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소개
▣ 출판사서평
핵심 개념들 : 가상, 사건, 활동주의 철학, 체험된 추상, 사건발생적 예술
가상(Semblance)
이 책에서 가상은 “잠재적인 것이 현실적으로 나타나는 방식이다. 그것은 추상화를 체험한 잠재적인 것의 현존재이다. 여기서 사용된 바의 “가상”은 아도르노와 라캉이 이 용어를 쓸 때처럼 “환영”(illusion)이라는 의미를 품지 않는다.”(36쪽)
“사건”(Event)과 “활동주의 철학”(activist philosophy)
“활동주의 철학은 발생적인 것을 강조한다는 점에서 근본적으로 비대상 철학(nonobject philosophy)이 된다. 들뢰즈는 “변화(alteration)의 사건”이 “한 사물의 본질 또는 실재와 마찬가지”라고 말함으로써 활동주의 철학의 주름으로 들어선다. 이것은 달리 말하면 사물의 발생의 새로움 외에 그 사물의 본질이나 실체는 없다는 것이다. “사실 나는 오랜 세월을 사건이라는 이 관념에 대해 글을 써 왔다. 알다시피 나는 사물들을 믿지 않는다.” 그는 과정으로서의 세계를 믿는다. 화이트헤드도 상당히 비슷한 생각을 하고 있다. “뚜렷한 대상이 반드시 있어야 사건이 성립하는 것이 아니다. 어디서든 언제든 무엇인가가 일어나고 있으며, 거기에 사건이 있다.” 자연 자체가, 과정의 세계가 “지나가는 사건들의 복합체이다.”(20~21쪽)
체험된 추상(lived abstraction)
이 책에서 “추상은 …… 느낌, 즉 지나가면서 현재를 알리는 미래성의 느낌으로서 이해된다. 좀 더 정확히 그것은 순간의 핵심에서 관계성을 표현하는 그 느낌이다. 즉 순간의 기여적 요소들을 도래하게 될 것의 기능으로서 서로 관계 짓는 것이며, 현재의 순간이 그 자신의 직접 과거 그리고 넘어섬과 맺는 관계이다. 체험된 추상으로서 가상은 유아론적으로 사유에 빠진 주체의 반영이 아니다. 그것은 관계적으로 변화에 빠져 있는 세계의 반영이다.”(9쪽)
사건발생적 예술(occurrent arts)
“모든 예술은 사건발생적 예술입니다. …… 모든 예술이 사건발생적 예술인 것은 인공적이거나 “자연적인” 여하한 지각은 바로 경험적 사건이기 때문입니다. 그것이 하나의 해프닝이라는 의미에서도, 또한 그것이 일어날 때 새로운 어떤 것이 발생한다는 의미에서도 그렇습니다. 자연에 예술성이 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예술에는 사건성이 있습니다. 그리고 전반에 걸친 창조성이 있습니다.”(150쪽)
정동(情動, affect)의 이론가, 브라이언 마수미 사상의 정수를 만나다
최근 “정동”(affect) 개념이 인지자본주의 시대의 정치, 사회, 문화를 읽는 주요한 키워드로 주목받고 있다. 북미를 중심으로 활동하는 정동 이론가들의 글을 엮은 『정동 이론』(갈무리)의 한국어판이 2015년 12월에 번역·출간되었고, 2016년 초에는 일본 와세다 대학 이토 마모루 교수의 『정동의 힘』(갈무리)의 한국어판이 번역·출간되었다. 계간지 『문화과학』은 2016년 여름호 특집 주제를 “정동과 이데올로기”로 정하고 “정동” 개념에 대한 다양한 반응들을 수록하면서 문화연구와 정동의 접목 가능성을 탐구하였다(다음 기사는 최근 한국 사회에서 “정동” 이론이 주목받고 있는 현상을 자세히 분석하였다. 최익현, 「포스트잇 추모가 불러낸 ‘정동(情動)’」, 『한국일보』, 2016.07.06. http://goo.gl/FK8qTl).
