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소개
▣ 출판사서평
차문화와 전통을 말하기 위한 세 가지 조건
전통이란 일정 단위의 공동체가 존재하는 것을 전제로 그 공동체의 생활을 지속시키는 정신적, 물질적 양식이다. 또한 현재의 생활과 필연적 관계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지금 우리가 흔히 말하는 전통차는 ‘전통’ 개념을 함부로 끌어다 붙였다 해도 과언이 아닐 만큼 철저한 역사의식과 논리가 결핍돼 있다.
흔히 말하는 ‘다도’ 또한 그렇다. ‘다도’라는 말은 1960년대에 우리 생활에 파고들었다. 일본 차문화의 고유 명칭인 ‘차도’와 차를 끓이고 끓인 차를 손님 앞에 내놓거나 차를 마시는 ‘행다’(行茶)를 배우면서부터다. 신라 중엽에 중국의 차문화가 처음 알려졌으나 ‘茶道’라는 말의 흔적은 발견되지 않았고, 고려 때도 송의 차문화 영향을 크게 받았지만 ‘茶道’라는 말은 사용하지 않았다. 조선시대에 들어서도 ‘차’라는 말 외에 ‘茶道’라는 글자가 따로 사용된 기록은 보이지 않는다. 국가적 외교나 공식 행사, 왕실과 귀족, 사대부들이 차를 마셨다는 기록에도 ‘차’만 있을 뿐 ‘茶道’는 없었다. 한국의 다도는 일본 차도의 영향을 받아 형성된 말이다. 차를 끓이고 마시는 방법 모두 일본 차도를 근간으로 삼았다. 놀라운 양적 팽창에도 불구하고 한국 ‘다도’의 정체성과 독자성, 그리고 동아시아 차문화의 상징적 명칭인 ‘茶道’와의 관계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평가가 계속돼왔다. 특히 한국의 다도는 중국과 일본의 ‘茶道’가 수천 년 시간을 겪으면서 확립해온 것처럼 보편성과 독자성을 인정할 만한 사료가 분명하지 않다는 지적이 공식적으로 제기되기도 했다.
중국과 일본에서는 오랜 역사를 통해 차문화가 확립됐는데, 이에 따라 차문화와 전통을 말하기 위해서는 다음의 세 가지 조건을 제대로 갖춰야 한다. 첫째는 독자적으로 만든 차가 있어야 할 것, 둘째는 그 차를 끓이고 마시는 데 고유의 찻그릇을 갖출 것, 셋째는 차 마시는 법, 즉 차법이 확립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 세 가지가 반드시 독자적으로 그 나라의 정체성을 보여주어야만 ‘전통차’라고 말할 수 있다. 그렇다면 한국의 차문화는 어떠한가?
차(茶), 군대 없이 상대를 정복할 수 있는 정신 전쟁의 무기
저자는 수십 년 동안 차문화를 연구하고 발굴해 널리 알리는 작업을 해오면서, 한국 차문화와 그 역사가 똑바로 자리를 잡지 못해 마음 쓰린 지경에 처해온 것을 지켜보았다. 유럽 주요 도시에서는 중국이나 일본 대사관의 문화원이 주관하는 차 관련 행사가 자주 열리는데, 대체로 중국차·일본차·한국차를 동시에 비교 체험하는 프로그램이 많다. 세 나라의 차인들이 자기들만의 방식으로 차회를 진행하고 문답 시간이 가질 때면, 주로 한국 차에 대한 질문을 많이 받았다. 한국 차법은 중국과 일본 두 나라의 차법과 매우 닮았는데, 어디서부터 어디까지를 한국 차로 볼 수 있냐는 내용이 대부분이었다. 시드니, 런던, 파리, 뉴욕 등지에서 모두 비슷한 질문을 받곤 했다. 행사 주관자가 중국과 일본의 대사관이었기 때문에 그럴 수도 있지만, 단순하게 답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었다. 한국대사관에서는 이와 같은 행사를 주관한 일조차 없었다. 저자는 우리나라가 실상 차문화의 중요성을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고 보고 있다.
기호음료 ‘차’는 기원전부터 인류의 생활 속에 등장했다. 고대인들에게 차는 생존에 꼭 필요한 약으로 쓰였고, 더 넓게는 신에게 바치는 제사음식으로도 사용되었다. 우리나라에 중국 차문화가 전해진 6세기 이후로, 차는 신라, 고려, 조선시대 중반 이전 상류층 사람들의 기호음료가 되었다. 중국에서 수입한 차와 우리나라에서 생산된 차를 두루 마셨다. 중국 차문화의 영향을 많이 받았으나 한국 차문화에는 매우 상징적인 특징이 있다. 손님을 편안하게 모시는 겸손 위에 차살림을 펼치는 행위가 그렇다. 좋은 차를 지성으로 달여 권하는 일을 통해 겸손의 덕을 기르고 고마움과 공경하는 마음을 갖는다. 차를 내는 사람은 위압적이거나 상대를 불편하게 해서는 안 된다. 정치·경제·사회의 위대한 지도자는 물론 문학과 예술에서도 불멸의 작품을 남긴 이들이 대부분 차에서 큰 힘과 영감을 얻었다.
