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소개
▣ 출판사서평
생의 겨울에서 부쳐온 봄소식
동해에서 날아온 반가운 소식에 시인의 마음이 들썩인다. 꼭꼭 눌러쓴 주소만큼이나 정성 들였을 가자미식해는 오래 삭혀야 제맛이 나는 음식이다. 시인의 표현을 빌리자면 그 속에는 “빨간 피보다 전설이 많”이 녹아 있다. “겨울에서 겨울로 익어”가는 “오래고 삭고 긴 가계”는 할머니의 삶을 지나고 “어머니의 눈”을 지나 시인의 삶으로 전해져온다. “무 고추 마늘 메좁쌀 엿기름”에 “물 떠난 생물” 가자미가 “몸 비비고 피 나누며” 삭은 음식은 고향에서 살아온 사람들의 세월과 전설을 담고 있다. 시인은 음식 하나로 그 음식을 먹으며 살아온 이들의 마음과 역사를 담아낼 줄 아는 것이다.
날씨가 차가워지면 북쪽에서 반가운 소포가 온다
눌러쓴 주소 안고 비닐로 겹겹이 싸여 석류처럼 빨갛게 가자미 온다
동해 먼 곳 외할머니 보내신 식해 빨간 피보다 전설이 많아 이 생 저 생 녹아 있다
무 고추 마늘 메좁쌀 엿기름 물 떠난 생물 몸 비비고 피 나누며 숨죽인다
만삭의 독 소식 풀면 끊어진 몸 추슬러 살 속 흰 뼈를 녹인다
바다를 기억하는 날개 하나가 되어 헤엄치고 오래고 삭고 긴 가계 겨울에서 겨울로 익어간다
낮은 해류를 지나온 가자미 식탁에 올라 붉게 아침을 토한다 달이 가까운 또 어머니의 눈이 내리는 이곳
_「가자미」 전문
박승 시인의 시는 시골에서 태어나 도시에서 생활하는 중년의 목소리를 대변한다. 중간자로서 이 시대의 중년은 고향에서 날아온 반가운 소식에 마음이 움직이고, 추억 속의 할머니들이 살고 있는 “지붕 위 눈얼음이 자라는 마을”(「영동 대설」)로 돌아가고 싶다. 그런 반면, 그들은 도시의 일상을 심상한 표정으로 살아가는 생활인이기도 하다. 한 가정의 가장이자 직장인으로서 그들이 머무는 곳은 주로 사무실이거나 지하철, 주말 오후의 집이다. 종종 자신의 삶을 옥죄고 있는 현실로부터 벗어나 생이 처음 시작된 고향으로 돌아가고 싶지만, 그들은 끝없는 철로를 달려온 열차처럼 돌아갈 수 없는 철길 너머를 물끄러미 바라만 보고 서 있을 뿐이다. 이미 자신은 너무 먼 곳으로 떠나온 것만 같다.
뒤로 간다 뒤로 저 산 저 길 저 언덕 올라간다
기억을 따라 시간을 따라 가난한 햇빛 가난한 잔설 산이 막아둔 길 넘어간다 고지의 차가운 작은 새벽 여인숙에서 간다
눈물 나는 검은 눈 낮은 방에서 나는 그의 손을 잡는다 새벽의 내리막길 기다리다 마른 그가 누운 바닷가 낡은 집 찾아간다 팔은 줄고 다리는 가냘프니
산의 허리 무엇을 보나 허리에서 눈부신 서리 차기만 한 서리 곁으로 곁으로 시간이 멈추고 다시 세상이 덜컹거릴 때가 올 때 다시 앞으로 구를 때가 올 때 다시 앞으로 나를 굴려야 할 때가 올 때 바다의 고장을 떠나 흙의 사람이 되기 전 뒤로 뒤로
_「스위치백」 전문
세상에는 뒤로 가야만 앞으로 나아갈 수 있는 기차가 있다. 우리나라에는 과거 금강산선, 영동선 흥전―나한정 구간에서 운행되었지만 지금은 모두 없어지고 만 스위치백(Switchback)이라는 방식을 통해서다. 스위치백이란 고도차가 많이 나는 지역에서 사용하는 철도 운행 체계로 ‘Z’자형으로 설치된 철로를 열차가 전진과 후진을 반복하며 이동해 경사를 극복한다. 말 그대로 뒤로 물러남으로써 전진을 도모할 수 있는 것이다.