『가상과 사건』의 저자 브라이언 마수미는 “정동”을 중심으로 한 철학적 경향에서 하나의 지배적인 방향성을 주도하는 인물이다. 우선 그는 『정동 이론』의 필자 중 한 명이다. 『정동 이론』의 2장에 마수미의 글 「정동적 사실의 미래적 탄생 : 위협의 정치적 존재론」이 실려 있다. 『정동 이론』의 서문에서 엮은이들은 브라이언 마수미의 1995년 논문 「정동의 자율성」(The Autonomy of Affect)이 “정동 이론에 대한 호기심을 다시 불붙인 분수령이 되는 사건”이라고 평하기도 한다.(『정동 이론』 22~23쪽 참조)
『정동의 힘』의 저자 이토 마모루는 브라이언 마수미의 이론을 자신의 저작 전체에서 주요하게 참조하고 있다. 이 점은 『정동의 힘』의 프롤로그에서 저자가 직접 밝히고 있다. “ ‘운동’·‘시간’·‘신체’ 그리고 ‘정동’이라는 문제계에 초점을 맞추어 커뮤니케이션과 미디어의 매개성을 고찰하는 이 책(『정동의 힘』)은, ‘문화연구 이후 미디어 이론’의 방법을 전망하고자 한다.…… 이때 실마리가 된 동시에 직접적 참고가 된 것이 브라이언 마수미의 논의이다.”(『정동의 힘』 16~17쪽)
『가상과 사건』은 마수미의 2011년 저작이며, 마수미는 『가상과 사건』에서도 “정동” 개념을 자신의 논지를 펼치는 개념 도구로서 적극 활용한다. 한국의 독자들은 브라이언 마수미의 주저인 이 책을 통해서 많은 “정동” 이론가들에게 영감을 주었던 마수미 사유의 정수를 접할 수 있게 되었다.
“구체적인 것과 추상적인 것의 대립을 여전히 방어할 수 있을까?”
마수미는 『가상과 사건』을 전작인 『가상계』의 연장선상에서 구성했다. 『가상과 사건』은 추상적인 것과 구체적인 것의 관계에서 후자의 관점을 역전시킨다. 즉 전작 『가상계』에서는 “구체적인 것의 관점에서 추상적인 것에 접근”하였다면 『가상과 사건』은 ‘추상적인 것’에 준하여 ‘구체적인 것’을 사유한다.
20세기 이래로 통장 ‘이성’의 영역으로 환원되어온 추상 개념은 “소외시키고 죽이는 것으로 여겨졌다.”(7쪽) 그러나 마수미는 구체적인 것에 채 담기지 않는 생명의 퍼텐셜(potential)을 긍정하는 방식으로, 추상 개념을 ‘구제’하고자 한다. 마수미가 말하는 “추상”이란 “체험된 추상”이다. 추상은 “더는 강도적으로 느껴짐에 반대되는 단순한 사유”가 아니다. “반대로 그것은 느낌, 즉 지나가면서 현재를 알리는 미래성의 느낌”, “순간의 핵심에서 관계성을 표현하는 그 느낌”이다. 그리고 “체험된 추상으로서 가상은 유아론적으로 사유에 빠진 주체의 반영이 아니다. 그것은 관계적으로 변화에 빠져 있는 세계의 반영이다.”(9쪽)
이를 위해 활동주의 철학과 사건발생적 예술이라는 두 개의 화두가 제시된다. 활동주의 철학은 주체-대상의 2항적 관계를 극복하고 형상의 역동성을 사유하고자 하며, ‘사건의 발생’이라는 관점에서 다양한 예술적 실천의 정치성을 말한다.(31쪽)
미학과 정치를 동시에 사유한다는 것
마수미에게 예술과 정치는 통합적이다. “예술이라는 분야는 창조적 구성을 독점하지 않는다. 그리고 정치라 불리는 영역은 실재적 존재의 변화를 독점하지 않는다. 예술에 정치적 측면이 있는 것이나 마찬가지로 정치에는 미적 측면이 있다.”(31쪽)