고려시대에는 ‘중형주대의’(重刑奏對儀)라는 제도가 있었는데, 이는 신하가 중죄를 범해 사형이나 이에 준하는 엄한 판결을 받게 되었을 때 왕이 사헌부 관리와 함께 차를 마시면서 형벌 정도를 토론한 제도다. 판결이 엄정하고 신중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기 위한 것인데, 이때 차는 냉철한 이성과 편향되지 않은 견해를 내는 데 도움을 준다고 여겨졌다. 조선 중엽 사헌부의 ‘차시’(茶時)는 감찰들이 사헌부와 같이 감독하고 검열하는 관청에 모였다가 파하는 것으로, 이는 차를 마시고 파하는 것이었다. 기록을 통해 차를 마시는 것이 휴식이 아니라 업무의 연장이었음을 알 수 있다. 업무를 보기에 앞서 정신을 맑게 가다듬고 공정한 판단과 엄정한 일처리를 위해서 차를 마신 것이다. 명분과 체통을 목숨같이 여겼던 조선시대에 관료들이 차와 함께 정신을 다스려 소통하는 자리는 또 있었다. ‘사다’(賜茶), ‘사좌(賜座)의 예(禮)’도 정치적 소통 방법으로서 차가 훌륭한 역할을 했음을 보여준다. 임금과 신하가 한 자리에 앉아 차를 마시면서 여러 문제나 정치적 사안 또는 개인적 소견을 말하는 방법이었다.
차살림론으로 차문화의 독립을 외쳐오다
저자 정동주는 1966년 처음 차를 마셔본 이래 50년째 차와 더불어 살고 있다. 1980년에 처음 차 만드는 실험을 시작했고, 중국차의 약효와 품격, 일본차의 멋과 맛에 비교해 한국차만의 특성을 밝히고 그 독자성을 구체화시키는 데 긴 시간을 보냈다. 숱한 곡절 끝에 1990년 무렵에 반 발효차의 약효와 차의 품격에 대해 안정된 확신을 얻었고, 중국과 일본의 오랜 차문화를 바탕으로 볼 때 여기에 견주기 위해서는 한국 차문화에만 사용하는 찻그릇과 차 마시는 법도까지 분명히 갖춰야 한다는 결론을 얻었다. 이에 따라 연구를 쉬지 않은 저자는 도예가들과 긴 세월 토론을 거쳐 보듬이라 불리는 우리만의 찻그릇 형태를 연구하고 만들어냈다. 고된 연구 끝에 보듬이는 이제 안정된 형태와 빛깔로 해외에서도 인정받고 있다. 또한 우리 차법을 정립하는 데도 여러 해가 걸렸다. 일본과 중국의 차문화와 함께 놓고 볼 때 한국 차문화에 잘못 배어든 것, 즉 버려야 할 것이 무엇이고 또 어디를 지향해야 하는지 끊임없이 고민한 것이다.
그는 한국의 차문화가 중국과 일본의 ‘茶道’가 아니라 혹여 다른 문화의 영향을 받지는 않았는지, 독자성을 평가할 만한 유산이 남아 있지는 않은지 오랜 시간 추적해왔다. 유장하고 도도한 중국과 일본 ‘茶道’ 역사에 가려 아예 잊혔거나 희미하게 흐려진 한국 차문화의 원형이 없는지 찾아 헤맸다. 그렇게 해서 우리의 토종 인문학이라 할 ‘차살림학’을 창안했다. 지난 50여 년 동안 ‘다도’와 ‘행다’ 행위를 한국 차문화의 정체성인 것처럼 일컫고 가르쳐온 데 대한 뼈아픈 반성이고, 이를 견디고 이겨내면서 매진한 연구였다.
차 한 잔에 담긴 ‘보태주기, 챙겨주기, 돌봐주기, 보살피기, 섬기기’의 미덕
본디 중국 당나라 승려 교연의 시에 처음 쓰인 ‘다도’가 일본에서 ‘차도’가 되고, 한국은 중국의 ‘차다오’와 일본의 ‘차도’ 사이에서 이도 저도 아닌 차법이 통용됐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차살림’ 개념을 정립하고, 한국 차문화의 정체성을 새롭게 탐구한 것이다. 일찍이 차에 탐닉하고 그 정신성을 높이 산 다산 정약용과 초의선사 등 역사 속 인물과 기록의 자취를 따라 우리 고유의 차문화를 이론적으로 뒷받침하고, 이렇게 바로 세운 ‘차’의 정신성을 되살려 현대 한국인의 생활에 맞춰 ‘차살림’으로 다듬었다. 내 몸을 살리고, 가족과 이웃을 살리고, 혼자서는 살 수 없는 우리 일상에서 ‘보태주기, 챙겨주기, 돌봐주기, 보살피기, 섬기기’ 등을 구체적 방법으로 구현해낸 것이 바로 ‘차살림’이다.
