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세기 동아시아를 읽는 눈

고객평점
저자미야지마 히로시 외
출판사항너머북스, 발행일:2017/06/15
형태사항p.543 국판:22
매장위치사회과학부(B1) , 재고문의 : 051-816-9500
ISBN9788994606460 [소득공제]
판매가격 28,000원   25,200원  (인터넷할인가:10%)
포인트 1,260점
배송비결제주문시 결제
  • 주문수량 

총 금액 : 0원

책 소개

“서구와 근대가 만든 시간관(역사관)을 제거하고
동아시아 역사상을 다시 구축하자“

19세기 동아시아를 읽는 관점으로 “지속과 변화, 관계와 비교”를 제기하는 것은 그동안 전근대와 근대라는 이분법적 이해가 한국은 물론 동아시아의 19세기를 생각하는데 많은 결함으로 작용해왔기 때문이다. 이 책은 전근대와 근현대의 단절을 극복하는 데서 한걸음 더 나아가, 근대를 어떻게 보느냐 하는 문제를 근본적으로 재검토한다.

한국사회의 통념은 아직도 한국과 동아시아 세계의 ‘근대’를 19세기 중반 ‘서구의 충격’ 이후 형성된 것으로 인식한다. 능력에 기반을 둔 관료제와 과거제, 중앙집권적 정치체제, 특권이 통하지 않는 토지소유구조, 당시로선 가장 개명화한 합리적 사상이었던 주자학 등 서구에서는 근대 이후에 나타나는 많은 것들이 ‘서구적 근대’를 수용하기 이전부터 성립해 있었으나 단지 그것이 ‘서구의 충격’과 서구를 수용하기 이전의 현상이라는 이유만으로 ‘전근대적인 것’으로 동아시아의 역사적 경험을 규정해버리고 말았던 것이다. 이 책을 기획한 미야지마 히로시 교수(성대 동아시아학술원) 는 “서구 근대를 기준으로 다른 지역의 근대를 파악하는 방법을 넘어서 각 지역의 개성적인 근대를 파악한 다음 보편적 근대의 문제를 생각하는 작업이 요청된다”면서 동아시아 세계가 이 문제를 검토하는 가장 적합한 지역이라고 한다.

따라서 『19세기 동아시아를 읽는 눈』은 다만 서구적 근대를 향해 달려나가는 종래의 19세기 묘사나 연구들과 매우 다르고, 나아가 시각에 대한 전복적 접근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이 책은 동아시아의 상호교류와 트랜스내셔널한 시점의 접근, 문화와 사유, 삶의 방식을 유교와 적극적으로 연결하여 이해함으로써 이전과는 다른 동아시아 역사상을 그려낸다.

서구와 근대가 만든 역사관을 제거하고 동아시아 역사상을 다시 구축하자는 것을 모토로 하여 “19세기의 동아시아” 시리즈의 첫 책으로 학계에 신선한 반향을 던졌던『동아시아는 몇 시인가?-동아시아사의 새로운 이해를 찾아서』(너머북스, 2015)에 이은 결과물로, 두 번째 책『동아시아에서 세계를 보면?-역사의 길목에 선 동아시아 지식인들』과 함께『19세기 동아시아를 읽는 눈-지속과 변화, 관계와 비교』이 동시에 출간되었다.

전통과 근대를 단절이 아닌 연속이라는 맥락에서 접근한다

‘서구의 충격’을 일방적으로 강조해온 일본근대사 연구와 반대로, 일본의 도쿠가와 막부체제가 ‘서구의 충격’ 이전에 이미 ‘유교적 영향’으로 동요·변질되고 있었다는 점을 강조하면서 ‘사대부적 정치문화의 출현’이라는 관점을 제기해온 박훈 교수(서울대 동양사학과)는 19세기 일본에서 군주의 친정이 대두되는 과정과 실상을 ‘사대부적 정치문화’라는 맥락에서 살펴본다. 도쿠가와 나리아키는 미토번의 군주로 취임하자마자 기존의 관례(쇼군이나 다이묘의 주요 업무는 의례와 교제였다)를 깨고 번주의 친정을 행하였다. 민정의 중요성을 강조하였고, 순촌(巡村)을 행하여 농민들과 직접 접촉하며 은전을 배푸는 등 ‘명군’이 되고자 노력하였다.