마수미는 ‘미학적인 것과 정치적인 것’을 하나의 접속된 개념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그는 ‘정치적 예술’을, 정치적 구호를 전달하는 도구로서의 예술과 명확히 구분하며, 심지어 이 두 성격이 하나의 예술작품에서 양립하는 일은 거의 불가능에 가깝다고 여긴다. 마수미에 따르면 “명시적으로 정치적이 되고자 시도하는 예술적 실천들”은 종종 실패하는데, 그 이유는 “중요한 것은 역동적 형상임에도 그들이 정치적이라는 것을 정치적 내용을 갖는 것으로 이해하기 때문”이다.(101쪽)
이 책은 미학, 또는 예술론 일반과 존재론의 학제 연구로서, 회화와 건축, 무용, 음악, 나아가 미디어 아트 등 다양한 예술적 실천들의 구체적인 사례들이 대중, 또는 감상자와 조우하는 다양한 방식들을 제시하고 이에 대해 사유하고 있다. 학제 연구 또는 예술에서의 다양한 크로스오버의 시도가 부딪히게 되는 난관들 가운데 가장 근본적인 것은 역시 그 사상적 근간이 모호하고 유동적이라는 사실일 것이다. 이 책의 포괄적이고 대담한 논의가 이 분야에 대한 좀 더 활발한 연구와 실천에 작은 계기를 마련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가상과 사건』에서 마수미가 조우한 철학자들
질 들뢰즈
들뢰즈는 예술에 대한 저술에서 종종, 실재적으로 지각하기, 완전히 지각하기, 요컨대 예술적으로 지각하기 위해서 우리가 “사물들을 산산조각 내야” 한다고 말합니다. 우리는 그것들을 다시 열어젖혀야 합니다. 우리는 그것들의 가상을 가능한 한 강제적으로 드러내야 합니다.(96쪽)
발터 벤야민
벤야민의 가상 이론은 미학 이론의 역사에서 미와 가상, 미와 진리의 전통적 등식에 대해 매우 잘 깨닫고 있다. 그는 “미는 가상이라고 하는 유명한 교의”를 받아들인다. 심지어 그는 가상이 진리와 분리 불가능하다는 것조차 수용한다. 아름다운 사물은 “그것이 이런저런 의미에서 살아있다는 이유로 가상을” 갖기 때문이다.(294쪽)
알프레드 노스 화이트헤드
내가 이야기하고자 해 온 바의 지각은, 화이트헤드 철학에서 거론되는 것처럼, 그리고 체화된 인지를 통해서도 알 수 있듯, 언제나 비매개적이고 직접적입니다. 그것은 언제나 고유한 자기포괄적 사건, 자체의 발생을 수반하는 사건입니다.(149쪽)
윌리엄 제임스
느껴진 것은 모든 방향으로 차츰 흐려지는 퍼텐셜의 확장하는 사유-웅덩이에 둘러싸입니다. 그것은 생명의 웅덩이에 떨어진 한 방울이 파문을 일으키고, 그 파문이 주변으로 무한히 퍼져 나가는 것과 같습니다. 윌리엄 제임스는 그런 측면을 이야기했습니다. 그는 경험이 “방울방울”(in “drops”) 도래한다고 말했죠.(95쪽)
질베르 시몽동
우리는 기술이라는 말을 질베르 시몽동에게서 영감을 얻은 의미로 씁니다. 그는, 출현하는 관계적 퍼텐셜과 생성이라는 유사한 용어들을 가지고 기술적 창안에 대해 설명하며, 그럴 때 기술적 대상과 예술을 서로에게 종속시키지 않은 채로 동일한 궤도 상에 위치시키는 방식을 취합니다.(99쪽)
파울 클레
파울 클레는 가상들을 구성하는 ― 나타나지 않는 경험의 차원들을 그런데도 어떤 표현적 행위의 역동적 통일성 안에 나타나게 하는 ― 과업이 미적 활동을 규정하는 것이라고 말한다.(51쪽)
미셸 푸코
상호작용성은 힘의 관점에서 중립적이지 않습니다. 푸코에 의하면 사실은 가장 부당한 권력의 체계들 가운데 참여를 명령적으로 강제하는 것들이 있습니다. 특히 그 명령이 자신을 “참으로” 혹은 “진정하게” 표현하라는 것일 경우에 그렇습니다.(89쪽)
칼 맑스