저자는 동아시아 차문화사 전반에 걸쳐 폭넓은 연구와 강의를 진행하고 있다. 그동안 차와 그릇에 관한 책을 6권 저술했다. 2000년부터 지금까지 16년째 강의하고 있는 주제는 모두 22가지다. 1 차살림론, 2 『백장선원청규』(百丈禪苑淸規), 3 육우의 『다경』(茶經), 4 초의의 『동다송』(東茶頌), 5 이목의 『다부』(茶賦), 6 다례사(茶禮史), 7 그릇의 사회사, 8 불교문화와 차, 9 비교차문화론서양의 차 의식, 한·중·일의 차문화 비교, 10 사림학파와 차문화의 계보, 11 차시(茶詩), 12 차의 효능과 약, 13 헌다의 미의식과 제사, 14 차와 불살생: 채식 세계, 15 찻그릇의 미학, 16 한국 잎차문화의 역사, 17 차와 명상, 18 제다론, 19 한국차문화론, 20 차살림법 이론과 실제, 21 차살림학, 22 중국·일본 차문화 체험과 비교론 등이다.
오랫동안 차살림론을 강의하면서 ‘차문화 독립운동’을 말해온 저자는 차를 통해 우리나라 차문화가 바로서는 것뿐만 아니라 차가 그 자체로 토종 인문학의 씨앗이 되기를, 수입 학문의 열대우림 속에서 온대성 소나무 같은 학문이 되기를 바라고 있다.
개정판을 내며
한편 이 책은 2013년 출간된 책의 개정판으로, 일부 용어를 수정하였다. 동다완(東茶碗)은 보듬이로, 동다살림은 차살림으로, 다관(茶罐)은 차우림이로 수정하는 등의 노력을 통해 저자는 차문화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을 가급적이면 우리말로 표현하려고 하였다.
앞서 언급했듯이, 한국은 ‘차 식민지’라는 말을 듣고 있을 정도로 중국이나 일본과는 달리 한국만의 독자적인 차문화를 확립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그러나 ‘식민지’화된 문화는 비단 차문화뿐만이 아닐 것인데, 특히 언어의 사용에서 이러한 경향이 두드러진다.
언어는 문화의 뿌리이자 그것을 만들어가는 주춧돌이다. 이러한 점에서 문화의 ‘독립’을 외칠 때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올바른 언어를 사용하는 것이다. 저자는 이번 개정판에서 일부 용어들을 우리말로 수정하면서, ‘차 식민지’라는 말에서 나타나는 한국 문화에 내재한 ‘모방과 종속의 틀’이 해체되기를, 나아가 이 책이 한국 차문화의 독립과 함께 한국의 사라진 전통문화를 복원하는 데 일조할 수 있기를 바라고 있다.
▣ 작가 소개
정동주
1948년 경남 진양에서 태어났다. 장편시 『순례자』, 서사시 『논개』를 비롯해 대하소설 『백정』 『단야』 『민적』, 장편소설 『콰이강의 다리』 등 40여 권의 시집과 소설집을 발표했다. 마당굿 「진양살풀이」와 오페라 「조선의 사랑 논개」의 대본을 집필했다. 1990년 초부터 인문학 공부를 시작하여 『카레이스끼 또 하나의 민족사』 『부처, 통곡하다』 『어머니의 전설 』 『늘 푸른 소나무』 『느티나무가 있는 풍경』 『장계향 조선의 큰어머니』 등 역사·종교 분야를 읽고 썼다. 1990년 중반 이후 한국·중국·일본의 차문화를 비교하여 한국 차문화의 독자성을 세우기 위한 비교차문화론 연구와 강의를 시작했다. 2013년 ‘차살림학’을 정립하여 강의와 집필에 전념하고 있다. 『한국 차살림』 『한국인과 차 』 『우리시대 찻그릇은 무엇인가』 『차우림이에 담긴 한중일의 차 문화사』 『조선 막사발과 이도다완』 『차와 차살림』 등 차와 도자기 문화에 관한 비평적 연구의 성과물을 내놓고 있다.