박훈은 유교라는 전통적 요소가 메이지유신의 성공에 중요한 요인이었다고 강조하면서 “막부 말기에 나타난 새로운 정치행위와 군주상을 이후 메이지 초기에 이르기까지 추구되던 군주상과 연결하여 볼 것”을 제안한다. 전통과 근대를 단절이 아닌 연속이라는 맥락에서 접근하는 방식이 역사상을 새롭게 구성하는 데 얼마나 중요한지 보여준다.

배항섭 교수(성대 동아시아학술원)는 동아시아 3국의 정치문화를 비교사적으로 접근한다. 백성과 군주의 직접적 소통이라 할 수 있는 직소제도는 청, 조선, 도쿠가와 막부 모두 구비하고 있었으나 내용과 운영원리 등에서는 적지 않은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차이는 각국에서 최고통치자와 민중의 관계를 비롯한 정치질서의 구성방식, 정치운영 원리, 정치적 행동과 경험을 규정하는 중요한 근거가 되었을 뿐만 아니라 ‘근대적’ 정치질서와 정치문화가 형성되는 과정에도 커다란 영향을 미쳤다고 본다.

한국사회의 독특한 모습과 개성적인 근대를 찾아서

조선 후기 부계가족과 친족(권내현), 노비들의 삶과 계층 이동(김건태), 언어와 문자가 보여주는 조선의 변화(이경구), 연암그룹 지식인들의 천(天) 인식(조성산), 19세기 지식장의 변동과 유학(김선희), 근대 계몽기의 신문과 추리소설(박소현), 조선후기 농서와 지식의 분화(안승택) 등의 글은 사회와 문화, 사상이라는 면에서 전통적 경험이나 사유와 그것이 ‘근대적’인 것으로 변화해나가는 모습을 연결하여 파악하거나, 18~19세기 혹은 20세기의 사회문화적, 지적 현상들을 ‘전근대’와 ‘근대’의 혼종성이라는 맥락에서 바라볼 것을 제안하고 있다.

권내현 교수(고려대 역사교육과)의「조선 후기 부계가족·부계친족 확산을 보는 관점」은 조선 후기 부계가족과 친족제도의 확산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시도한 글이다. 특히 19세기에 활발하게 전개된 평민의 부계가족·친족체계 수용은 사회적 성장과 안정을 도모하는 방편이 되기도 했다. 이는 단순 부계가족의 형성이나 장자 단독 상속에 따라 구성원들의 이탈과 비농업 인구의 확산, 도시의 발달을 가져왔던 동아시아 다른 지역과 구별되는 한국사회의 독특한 모습이다.

김건태 교수(서울대 국사학과)의 「19세기 공보니 후손들의 삶-제주도 대정현의 사례」는 18세기 후반~20세기 초에 걸쳐 제주도의 중심지 대정현 주민을 다섯 계층으로 나누고 계층별 신분 변동을 추적한 글이다. 상위계층에서는 신분이 하락한 사례가 적지 않았고, 하위계층에서는 신분이 상승해간 사례가 많았지만 1~5계층 후손들의 평균 지위는 20세기 초까지 끝내 역전되지 않았고, 주민들의 호당 토지소유 규모 역시 조상들의 신분과 밀접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근대 전환기’라는 격동의 시기였지만 전통사회에서 구축되었던 사회적, 경제적 지위가 쉽사리 변화하지 않았음을 보여준다.

조선정부는 왜 청나라와「장정」을 체결하려 했을까?

조선왕조 재정의 운영원리와 이념적 지향(손병규), 주자의 진휼론에 기반한 정약용의 진휼안(송양섭), 조청상민수륙무역장정의 의미(문명기) 등 이 책의 마지막 3부는 주로 18, 19세기 조선왕조의 재정에 관한 글이다.

문명기 교수(국민대 국사학과)는 1882년 조선 정부와 청조 간에 체결한 「조청상민수륙무역장정」을 새로운 각도에서 조명하는데 이 시기 조청관계에 대한 시각 교정까지 사정권에 둔 연구이다. 이 「장정」은 이른바 이전의 조공-책봉 관계의 불간섭주의를 마감하고 청조가 조선에 적극적인 간섭으로 나서게 만드는 계기를 제공했다. 이에 대한 기존의 연구는 속방화, 제국주의화, 종주권 강화 등 주로 청이 조선에 가한 외압의 성격을 어떻게 파악할지에 초점이 맞춰져 있었고 또 「장정」을 계기로 강화된 청조의 간섭이 청일전쟁까지 그대로 관철되었다는 점에는 학계의 견해가 대체로 일치해왔다.