맑스의 “상품 물신주의”의 귀신같은 힘이란 소비 가공품들을 통해 체험된 생명의 가상 외에 달리 무엇이겠습니까? 거기에도 여전히 일종의 아우라가 있습니다. 그 일상적 삶의 가장 평범한 세부들에 이르는, 구매하는, 사인私人으로서의 개인에게 영향을 주는 일종의 인칭적 자본가적 명성-가치가 있는 것입니다. 평범한 삶의 아우라. 쿨함의 기예. 혹은 더욱 주류적인 방식으로, 라이프 스타일 마케팅.(105쪽)
4. 추천사
『가상과 사건』은 가장 작은 것들에 대한, 그리고 가장 큰 것들에 대한 책이다. 브라이언 마수미는 질 들뢰즈가 미학의 “고통스러운 이중성”이라고 표현했던 것을 효과적으로 극복한다. 마수미는 행동과 응시를 결합하고, 일상에서 비범한 것을, 비범한 것에서 일상을 발견한다. 이것은 예술 속의 삶에 대한 책이자 삶 속의 예술에 대한 책이다. 이것은 21세기를 위한 정치적 미학이다.
― 스티븐 샤비로, 웨인 주립대 교수, Without Criteria: Kant, Whitehead, Deleuze, and Aesthetics 지은이
브라이언 마수미의 글쓰기 작업이, 예술에 연합된 철학적 개념들의 추상과 미적 경험의 활성화 사이에서 강도적 식별 불가능성을 산출해 낼 때, 그는 실로 ‘활동주의’ 철학을 실천하고 있다. 이 놀라운 책은 경험의 모험을 무용하게 만드는 치명적인 이접들을 비판하는 것이 아니라 일소하는, 참여적 사고-느낌을 포함하고 있다.
― 이사벨 스텐거스, 과학 철학자, 브뤼셀 자유 대학, Thinking with Whitehead: A Free and Wild Creation of Concepts의 지은이
▣ 작가 소개
저 : 브라이언 마수미
캐나다 출신 정치 철학자이자 사회·미디어 이론가. 프랑스 문학으로 박사학위(1987)를 받았으며, 이를 계기로 전후 프랑스 철학의 신조류인 포스트구조주의의 영향을 받았다. 또 그는 윌리엄 제임스를 위시하여 유럽과 미 대륙을 관통하는 급진적 경험주의에 기반을 둔 사유체계를 추구한다. 연구 분야의 두 축 중에 하나는 운동의 경험이고, 다른 하나는 감각들 간의 상호관계이다. 특히 그의 화용론적 경험주의는 뉴미디어 예술과 테크놀로지에 접목되어, 자본주의의 세계화 과정에서 일어나는 힘의 발생양태, 그리고 이에 따른 정치학적 선제 혹은 대응을 모색한다. 이러한 일련의 사유 활동 속에서 그는 스피노자로부터는 정동의 담론을, 푸코로부터는 힘과 권력의 담론을, 그리고 들뢰즈 및 베르그송주의로부터는 경험의 강렬도에 관한 풍부한 논의를 끌어들여, 자신만의 미디어-정치 이론의 틀 속으로 녹인다. 아울러 그는 프랑스 철학계의 묵직한 작품들을 영어로 번역한 번역가로 잘 알려져 있다. 그의 번역으로는 장-프랑수아 리오타르의 『포스트모던의 조건』, 자크 아탈리의 『소음』, 그리고 질 들뢰즈와 펠릭스 가따리의 『천 개의 고원』 등이 있다. 그리고 그의 저작으로는 Semblance and Event: Activist Philosophy and the Occurrent Arts (MIT Press, 2011), A User''s Guide to Capitalism and Schizophrenia: Deviations from Deleuze and Guattari (MIT Press, 1992), First and Last Emperors: The Absolute State and the Body of the Despot (with Kenneth Dean ; Autonomedia, 1993) 등이 있다.