▣ 주요 목차
들어가는 글
생명을 살리는 한국의 차·5
1 한국 차문화, 독자성 확립을 위하여
차는 무엇인가·15
자연으로 돌아가는 길의 안내자·19 | 막힌 것을 뚫고 닫힌 것을 열어 함께 사는 것·25
느림의 시간표·27 | 차, 그 하나의 모든 것·31
차를 왜 마시는가·35
신과 소통하는 수단으로서의 차·35 | 정치적 소통 방법으로서의 차·37
화두 소통과 차·40 | 사람과 사람의 소통과 차·42
차문화의 독자성과 한국인의 정체성·53
차문화의 독자성·54 | 다도의 내력과 차문화·56
한문의 힘과 짐·61 | 차의 정신성과 생활 속에서의 역할·68
2 제사 역사와 차문화의 원류
한국 차문화사의 새로운 바탕을 다지기 위하여·77
희미한 역사의 흔적 다시 읽기·83
백산차·83 | 「가락국기」의 난액·85
식물즙 제수의 종류와 역사·91
인도의 제사와 제수·92 | 잉카·마야 문명의 제사와 제수·97 | 고대 에티오피아의
제사와 제수·99 | 중국의 제사와 제수·99 | 고대 한국의 제사와 제수·101
식물즙, 정화수, 차의 관계·111
중국 차문화의 수입·111 | 정화수 신앙과 차·113 | 알가와 차·118
3 한국 차문화의 상징인 동다의 이해
동다란 무엇인가·133
동다 개념 정립의 필요성·133 | 동東, 한국의 정체성과 문화적 바탕·139
‘동인’과 ‘동다’에 관한 고뇌의 흔적들·145 | ‘차, 떼·데, 다’의 문화·170
조선시대 차문화와 동다 개념의 변화·177
조선 초기 차문화의 특징·177 | 16·17·18세기 조선의 차문화·216
4 차살림
살림의 본질·223
한국의 살림 정신·231
정화수살림: 생명의 관계 철학·231 | 부엌살림: 생명, 음식의 상대성·235
동제살림: 공존의 아름다움·237 | 고수레살림: 기도의 참뜻·247
살림의 내력·251
육식, 살생과 잘못된 포만·251 | 죽임의 문화·255
온생명, 적자생존과 약육강식의 폭력성을 극복한다·258
차살림·263
다도와 차살림·263 | 차살림의 조건·266
차살림의 갈래·271
길눈이·278 | 내외살림·281 | 오붓살림·285
모두살림·286 | 헌다살림·289
5 차살림법의 세계
‘보듬이’의 뜻과 만든 까닭·295
‘보듬이’의 미학적 원류와 응용·303
빗살무늬토기완과 빗살무늬보듬이-신神과의 소통·304 | 번개무늬토기완과
뱀문양보듬이-비와 풍요를 위한 기도·310 | 사람얼굴무늬토기완과
신라의미소보듬이-상생의 화엄 노래·314 | 연리문다완과 청마연리문보듬이-
모든 것의 관계·318 | 톱니무늬다완과 수壽자무늬보듬이-자연에의 귀의·322
흑도완과 회령유보듬이·328 | 흑유다완·330 | 청자철재다완과 석간주보듬이·332
인화문다완과 인화문보듬이·334
차살림법의 모습·337
차살림법의 역사ㆍ문화적 근원·339 | 차살림에서 쓰는 도구들·355
차살림법의 세계·363
참고문헌·389
차문화와 전통을 말하기 위한 세 가지 조건
전통이란 일정 단위의 공동체가 존재하는 것을 전제로 그 공동체의 생활을 지속시키는 정신적, 물질적 양식이다. 또한 현재의 생활과 필연적 관계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지금 우리가 흔히 말하는 전통차는 ‘전통’ 개념을 함부로 끌어다 붙였다 해도 과언이 아닐 만큼 철저한 역사의식과 논리가 결핍돼 있다.
흔히 말하는 ‘다도’ 또한 그렇다. ‘다도’라는 말은 1960년대에 우리 생활에 파고들었다. 일본 차문화의 고유 명칭인 ‘차도’와 차를 끓이고 끓인 차를 손님 앞에 내놓거나 차를 마시는 ‘행다’(行茶)를 배우면서부터다. 신라 중엽에 중국의 차문화가 처음 알려졌으나 ‘茶道’라는 말의 흔적은 발견되지 않았고, 고려 때도 송의 차문화 영향을 크게 받았지만 ‘茶道’라는 말은 사용하지 않았다. 조선시대에 들어서도 ‘차’라는 말 외에 ‘茶道’라는 글자가 따로 사용된 기록은 보이지 않는다. 국가적 외교나 공식 행사, 왕실과 귀족, 사대부들이 차를 마셨다는 기록에도 ‘차’만 있을 뿐 ‘茶道’는 없었다. 한국의 다도는 일본 차도의 영향을 받아 형성된 말이다. 차를 끓이고 마시는 방법 모두 일본 차도를 근간으로 삼았다. 놀라운 양적 팽창에도 불구하고 한국 ‘다도’의 정체성과 독자성, 그리고 동아시아 차문화의 상징적 명칭인 ‘茶道’와의 관계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평가가 계속돼왔다. 특히 한국의 다도는 중국과 일본의 ‘茶道’가 수천 년 시간을 겪으면서 확립해온 것처럼 보편성과 독자성을 인정할 만한 사료가 분명하지 않다는 지적이 공식적으로 제기되기도 했다.