문명기는 기존연구가 청의 제국주의적 또는 억압적 성격을 과도하게 강조한 나머지 또 하나의 주체였던 조선정부가 왜 「장정」을 체결하려 했으며 그것으로 무엇을 얻으려 했는지에는 주목하지 못했고 이 때문에 조선 정부의 ‘비주체적’ 성격을 강조하는 결과를 낳은 것이 아닌가 하는 것이 그의 문제의식이다. 문명기는 「장정」체결에 임한 조선 정부의 강력한 실질적 동기 중 하나는 대외통상을 통한 재원확보에 있었다고 한다. 통상교섭을 주도했던 어윤중이 청 측과 통상과 관련하여 세가지 사안을 제안했는데, 모두 기존의 재정지출을 줄이고 새로운 재원을 확보하려는 목적과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었다고 한다. 1880년대 조선사회의 핵심적인 모순이 ‘외압’에만 있었다고 보기는 어렵지 않을까.

작가 소개

저자 : 미야지마 히로시

미야지마 히로시宮嶋博史는 성균관대 동아시아학술원 석좌교수이자 도쿄대 명예교수이다. 그동안 조선시대와 근대시기의 경제사, 사회사, 사상사 분야를 집중적으로 연구하며 한국사의 특징을 동아시아적 시야에서 파악하고, 한국 학계와 외국 학계의 소통을 위해 고민해왔다. 주요 저서로 『미야지마 히로시의 양반』(너머북스, 2014), 『미야지마 히로시, 나의 한국사 공부』(너머북스, 2013),『일본의 역사관을 비판한다』(창비, 2013), 『朝鮮土地調査事業史の硏究』(도쿄대 동양문화연구소, 1991), 『현재를 보는 역사, 조선과 명청』(너머북스, 2014 공저) 등이 있다. “주지하듯이 19세기에 서구에서 새로운 학문이 유입되었을 때 동아시아에서는 그것들을 한자로 번역했다. 이코노믹스economics를 경제학으로 번역한 것이 대표적인 예다. 이 번역은 일본에서 했지만 중국의 천후안장陳煥章은 이코노미economy를 경제로 번역하는 데 반대해서 ‘이재理財’라고 번역했다(Chen Huan-Chang, The economic principles of Confucius and his School,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1911). 그러나 이후 경제라는 말이 일반화되기에 이르렀는데, 경세제민經世濟民, 경국제 민經國濟民이라는 숙어에서 유래한 이 말에는 정치적 함의가 들어 있다(천후안장이 경제라는 번역어에 반대한 이유도 여기에 있다). 영어 economy를 경제로 번역한 선인들은 유학에 깊은 지식을 갖추었지만, 지금의 경제학자들은 그것을 얼마나 의식하면서 연구하는지 의심스럽다.” 

 

편자 : 배항섭

배항섭은 성균관대 동아시아학술원에 재직 중이다. 19세기 민중운동사를 전공했다. 최근에는 서구중심주의와 근대중심주의에 대한 비판, 곧 전근대-근대의 시기 구분이 가지는 정치적·이데올로기적 의미에 대한 비판과 근대를 상대화하는 방법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 『동아시아는 몇 시인가』(너머북스, 2015 공저), 『19세기 민중사연구의 시각과 방법』(성대출판부, 2015) 등이 있다. “물론 비교사라는 관점은 특별히 새로운 것은 아니다. 지금까지도 비서구의 역사 연구는 끊임없이 ‘비교’에 유념하면서 이루어졌다. 다만 그 비교가 기본적으로 서구중심주의와 근대중심주의라는 목적론적·진화론적 이데올로기에 근거하여 그려진, 그것도 매우 추상적으로 그려진 서구의 경험을 준거로 했다는 데 근본적인 문제가 있다. 한국사 연구를 보면 해방 이후 새로운 한국 역사상을 수립하려는 노력은 끊임없이 서구의 경험을 의식하면서 진행되어왔다. 그러나 그러한 연구는 서구를 특권화하고 그를 준거로 하여 한국사의 발전단계를 가늠하는 방식이었다는 점에서 비교의 시각이 비대칭적이었다.”

 

편자 : 이경구

이경구는 한림대 한림과학원 HK교수. 주요 저서로 『조선후기 安東金門 연구』(일지사, 2007), 『17세기 조선 지식인 지도』(푸른역사, 2009), 『조선후기 사상사의 미래를 위하여』(푸른역사, 2013) 등이 있다.  