역자 : 정유경
Chung Yookyung, 1973~
성신여자대학교 미술사학과에서 서양미술사 전공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가천대학교, 성신여자대학교 등에 출강했으며, 저서로 『문명이 낳은 철학 철학이 바꾼 역사 2』(길, 2015, 공저), 역서로 질 들뢰즈의 『경험주의와 주체성』(난장, 2012, 공역), 외젠 비올레르뒤크의 『건축강의』(아카넷, 2015), 브라이언 마수미의 『가상과 사건』(갈무리, 2016) 등이 있다.
▣ 주요 목차
한국어판 지은이 서문 6
서문 : 활동주의 철학과 사건발생적 예술 12
1장 에테르와 당신의 분노 : 사변적 프래그머티즘을 향하여 58
2장 벌어지는 것에 대한 사고-느낌 : 근본적인 것을 경험론으로 되돌려 놓기 73
3장 존재의 기술로서의 디아그람 : 분할된 우주의 난자 157
I 158 l II 158 l III 159 l IV 161 l V 164 l VI 168 l VII 169 l VIII 175 l IX 178
4장 경험의 예술, 표현의 정치학 : 총 4악장 185
제1악장 : 폭풍우를 춤추기 186
제2악장 : 무한의 생명 220
제3악장 : 내용의 역설 243
제4악장 : 정치적인 것을 구성하기 262
후주 302
‘체험된 추상의 테크놀로지’ 시리즈 서문 327
감사의 말 329
참고 문헌 332
옮긴이 후기 339
인명 찾아보기 344
용어 찾아보기 346
핵심 개념들 : 가상, 사건, 활동주의 철학, 체험된 추상, 사건발생적 예술
가상(Semblance)
이 책에서 가상은 “잠재적인 것이 현실적으로 나타나는 방식이다. 그것은 추상화를 체험한 잠재적인 것의 현존재이다. 여기서 사용된 바의 “가상”은 아도르노와 라캉이 이 용어를 쓸 때처럼 “환영”(illusion)이라는 의미를 품지 않는다.”(36쪽)
“사건”(Event)과 “활동주의 철학”(activist philosophy)
“활동주의 철학은 발생적인 것을 강조한다는 점에서 근본적으로 비대상 철학(nonobject philosophy)이 된다. 들뢰즈는 “변화(alteration)의 사건”이 “한 사물의 본질 또는 실재와 마찬가지”라고 말함으로써 활동주의 철학의 주름으로 들어선다. 이것은 달리 말하면 사물의 발생의 새로움 외에 그 사물의 본질이나 실체는 없다는 것이다. “사실 나는 오랜 세월을 사건이라는 이 관념에 대해 글을 써 왔다. 알다시피 나는 사물들을 믿지 않는다.” 그는 과정으로서의 세계를 믿는다. 화이트헤드도 상당히 비슷한 생각을 하고 있다. “뚜렷한 대상이 반드시 있어야 사건이 성립하는 것이 아니다. 어디서든 언제든 무엇인가가 일어나고 있으며, 거기에 사건이 있다.” 자연 자체가, 과정의 세계가 “지나가는 사건들의 복합체이다.”(20~21쪽)
체험된 추상(lived abstraction)
이 책에서 “추상은 …… 느낌, 즉 지나가면서 현재를 알리는 미래성의 느낌으로서 이해된다. 좀 더 정확히 그것은 순간의 핵심에서 관계성을 표현하는 그 느낌이다. 즉 순간의 기여적 요소들을 도래하게 될 것의 기능으로서 서로 관계 짓는 것이며, 현재의 순간이 그 자신의 직접 과거 그리고 넘어섬과 맺는 관계이다. 체험된 추상으로서 가상은 유아론적으로 사유에 빠진 주체의 반영이 아니다. 그것은 관계적으로 변화에 빠져 있는 세계의 반영이다.”(9쪽)