중국과 일본에서는 오랜 역사를 통해 차문화가 확립됐는데, 이에 따라 차문화와 전통을 말하기 위해서는 다음의 세 가지 조건을 제대로 갖춰야 한다. 첫째는 독자적으로 만든 차가 있어야 할 것, 둘째는 그 차를 끓이고 마시는 데 고유의 찻그릇을 갖출 것, 셋째는 차 마시는 법, 즉 차법이 확립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 세 가지가 반드시 독자적으로 그 나라의 정체성을 보여주어야만 ‘전통차’라고 말할 수 있다. 그렇다면 한국의 차문화는 어떠한가?
차(茶), 군대 없이 상대를 정복할 수 있는 정신 전쟁의 무기
저자는 수십 년 동안 차문화를 연구하고 발굴해 널리 알리는 작업을 해오면서, 한국 차문화와 그 역사가 똑바로 자리를 잡지 못해 마음 쓰린 지경에 처해온 것을 지켜보았다. 유럽 주요 도시에서는 중국이나 일본 대사관의 문화원이 주관하는 차 관련 행사가 자주 열리는데, 대체로 중국차·일본차·한국차를 동시에 비교 체험하는 프로그램이 많다. 세 나라의 차인들이 자기들만의 방식으로 차회를 진행하고 문답 시간이 가질 때면, 주로 한국 차에 대한 질문을 많이 받았다. 한국 차법은 중국과 일본 두 나라의 차법과 매우 닮았는데, 어디서부터 어디까지를 한국 차로 볼 수 있냐는 내용이 대부분이었다. 시드니, 런던, 파리, 뉴욕 등지에서 모두 비슷한 질문을 받곤 했다. 행사 주관자가 중국과 일본의 대사관이었기 때문에 그럴 수도 있지만, 단순하게 답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었다. 한국대사관에서는 이와 같은 행사를 주관한 일조차 없었다. 저자는 우리나라가 실상 차문화의 중요성을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고 보고 있다.
기호음료 ‘차’는 기원전부터 인류의 생활 속에 등장했다. 고대인들에게 차는 생존에 꼭 필요한 약으로 쓰였고, 더 넓게는 신에게 바치는 제사음식으로도 사용되었다. 우리나라에 중국 차문화가 전해진 6세기 이후로, 차는 신라, 고려, 조선시대 중반 이전 상류층 사람들의 기호음료가 되었다. 중국에서 수입한 차와 우리나라에서 생산된 차를 두루 마셨다. 중국 차문화의 영향을 많이 받았으나 한국 차문화에는 매우 상징적인 특징이 있다. 손님을 편안하게 모시는 겸손 위에 차살림을 펼치는 행위가 그렇다. 좋은 차를 지성으로 달여 권하는 일을 통해 겸손의 덕을 기르고 고마움과 공경하는 마음을 갖는다. 차를 내는 사람은 위압적이거나 상대를 불편하게 해서는 안 된다. 정치·경제·사회의 위대한 지도자는 물론 문학과 예술에서도 불멸의 작품을 남긴 이들이 대부분 차에서 큰 힘과 영감을 얻었다.
고려시대에는 ‘중형주대의’(重刑奏對儀)라는 제도가 있었는데, 이는 신하가 중죄를 범해 사형이나 이에 준하는 엄한 판결을 받게 되었을 때 왕이 사헌부 관리와 함께 차를 마시면서 형벌 정도를 토론한 제도다. 판결이 엄정하고 신중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기 위한 것인데, 이때 차는 냉철한 이성과 편향되지 않은 견해를 내는 데 도움을 준다고 여겨졌다. 조선 중엽 사헌부의 ‘차시’(茶時)는 감찰들이 사헌부와 같이 감독하고 검열하는 관청에 모였다가 파하는 것으로, 이는 차를 마시고 파하는 것이었다. 기록을 통해 차를 마시는 것이 휴식이 아니라 업무의 연장이었음을 알 수 있다. 업무를 보기에 앞서 정신을 맑게 가다듬고 공정한 판단과 엄정한 일처리를 위해서 차를 마신 것이다. 명분과 체통을 목숨같이 여겼던 조선시대에 관료들이 차와 함께 정신을 다스려 소통하는 자리는 또 있었다. ‘사다’(賜茶), ‘사좌(賜座)의 예(禮)’도 정치적 소통 방법으로서 차가 훌륭한 역할을 했음을 보여준다. 임금과 신하가 한 자리에 앉아 차를 마시면서 여러 문제나 정치적 사안 또는 개인적 소견을 말하는 방법이었다.