 

목 차

머리말

도입_동아시아 연구의 새로운 지평을 위하여 _ 미야지마 히로시
1. 보편으로서 서구 근대 패러다임을 넘어
2. 분과 학문체계의 극복

1부_ 정치와 사회

1장_ 백성이 호소하고 국왕이 들어주다 -‘근세’ 동아시아의 정치문화와 직소 _ 배항섭
1. 직소-인정仁政이 수반하는 ‘뜨거운 감자’
2. 조선의 직소
3. 중국의 직소
4. 일본의 직소
5. 직소를 통해 본 동아시아 정치문화
2장_ 19세기 전반 일본에서 군주 친정의 대두 - 도쿠가와 나리아키의 경우 _ 박훈
1. 도쿠가와 정치체제에서 군주의 위치
2. 도쿠가와 나리아키의 친정
3. 다이묘의 지방역인 접촉
4. 다이묘의 순행: 나리아키의 영민 접촉
5. ‘명군名君’ 나리아키 친정의 역사적 의미
6. 군사지휘관에서 군주로
3장_ 조선 후기 부계가족, 친족 확산을 보는 관점 _ 권내현
1. 제도와 관행
2. 성리학과 다른 요인
3. 지역과 계층
4. 19세기 사회와 부계 가족·친족
4장_ 19세기 공노비 후손들의 삶-제주도 대정현의 사례 _ 김건태
1. 해방에서 그 100년 후까지
2. 18세기 공노비
3. 19세기 공노비 후손들의 직역
4. 20세기 공노비 후손들의 토지 소유
5. 떼지 못한 딱지

2부_ 문화와 사상

5장_ 18세기 후반~19세기 조선의 언어와 문자 의식에 대한 시론 _ 이경구
1. 언어와 문자, 장기변화의 시금석
2. 훈민정음의 다양한 속성
3. 18세기 후반의 언어의식과 『을병연행록』
4. 19세기 전반기의 언어의식
5. 1883년 『이언易言』의 언해
6. 언어와 문자가 보여주는 조선의 변화
6장_ 연암그룹 지식인들의 천天 인식 _ 조성산
1. 연암그룹 사유에 대한 이해와 천天 인식의 중요성
2. 소옹邵雍의 기수론적氣數論的 천관天觀과 천주교의 주재적 인격천 비판
3. 자연천 인식의 면모와 이理의 개방성 주장
4. 인격천人格天의 가능성과 인과보응론因果報應論의 전개
5. 천 인식의 개방성: 자연천과 인격천의 절충
7장_ 19세기 지식장의 변동과 문명의식-홍한주, 이규경, 최한기를 중심으로 _ 김선희
1. 19세기를 바라보는 시선
2. 19세기 지식장의 변화
3. 홍한주, 지적 공간의 중첩
4. 이규경, 지식의 복원
5. 최한기, 보편 문명의 구상
6. 유학의 확장 가능성
8장_ 근대 계몽기 신문과 추리소설 - 『신단공안神斷公案』을 중심으로 _ 박소현
1. 추리소설과 근대문학
2. 공안과 추리소설의 사이: 비교문학적 관점에서 바라본 『신단공안』
3. 『신단공안』의 세계: 욕망과 감시의 권력
4. 비교문학적 관점에서 본 『신단공안』
9장_ 18, 19세기 농서에 나타난 경험적 지식의 의미 변화와 분화 _ 안승택
1. 현장 대 실험실이라는 대립구도
2. 경험적 지식의 정당성에 대한 이해의 분화
3. 경험 및 개혁의 주체에 대한 이해의 분화
4. 대립하는 두 농업론에서 현장의 문제

3부_ 재정정책

10장_ 18, 19세기 납세조직의 활동과 지방재정 운영 _ 손병규
1. 중앙과 지방이 만나는 곳, 면리面里
2. 지방경비의 할당과 동계洞契 활동
3. 지방재정의 역할과 위상
4. 지방재정 개혁의 방향과 현실
5. 조선 왕조 지방재정의 향방
11장_ 다산 정약용의 수령 진휼론에 나타난 주자진법朱子賑法의 적용과 그 당대적 변용 - 『목민심서』 진황조의 분석 _ 송양섭
1. 『목민심서』와 정약용의 진휼론을 바라보는 눈
2. 수령의 진자확보책과 권분勸分
3. 진장의 운영과 주자진법의 적용
4. 정약용의 진휼론 : 『주례』적 이상의 추구, 순속順俗과 주자朱子의 만남
12장_ 재정사財政史의 각도에서 다시 보는 한중 관계 - 「조청상민수륙무역장정朝淸商民水陸貿易章程」의 재검토 _ 문명기
1. 조선 정부는 왜 「장정」을 체결하려 했는가?
2. 「장정」의 체결과 어윤중의 역할
3. 대외무역과 정부재정
4. 주관적 의도와 객관적 실태의 괴리