사건발생적 예술(occurrent arts)
“모든 예술은 사건발생적 예술입니다. …… 모든 예술이 사건발생적 예술인 것은 인공적이거나 “자연적인” 여하한 지각은 바로 경험적 사건이기 때문입니다. 그것이 하나의 해프닝이라는 의미에서도, 또한 그것이 일어날 때 새로운 어떤 것이 발생한다는 의미에서도 그렇습니다. 자연에 예술성이 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예술에는 사건성이 있습니다. 그리고 전반에 걸친 창조성이 있습니다.”(150쪽)
정동(情動, affect)의 이론가, 브라이언 마수미 사상의 정수를 만나다
최근 “정동”(affect) 개념이 인지자본주의 시대의 정치, 사회, 문화를 읽는 주요한 키워드로 주목받고 있다. 북미를 중심으로 활동하는 정동 이론가들의 글을 엮은 『정동 이론』(갈무리)의 한국어판이 2015년 12월에 번역·출간되었고, 2016년 초에는 일본 와세다 대학 이토 마모루 교수의 『정동의 힘』(갈무리)의 한국어판이 번역·출간되었다. 계간지 『문화과학』은 2016년 여름호 특집 주제를 “정동과 이데올로기”로 정하고 “정동” 개념에 대한 다양한 반응들을 수록하면서 문화연구와 정동의 접목 가능성을 탐구하였다(다음 기사는 최근 한국 사회에서 “정동” 이론이 주목받고 있는 현상을 자세히 분석하였다. 최익현, 「포스트잇 추모가 불러낸 ‘정동(情動)’」, 『한국일보』, 2016.07.06. http://goo.gl/FK8qTl).
『가상과 사건』의 저자 브라이언 마수미는 “정동”을 중심으로 한 철학적 경향에서 하나의 지배적인 방향성을 주도하는 인물이다. 우선 그는 『정동 이론』의 필자 중 한 명이다. 『정동 이론』의 2장에 마수미의 글 「정동적 사실의 미래적 탄생 : 위협의 정치적 존재론」이 실려 있다. 『정동 이론』의 서문에서 엮은이들은 브라이언 마수미의 1995년 논문 「정동의 자율성」(The Autonomy of Affect)이 “정동 이론에 대한 호기심을 다시 불붙인 분수령이 되는 사건”이라고 평하기도 한다.(『정동 이론』 22~23쪽 참조)
『정동의 힘』의 저자 이토 마모루는 브라이언 마수미의 이론을 자신의 저작 전체에서 주요하게 참조하고 있다. 이 점은 『정동의 힘』의 프롤로그에서 저자가 직접 밝히고 있다. “ ‘운동’·‘시간’·‘신체’ 그리고 ‘정동’이라는 문제계에 초점을 맞추어 커뮤니케이션과 미디어의 매개성을 고찰하는 이 책(『정동의 힘』)은, ‘문화연구 이후 미디어 이론’의 방법을 전망하고자 한다.…… 이때 실마리가 된 동시에 직접적 참고가 된 것이 브라이언 마수미의 논의이다.”(『정동의 힘』 16~17쪽)
『가상과 사건』은 마수미의 2011년 저작이며, 마수미는 『가상과 사건』에서도 “정동” 개념을 자신의 논지를 펼치는 개념 도구로서 적극 활용한다. 한국의 독자들은 브라이언 마수미의 주저인 이 책을 통해서 많은 “정동” 이론가들에게 영감을 주었던 마수미 사유의 정수를 접할 수 있게 되었다.