차살림론으로 차문화의 독립을 외쳐오다
저자 정동주는 1966년 처음 차를 마셔본 이래 50년째 차와 더불어 살고 있다. 1980년에 처음 차 만드는 실험을 시작했고, 중국차의 약효와 품격, 일본차의 멋과 맛에 비교해 한국차만의 특성을 밝히고 그 독자성을 구체화시키는 데 긴 시간을 보냈다. 숱한 곡절 끝에 1990년 무렵에 반 발효차의 약효와 차의 품격에 대해 안정된 확신을 얻었고, 중국과 일본의 오랜 차문화를 바탕으로 볼 때 여기에 견주기 위해서는 한국 차문화에만 사용하는 찻그릇과 차 마시는 법도까지 분명히 갖춰야 한다는 결론을 얻었다. 이에 따라 연구를 쉬지 않은 저자는 도예가들과 긴 세월 토론을 거쳐 보듬이라 불리는 우리만의 찻그릇 형태를 연구하고 만들어냈다. 고된 연구 끝에 보듬이는 이제 안정된 형태와 빛깔로 해외에서도 인정받고 있다. 또한 우리 차법을 정립하는 데도 여러 해가 걸렸다. 일본과 중국의 차문화와 함께 놓고 볼 때 한국 차문화에 잘못 배어든 것, 즉 버려야 할 것이 무엇이고 또 어디를 지향해야 하는지 끊임없이 고민한 것이다.
그는 한국의 차문화가 중국과 일본의 ‘茶道’가 아니라 혹여 다른 문화의 영향을 받지는 않았는지, 독자성을 평가할 만한 유산이 남아 있지는 않은지 오랜 시간 추적해왔다. 유장하고 도도한 중국과 일본 ‘茶道’ 역사에 가려 아예 잊혔거나 희미하게 흐려진 한국 차문화의 원형이 없는지 찾아 헤맸다. 그렇게 해서 우리의 토종 인문학이라 할 ‘차살림학’을 창안했다. 지난 50여 년 동안 ‘다도’와 ‘행다’ 행위를 한국 차문화의 정체성인 것처럼 일컫고 가르쳐온 데 대한 뼈아픈 반성이고, 이를 견디고 이겨내면서 매진한 연구였다.
차 한 잔에 담긴 ‘보태주기, 챙겨주기, 돌봐주기, 보살피기, 섬기기’의 미덕
본디 중국 당나라 승려 교연의 시에 처음 쓰인 ‘다도’가 일본에서 ‘차도’가 되고, 한국은 중국의 ‘차다오’와 일본의 ‘차도’ 사이에서 이도 저도 아닌 차법이 통용됐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차살림’ 개념을 정립하고, 한국 차문화의 정체성을 새롭게 탐구한 것이다. 일찍이 차에 탐닉하고 그 정신성을 높이 산 다산 정약용과 초의선사 등 역사 속 인물과 기록의 자취를 따라 우리 고유의 차문화를 이론적으로 뒷받침하고, 이렇게 바로 세운 ‘차’의 정신성을 되살려 현대 한국인의 생활에 맞춰 ‘차살림’으로 다듬었다. 내 몸을 살리고, 가족과 이웃을 살리고, 혼자서는 살 수 없는 우리 일상에서 ‘보태주기, 챙겨주기, 돌봐주기, 보살피기, 섬기기’ 등을 구체적 방법으로 구현해낸 것이 바로 ‘차살림’이다.
저자는 동아시아 차문화사 전반에 걸쳐 폭넓은 연구와 강의를 진행하고 있다. 그동안 차와 그릇에 관한 책을 6권 저술했다. 2000년부터 지금까지 16년째 강의하고 있는 주제는 모두 22가지다. 1 차살림론, 2 『백장선원청규』(百丈禪苑淸規), 3 육우의 『다경』(茶經), 4 초의의 『동다송』(東茶頌), 5 이목의 『다부』(茶賦), 6 다례사(茶禮史), 7 그릇의 사회사, 8 불교문화와 차, 9 비교차문화론서양의 차 의식, 한·중·일의 차문화 비교, 10 사림학파와 차문화의 계보, 11 차시(茶詩), 12 차의 효능과 약, 13 헌다의 미의식과 제사, 14 차와 불살생: 채식 세계, 15 찻그릇의 미학, 16 한국 잎차문화의 역사, 17 차와 명상, 18 제다론, 19 한국차문화론, 20 차살림법 이론과 실제, 21 차살림학, 22 중국·일본 차문화 체험과 비교론 등이다.
오랫동안 차살림론을 강의하면서 ‘차문화 독립운동’을 말해온 저자는 차를 통해 우리나라 차문화가 바로서는 것뿐만 아니라 차가 그 자체로 토종 인문학의 씨앗이 되기를, 수입 학문의 열대우림 속에서 온대성 소나무 같은 학문이 되기를 바라고 있다.
개정판을 내며
한편 이 책은 2013년 출간된 책의 개정판으로, 일부 용어를 수정하였다. 동다완(東茶碗)은 보듬이로, 동다살림은 차살림으로, 다관(茶罐)은 차우림이로 수정하는 등의 노력을 통해 저자는 차문화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을 가급적이면 우리말로 표현하려고 하였다.