참고문헌
찾아보기

역자 소개

01. 반품기한
  • 단순 변심인 경우 : 상품 수령 후 7일 이내 신청
  • 상품 불량/오배송인 경우 : 상품 수령 후 3개월 이내, 혹은 그 사실을 알게 된 이후 30일 이내 반품 신청 가능
02. 반품 배송비
반품 배송비
반품사유 반품 배송비 부담자
단순변심 고객 부담이며, 최초 배송비를 포함해 왕복 배송비가 발생합니다. 또한, 도서/산간지역이거나 설치 상품을 반품하는 경우에는 배송비가 추가될 수 있습니다.
상품의 불량 또는 오배송 고객 부담이 아닙니다.
03. 배송상태에 따른 환불안내
환불안내
진행 상태 결제완료 상품준비중 배송지시/배송중/배송완료
어떤 상태 주문 내역 확인 전 상품 발송 준비 중 상품이 택배사로 이미 발송 됨
환불 즉시환불 구매취소 의사전달 → 발송중지 → 환불 반품회수 → 반품상품 확인 → 환불
04. 취소방법
  • 결제완료 또는 배송상품은 1:1 문의에 취소신청해 주셔야 합니다.
  • 특정 상품의 경우 취소 수수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05. 환불시점
환불시점
결제수단 환불시점 환불방법
신용카드 취소완료 후, 3~5일 내 카드사 승인취소(영업일 기준) 신용카드 승인취소
계좌이체 실시간 계좌이체 또는 무통장입금
취소완료 후, 입력하신 환불계좌로 1~2일 내 환불금액 입금(영업일 기준)
계좌입금
휴대폰 결제 당일 구매내역 취소시 취소 완료 후, 6시간 이내 승인취소
전월 구매내역 취소시 취소 완료 후, 1~2일 내 환불계좌로 입금(영업일 기준)
당일취소 : 휴대폰 결제 승인취소
익월취소 : 계좌입금
포인트 취소 완료 후, 당일 포인트 적립 환불 포인트 적립
06. 취소반품 불가 사유
  • 단순변심으로 인한 반품 시, 배송 완료 후 7일이 지나면 취소/반품 신청이 접수되지 않습니다.
  • 주문/제작 상품의 경우, 상품의 제작이 이미 진행된 경우에는 취소가 불가합니다.
  • 구성품을 분실하였거나 취급 부주의로 인한 파손/고장/오염된 경우에는 취소/반품이 제한됩니다.
  • 제조사의 사정 (신모델 출시 등) 및 부품 가격변동 등에 의해 가격이 변동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반품 및 가격보상은 불가합니다.
  • 뷰티 상품 이용 시 트러블(알러지, 붉은 반점, 가려움, 따가움)이 발생하는 경우 진료 확인서 및 소견서 등을 증빙하면 환불이 가능하지만 이 경우, 제반 비용은 고객님께서 부담하셔야 합니다.
  • 각 상품별로 아래와 같은 사유로 취소/반품이 제한 될 수 있습니다.

환불불가
상품군 취소/반품 불가사유
의류/잡화/수입명품 상품의 택(TAG) 제거/라벨 및 상품 훼손으로 상품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된 경우
계절상품/식품/화장품 고객님의 사용, 시간경과, 일부 소비에 의하여 상품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가전/설치상품 전자제품 특성 상, 정품 스티커가 제거되었거나 설치 또는 사용 이후에 단순변심인 경우, 액정화면이 부착된 상품의 전원을 켠 경우 (상품불량으로 인한 교환/반품은 AS센터의 불량 판정을 받아야 합니다.)
자동차용품 상품을 개봉하여 장착한 이후 단순변심의 경우
CD/DVD/GAME/BOOK등 복제가 가능한 상품의 포장 등을 훼손한 경우
내비게이션, OS시리얼이 적힌 PMP 상품의 시리얼 넘버 유출로 내장된 소프트웨어의 가치가 감소한 경우
노트북, 테스크탑 PC 등 홀로그램 등을 분리, 분실, 훼손하여 상품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하여 재판매가 불가할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