앞으로 나아가기 위해 한걸음 뒤로
바닥에 넘어진 그림자 길을 넘는다 낮은 계단 밋밋한 시멘트 길 따라 저기 측백 한 그루 서 있다
낯선 아침 허리를 잡고 돌았던 나무 흔들리는 가로등 불빛 이정표처럼 단호한 뿌리
측백은 밤과 낮을 나누지 않는다 도시와 옛것 살갗에 묻힌 채 지나온 커브길 감아올린다
퍼덕이는 사진 속 시절 걸음과 만나는 나무는 가지에 삭아버린 흙 쌓아가며 자라고 있다
가려진 달 솟아 감긴 눈 궁굴리는 모퉁이 나는 명백하게 알고 있다 나무는 언제고 여기서 돌아가리라는 것을
_「나의 측백나무」 전문
“낮은 계단 밋밋한 시멘트 길 따라” 서 있는 측백나무는 시인을 상징하기도 한다. 이 측백나무는 “밤과 낮을 나누지 않”고 “도시와 옛것 살갗에 묻힌 채 지나온 커브길 감아올”리며 “단호한 뿌리”로 버티고 서 있다. 생의 원천이 되는 고향을 떠나 서울에 이른 시인의 현재처럼 말이다.
과거와 현재, 두 축을 오가며 도시의 일상과 과거를 수시로 다녀가던 시인은 “기억을 따라 시간을 따라 가난한 햇빛 가난한 잔설 산이 막아둔 길 넘어” 비로소 현재로 돌아온다. 그곳에는 자신이 새로이 일구어놓은 또 다른 가족이 그를 기다리고 있기 때문이다.
손으로 발로 다 만지지 못할
미로 같은 놀이가 기다리고 있을지
이런 여우비 아니라 억수장마 며칠을 내려도
바깥 놀이를 가야 할지도 아이야
바깥 놀이에 젖은 아빠
네 팔을 안고 방에서 잠을 자고 싶단다
_「바깥 놀이」 부분
시인은 어쩌면 현재로 돌아오기 위해, 그곳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기 위해 끊임없이 자신을 키워온 생의 원천으로 갔다 오는 오랜 여행을 하고 있었는지도 모른다. 비오는 어느 주말 딸아이의 “팔을 안고 방에서 잠을 자고 싶”은 시인이 놓쳐버린 한쪽 손은 고향에서 손자를 키워준 할머니의 손이자, 바로 시인 자신의 손이었다. 과거와 화해하고 현재를 보듬는 시인의 마음은 결국 지금 여기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기 위한 바람이다. “다시 세상이 덜컹거릴 때가 올 때 다시 앞으로 구를 때가 올 때” 앞으로 묵묵히 나아가기 위해서는 “뒤로 뒤로” 천천히 가면서 자신을 되돌아보는 시간이 그에게는 필요했다.
▣ 작가 소개
박승
1971년 경남 밀양에서 태어나, 2004년 『민족예술』로 등단했다.
▣ 주요 목차
제1부 가자미|흰 돌|영동 대설|애인|둑 너머|서리|중산리|오십 년 행방불명 박선돈 씨|竹西|운문사|흙 조각|흰 개|청도 지나|李處士略傳|자부라미|한판|스위치백
제2부 나의 측백나무|아현|눈 오는 아이들|걸음걸음|기다리는 시간|일곱 살|겨울의 처음에서|손을 뒤집고|잠든 집|무력|대나무 총판|무서운 각목|나른하다는|비틀|서울 노파|양자강|땅끝|소식|암호|귀신 수염|군무|하얀 밤|북경서역에서|카헤라에서
제3부 새가 올 때|의자|예인치과에서|자백|남산 남동|임꺽정 3-289|진주 목걸이|변신|칼잡이|물의 사주|고니 크리스탈 포밍 컬러 필름|뽀또시|옌볜 거리|혁명가들, 붉은 장정의|바깥 놀이|폭설이 쌓이는 날|정라|寧國寺
해설 이경수
시인의 말
생의 겨울에서 부쳐온 봄소식
동해에서 날아온 반가운 소식에 시인의 마음이 들썩인다. 꼭꼭 눌러쓴 주소만큼이나 정성 들였을 가자미식해는 오래 삭혀야 제맛이 나는 음식이다. 시인의 표현을 빌리자면 그 속에는 “빨간 피보다 전설이 많”이 녹아 있다. “겨울에서 겨울로 익어”가는 “오래고 삭고 긴 가계”는 할머니의 삶을 지나고 “어머니의 눈”을 지나 시인의 삶으로 전해져온다. “무 고추 마늘 메좁쌀 엿기름”에 “물 떠난 생물” 가자미가 “몸 비비고 피 나누며” 삭은 음식은 고향에서 살아온 사람들의 세월과 전설을 담고 있다. 시인은 음식 하나로 그 음식을 먹으며 살아온 이들의 마음과 역사를 담아낼 줄 아는 것이다.
