) |
자동차용품 | 상품을 개봉하여 장착한 이후 단순변심의 경우 |
CD/DVD/GAME/BOOK등 | 복제가 가능한 상품의 포장 등을 훼손한 경우 |
상품의 시리얼 넘버 유출로 내장된 소프트웨어의 가치가 감소한 경우 | |
노트북, 테스크탑 PC 등 | 홀로그램 등을 분리, 분실, 훼손하여 상품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하여 재판매가 불가할 경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