앞서 언급했듯이, 한국은 ‘차 식민지’라는 말을 듣고 있을 정도로 중국이나 일본과는 달리 한국만의 독자적인 차문화를 확립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그러나 ‘식민지’화된 문화는 비단 차문화뿐만이 아닐 것인데, 특히 언어의 사용에서 이러한 경향이 두드러진다.
언어는 문화의 뿌리이자 그것을 만들어가는 주춧돌이다. 이러한 점에서 문화의 ‘독립’을 외칠 때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올바른 언어를 사용하는 것이다. 저자는 이번 개정판에서 일부 용어들을 우리말로 수정하면서, ‘차 식민지’라는 말에서 나타나는 한국 문화에 내재한 ‘모방과 종속의 틀’이 해체되기를, 나아가 이 책이 한국 차문화의 독립과 함께 한국의 사라진 전통문화를 복원하는 데 일조할 수 있기를 바라고 있다.
▣ 작가 소개
정동주
1948년 경남 진양에서 태어났다. 장편시 『순례자』, 서사시 『논개』를 비롯해 대하소설 『백정』 『단야』 『민적』, 장편소설 『콰이강의 다리』 등 40여 권의 시집과 소설집을 발표했다. 마당굿 「진양살풀이」와 오페라 「조선의 사랑 논개」의 대본을 집필했다. 1990년 초부터 인문학 공부를 시작하여 『카레이스끼 또 하나의 민족사』 『부처, 통곡하다』 『어머니의 전설 』 『늘 푸른 소나무』 『느티나무가 있는 풍경』 『장계향 조선의 큰어머니』 등 역사·종교 분야를 읽고 썼다. 1990년 중반 이후 한국·중국·일본의 차문화를 비교하여 한국 차문화의 독자성을 세우기 위한 비교차문화론 연구와 강의를 시작했다. 2013년 ‘차살림학’을 정립하여 강의와 집필에 전념하고 있다. 『한국 차살림』 『한국인과 차 』 『우리시대 찻그릇은 무엇인가』 『차우림이에 담긴 한중일의 차 문화사』 『조선 막사발과 이도다완』 『차와 차살림』 등 차와 도자기 문화에 관한 비평적 연구의 성과물을 내놓고 있다.
▣ 주요 목차
들어가는 글
생명을 살리는 한국의 차·5
1 한국 차문화, 독자성 확립을 위하여
차는 무엇인가·15
자연으로 돌아가는 길의 안내자·19 | 막힌 것을 뚫고 닫힌 것을 열어 함께 사는 것·25
느림의 시간표·27 | 차, 그 하나의 모든 것·31
차를 왜 마시는가·35
신과 소통하는 수단으로서의 차·35 | 정치적 소통 방법으로서의 차·37
화두 소통과 차·40 | 사람과 사람의 소통과 차·42
차문화의 독자성과 한국인의 정체성·53
차문화의 독자성·54 | 다도의 내력과 차문화·56
한문의 힘과 짐·61 | 차의 정신성과 생활 속에서의 역할·68
2 제사 역사와 차문화의 원류
한국 차문화사의 새로운 바탕을 다지기 위하여·77
희미한 역사의 흔적 다시 읽기·83
백산차·83 | 「가락국기」의 난액·85
식물즙 제수의 종류와 역사·91
인도의 제사와 제수·92 | 잉카·마야 문명의 제사와 제수·97 | 고대 에티오피아의
제사와 제수·99 | 중국의 제사와 제수·99 | 고대 한국의 제사와 제수·101
식물즙, 정화수, 차의 관계·111
중국 차문화의 수입·111 | 정화수 신앙과 차·113 | 알가와 차·118
3 한국 차문화의 상징인 동다의 이해
동다란 무엇인가·133
동다 개념 정립의 필요성·133 | 동東, 한국의 정체성과 문화적 바탕·139
‘동인’과 ‘동다’에 관한 고뇌의 흔적들·145 | ‘차, 떼·데, 다’의 문화·170
조선시대 차문화와 동다 개념의 변화·177
조선 초기 차문화의 특징·177 | 16·17·18세기 조선의 차문화·216
4 차살림
살림의 본질·223
한국의 살림 정신·231
정화수살림: 생명의 관계 철학·231 | 부엌살림: 생명, 음식의 상대성·235
동제살림: 공존의 아름다움·237 | 고수레살림: 기도의 참뜻·247
살림의 내력·251
육식, 살생과 잘못된 포만·251 | 죽임의 문화·255
온생명, 적자생존과 약육강식의 폭력성을 극복한다·258
차살림·263
다도와 차살림·263 | 차살림의 조건·266
차살림의 갈래·271
길눈이·278 | 내외살림·281 | 오붓살림·285
모두살림·286 | 헌다살림·289
5 차살림법의 세계
‘보듬이’의 뜻과 만든 까닭·295
‘보듬이’의 미학적 원류와 응용·303
빗살무늬토기완과 빗살무늬보듬이-신神과의 소통·304 | 번개무늬토기완과
뱀문양보듬이-비와 풍요를 위한 기도·310 | 사람얼굴무늬토기완과