날씨가 차가워지면 북쪽에서 반가운 소포가 온다
눌러쓴 주소 안고 비닐로 겹겹이 싸여 석류처럼 빨갛게 가자미 온다
동해 먼 곳 외할머니 보내신 식해 빨간 피보다 전설이 많아 이 생 저 생 녹아 있다
무 고추 마늘 메좁쌀 엿기름 물 떠난 생물 몸 비비고 피 나누며 숨죽인다
만삭의 독 소식 풀면 끊어진 몸 추슬러 살 속 흰 뼈를 녹인다
바다를 기억하는 날개 하나가 되어 헤엄치고 오래고 삭고 긴 가계 겨울에서 겨울로 익어간다
낮은 해류를 지나온 가자미 식탁에 올라 붉게 아침을 토한다 달이 가까운 또 어머니의 눈이 내리는 이곳
_「가자미」 전문
박승 시인의 시는 시골에서 태어나 도시에서 생활하는 중년의 목소리를 대변한다. 중간자로서 이 시대의 중년은 고향에서 날아온 반가운 소식에 마음이 움직이고, 추억 속의 할머니들이 살고 있는 “지붕 위 눈얼음이 자라는 마을”(「영동 대설」)로 돌아가고 싶다. 그런 반면, 그들은 도시의 일상을 심상한 표정으로 살아가는 생활인이기도 하다. 한 가정의 가장이자 직장인으로서 그들이 머무는 곳은 주로 사무실이거나 지하철, 주말 오후의 집이다. 종종 자신의 삶을 옥죄고 있는 현실로부터 벗어나 생이 처음 시작된 고향으로 돌아가고 싶지만, 그들은 끝없는 철로를 달려온 열차처럼 돌아갈 수 없는 철길 너머를 물끄러미 바라만 보고 서 있을 뿐이다. 이미 자신은 너무 먼 곳으로 떠나온 것만 같다.
뒤로 간다 뒤로 저 산 저 길 저 언덕 올라간다
기억을 따라 시간을 따라 가난한 햇빛 가난한 잔설 산이 막아둔 길 넘어간다 고지의 차가운 작은 새벽 여인숙에서 간다
눈물 나는 검은 눈 낮은 방에서 나는 그의 손을 잡는다 새벽의 내리막길 기다리다 마른 그가 누운 바닷가 낡은 집 찾아간다 팔은 줄고 다리는 가냘프니
산의 허리 무엇을 보나 허리에서 눈부신 서리 차기만 한 서리 곁으로 곁으로 시간이 멈추고 다시 세상이 덜컹거릴 때가 올 때 다시 앞으로 구를 때가 올 때 다시 앞으로 나를 굴려야 할 때가 올 때 바다의 고장을 떠나 흙의 사람이 되기 전 뒤로 뒤로
_「스위치백」 전문
세상에는 뒤로 가야만 앞으로 나아갈 수 있는 기차가 있다. 우리나라에는 과거 금강산선, 영동선 흥전―나한정 구간에서 운행되었지만 지금은 모두 없어지고 만 스위치백(Switchback)이라는 방식을 통해서다. 스위치백이란 고도차가 많이 나는 지역에서 사용하는 철도 운행 체계로 ‘Z’자형으로 설치된 철로를 열차가 전진과 후진을 반복하며 이동해 경사를 극복한다. 말 그대로 뒤로 물러남으로써 전진을 도모할 수 있는 것이다.
앞으로 나아가기 위해 한걸음 뒤로
바닥에 넘어진 그림자 길을 넘는다 낮은 계단 밋밋한 시멘트 길 따라 저기 측백 한 그루 서 있다
낯선 아침 허리를 잡고 돌았던 나무 흔들리는 가로등 불빛 이정표처럼 단호한 뿌리
측백은 밤과 낮을 나누지 않는다 도시와 옛것 살갗에 묻힌 채 지나온 커브길 감아올린다
퍼덕이는 사진 속 시절 걸음과 만나는 나무는 가지에 삭아버린 흙 쌓아가며 자라고 있다
가려진 달 솟아 감긴 눈 궁굴리는 모퉁이 나는 명백하게 알고 있다 나무는 언제고 여기서 돌아가리라는 것을
_「나의 측백나무」 전문
“낮은 계단 밋밋한 시멘트 길 따라” 서 있는 측백나무는 시인을 상징하기도 한다. 이 측백나무는 “밤과 낮을 나누지 않”고 “도시와 옛것 살갗에 묻힌 채 지나온 커브길 감아올”리며 “단호한 뿌리”로 버티고 서 있다. 생의 원천이 되는 고향을 떠나 서울에 이른 시인의 현재처럼 말이다.
과거와 현재, 두 축을 오가며 도시의 일상과 과거를 수시로 다녀가던 시인은 “기억을 따라 시간을 따라 가난한 햇빛 가난한 잔설 산이 막아둔 길 넘어” 비로소 현재로 돌아온다. 그곳에는 자신이 새로이 일구어놓은 또 다른 가족이 그를 기다리고 있기 때문이다.
손으로 발로 다 만지지 못할
미로 같은 놀이가 기다리고 있을지
이런 여우비 아니라 억수장마 며칠을 내려도
바깥 놀이를 가야 할지도 아이야
바깥 놀이에 젖은 아빠
네 팔을 안고 방에서 잠을 자고 싶단다
_「바깥 놀이」 부분
시인은 어쩌면 현재로 돌아오기 위해, 그곳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기 위해 끊임없이 자신을 키워온 생의 원천으로 갔다 오는 오랜 여행을 하고 있었는지도 모른다. 비오는 어느 주말 딸아이의 “팔을 안고 방에서 잠을 자고 싶”은 시인이 놓쳐버린 한쪽 손은 고향에서 손자를 키워준 할머니의 손이자, 바로 시인 자신의 손이었다. 과거와 화해하고 현재를 보듬는 시인의 마음은 결국 지금 여기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기 위한 바람이다. “다시 세상이 덜컹거릴 때가 올 때 다시 앞으로 구를 때가 올 때” 앞으로 묵묵히 나아가기 위해서는 “뒤로 뒤로” 천천히 가면서 자신을 되돌아보는 시간이 그에게는 필요했다.
▣ 작가 소개
박승
1971년 경남 밀양에서 태어나, 2004년 『민족예술』로 등단했다.