신라의미소보듬이-상생의 화엄 노래·314 | 연리문다완과 청마연리문보듬이-
모든 것의 관계·318 | 톱니무늬다완과 수壽자무늬보듬이-자연에의 귀의·322
흑도완과 회령유보듬이·328 | 흑유다완·330 | 청자철재다완과 석간주보듬이·332
인화문다완과 인화문보듬이·334
차살림법의 모습·337
차살림법의 역사ㆍ문화적 근원·339 | 차살림에서 쓰는 도구들·355
차살림법의 세계·363
참고문헌·389
01. 반품기한
- 단순 변심인 경우 : 상품 수령 후 7일 이내 신청
- 상품 불량/오배송인 경우 : 상품 수령 후 3개월 이내, 혹은 그 사실을 알게 된 이후 30일 이내 반품 신청 가능
02. 반품 배송비
반품사유 | 반품 배송비 부담자 |
---|---|
단순변심 | 고객 부담이며, 최초 배송비를 포함해 왕복 배송비가 발생합니다. 또한, 도서/산간지역이거나 설치 상품을 반품하는 경우에는 배송비가 추가될 수 있습니다. |
고객 부담이 아닙니다. |
03. 배송상태에 따른 환불안내
진행 상태 | 결제완료 | 상품준비중 | 배송지시/배송중/배송완료 |
---|---|---|---|
어떤 상태 | 주문 내역 확인 전 | 상품 발송 준비 중 | 상품이 택배사로 이미 발송 됨 |
환불 | 즉시환불 | 구매취소 의사전달 → 발송중지 → 환불 | 반품회수 → 반품상품 확인 → 환불 |
04. 취소방법
- 결제완료 또는 배송상품은 1:1 문의에 취소신청해 주셔야 합니다.
- 특정 상품의 경우 취소 수수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05. 환불시점
결제수단 | 환불시점 | 환불방법 |
---|---|---|
신용카드 | 취소완료 후, 3~5일 내 카드사 승인취소(영업일 기준) | 신용카드 승인취소 |
계좌이체 |
실시간 계좌이체 또는 무통장입금 취소완료 후, 입력하신 환불계좌로 1~2일 내 환불금액 입금(영업일 기준) |
계좌입금 |
휴대폰 결제 |
당일 구매내역 취소시 취소 완료 후, 6시간 이내 승인취소 전월 구매내역 취소시 취소 완료 후, 1~2일 내 환불계좌로 입금(영업일 기준) |
당일취소 : 휴대폰 결제 승인취소 익월취소 : 계좌입금 |
포인트 | 취소 완료 후, 당일 포인트 적립 | 환불 포인트 적립 |
06. 취소반품 불가 사유
- 단순변심으로 인한 반품 시, 배송 완료 후 7일이 지나면 취소/반품 신청이 접수되지 않습니다.
- 주문/제작 상품의 경우, 상품의 제작이 이미 진행된 경우에는 취소가 불가합니다.
- 구성품을 분실하였거나 취급 부주의로 인한 파손/고장/오염된 경우에는 취소/반품이 제한됩니다.
- 제조사의 사정 (신모델 출시 등) 및 부품 가격변동 등에 의해 가격이 변동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반품 및 가격보상은 불가합니다.
- 뷰티 상품 이용 시 트러블(알러지, 붉은 반점, 가려움, 따가움)이 발생하는 경우 진료 확인서 및 소견서 등을 증빙하면 환불이 가능하지만 이 경우, 제반 비용은 고객님께서 부담하셔야 합니다.
- 각 상품별로 아래와 같은 사유로 취소/반품이 제한 될 수 있습니다.
상품군 | 취소/반품 불가사유 |
---|---|
의류/잡화/수입명품 | 상품의 택(TAG) 제거/라벨 및 상품 훼손으로 상품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된 경우 |
계절상품/식품/화장품 | 고객님의 사용, 시간경과, 일부 소비에 의하여 상품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
가전/설치상품 | 전자제품 특성 상, 정품 스티커가 제거되었거나 설치 또는 사용 이후에 단순변심인 경우, 액정화면이 부착된 상품의 전원을 켠 경우 (상품불량으로 인한 교환/반품은 AS센터의 불량 판정을 받아야 합니다.) |
자동차용품 | 상품을 개봉하여 장착한 이후 단순변심의 경우 |
CD/DVD/GAME/BOOK등 | 복제가 가능한 상품의 포장 등을 훼손한 경우 |
상품의 시리얼 넘버 유출로 내장된 소프트웨어의 가치가 감소한 경우 | |
노트북, 테스크탑 PC 등 | 홀로그램 등을 분리, 분실, 훼손하여 상품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하여 재판매가 불가할 경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