▣ 주요 목차
제1부 가자미|흰 돌|영동 대설|애인|둑 너머|서리|중산리|오십 년 행방불명 박선돈 씨|竹西|운문사|흙 조각|흰 개|청도 지나|李處士略傳|자부라미|한판|스위치백
제2부 나의 측백나무|아현|눈 오는 아이들|걸음걸음|기다리는 시간|일곱 살|겨울의 처음에서|손을 뒤집고|잠든 집|무력|대나무 총판|무서운 각목|나른하다는|비틀|서울 노파|양자강|땅끝|소식|암호|귀신 수염|군무|하얀 밤|북경서역에서|카헤라에서
제3부 새가 올 때|의자|예인치과에서|자백|남산 남동|임꺽정 3-289|진주 목걸이|변신|칼잡이|물의 사주|고니 크리스탈 포밍 컬러 필름|뽀또시|옌볜 거리|혁명가들, 붉은 장정의|바깥 놀이|폭설이 쌓이는 날|정라|寧國寺
해설 이경수
시인의 말
01. 반품기한
- 단순 변심인 경우 : 상품 수령 후 7일 이내 신청
- 상품 불량/오배송인 경우 : 상품 수령 후 3개월 이내, 혹은 그 사실을 알게 된 이후 30일 이내 반품 신청 가능
02. 반품 배송비
반품사유 | 반품 배송비 부담자 |
---|---|
단순변심 | 고객 부담이며, 최초 배송비를 포함해 왕복 배송비가 발생합니다. 또한, 도서/산간지역이거나 설치 상품을 반품하는 경우에는 배송비가 추가될 수 있습니다. |
고객 부담이 아닙니다. |
03. 배송상태에 따른 환불안내
진행 상태 | 결제완료 | 상품준비중 | 배송지시/배송중/배송완료 |
---|---|---|---|
어떤 상태 | 주문 내역 확인 전 | 상품 발송 준비 중 | 상품이 택배사로 이미 발송 됨 |
환불 | 즉시환불 | 구매취소 의사전달 → 발송중지 → 환불 | 반품회수 → 반품상품 확인 → 환불 |
04. 취소방법
- 결제완료 또는 배송상품은 1:1 문의에 취소신청해 주셔야 합니다.
- 특정 상품의 경우 취소 수수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05. 환불시점
결제수단 | 환불시점 | 환불방법 |
---|---|---|
신용카드 | 취소완료 후, 3~5일 내 카드사 승인취소(영업일 기준) | 신용카드 승인취소 |
계좌이체 |
실시간 계좌이체 또는 무통장입금 취소완료 후, 입력하신 환불계좌로 1~2일 내 환불금액 입금(영업일 기준) |
계좌입금 |
휴대폰 결제 |
당일 구매내역 취소시 취소 완료 후, 6시간 이내 승인취소 전월 구매내역 취소시 취소 완료 후, 1~2일 내 환불계좌로 입금(영업일 기준) |
당일취소 : 휴대폰 결제 승인취소 익월취소 : 계좌입금 |
포인트 | 취소 완료 후, 당일 포인트 적립 | 환불 포인트 적립 |
06. 취소반품 불가 사유
- 단순변심으로 인한 반품 시, 배송 완료 후 7일이 지나면 취소/반품 신청이 접수되지 않습니다.
- 주문/제작 상품의 경우, 상품의 제작이 이미 진행된 경우에는 취소가 불가합니다.
- 구성품을 분실하였거나 취급 부주의로 인한 파손/고장/오염된 경우에는 취소/반품이 제한됩니다.
- 제조사의 사정 (신모델 출시 등) 및 부품 가격변동 등에 의해 가격이 변동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반품 및 가격보상은 불가합니다.
- 뷰티 상품 이용 시 트러블(알러지, 붉은 반점, 가려움, 따가움)이 발생하는 경우 진료 확인서 및 소견서 등을 증빙하면 환불이 가능하지만 이 경우, 제반 비용은 고객님께서 부담하셔야 합니다.
- 각 상품별로 아래와 같은 사유로 취소/반품이 제한 될 수 있습니다.
상품군 | 취소/반품 불가사유 |
---|---|
의류/잡화/수입명품 | 상품의 택(TAG) 제거/라벨 및 상품 훼손으로 상품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된 경우 |
계절상품/식품/화장품 | 고객님의 사용, 시간경과, 일부 소비에 의하여 상품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
가전/설치상품 | 전자제품 특성 상, 정품 스티커가 제거되었거나 설치 또는 사용 이후에 단순변심인 경우, 액정화면이 부착된 상품의 전원을 켠 경우 (상품불량으로 인한 교환/반품은 AS센터의 불량 판정을 받아야 합니다.) |
자동차용품 | 상품을 개봉하여 장착한 이후 단순변심의 경우 |
CD/DVD/GAME/BOOK등 | 복제가 가능한 상품의 포장 등을 훼손한 경우 |
상품의 시리얼 넘버 유출로 내장된 소프트웨어의 가치가 감소한 경우 | |
노트북, 테스크탑 PC 등 | 홀로그램 등을 분리, 분실, 훼손하여 상품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하여 재판매가 불가할 경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