“구체적인 것과 추상적인 것의 대립을 여전히 방어할 수 있을까?”
마수미는 『가상과 사건』을 전작인 『가상계』의 연장선상에서 구성했다. 『가상과 사건』은 추상적인 것과 구체적인 것의 관계에서 후자의 관점을 역전시킨다. 즉 전작 『가상계』에서는 “구체적인 것의 관점에서 추상적인 것에 접근”하였다면 『가상과 사건』은 ‘추상적인 것’에 준하여 ‘구체적인 것’을 사유한다.
20세기 이래로 통장 ‘이성’의 영역으로 환원되어온 추상 개념은 “소외시키고 죽이는 것으로 여겨졌다.”(7쪽) 그러나 마수미는 구체적인 것에 채 담기지 않는 생명의 퍼텐셜(potential)을 긍정하는 방식으로, 추상 개념을 ‘구제’하고자 한다. 마수미가 말하는 “추상”이란 “체험된 추상”이다. 추상은 “더는 강도적으로 느껴짐에 반대되는 단순한 사유”가 아니다. “반대로 그것은 느낌, 즉 지나가면서 현재를 알리는 미래성의 느낌”, “순간의 핵심에서 관계성을 표현하는 그 느낌”이다. 그리고 “체험된 추상으로서 가상은 유아론적으로 사유에 빠진 주체의 반영이 아니다. 그것은 관계적으로 변화에 빠져 있는 세계의 반영이다.”(9쪽)
이를 위해 활동주의 철학과 사건발생적 예술이라는 두 개의 화두가 제시된다. 활동주의 철학은 주체-대상의 2항적 관계를 극복하고 형상의 역동성을 사유하고자 하며, ‘사건의 발생’이라는 관점에서 다양한 예술적 실천의 정치성을 말한다.(31쪽)
미학과 정치를 동시에 사유한다는 것
마수미에게 예술과 정치는 통합적이다. “예술이라는 분야는 창조적 구성을 독점하지 않는다. 그리고 정치라 불리는 영역은 실재적 존재의 변화를 독점하지 않는다. 예술에 정치적 측면이 있는 것이나 마찬가지로 정치에는 미적 측면이 있다.”(31쪽)
마수미는 ‘미학적인 것과 정치적인 것’을 하나의 접속된 개념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그는 ‘정치적 예술’을, 정치적 구호를 전달하는 도구로서의 예술과 명확히 구분하며, 심지어 이 두 성격이 하나의 예술작품에서 양립하는 일은 거의 불가능에 가깝다고 여긴다. 마수미에 따르면 “명시적으로 정치적이 되고자 시도하는 예술적 실천들”은 종종 실패하는데, 그 이유는 “중요한 것은 역동적 형상임에도 그들이 정치적이라는 것을 정치적 내용을 갖는 것으로 이해하기 때문”이다.(101쪽)
이 책은 미학, 또는 예술론 일반과 존재론의 학제 연구로서, 회화와 건축, 무용, 음악, 나아가 미디어 아트 등 다양한 예술적 실천들의 구체적인 사례들이 대중, 또는 감상자와 조우하는 다양한 방식들을 제시하고 이에 대해 사유하고 있다. 학제 연구 또는 예술에서의 다양한 크로스오버의 시도가 부딪히게 되는 난관들 가운데 가장 근본적인 것은 역시 그 사상적 근간이 모호하고 유동적이라는 사실일 것이다. 이 책의 포괄적이고 대담한 논의가 이 분야에 대한 좀 더 활발한 연구와 실천에 작은 계기를 마련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가상과 사건』에서 마수미가 조우한 철학자들
질 들뢰즈
들뢰즈는 예술에 대한 저술에서 종종, 실재적으로 지각하기, 완전히 지각하기, 요컨대 예술적으로 지각하기 위해서 우리가 “사물들을 산산조각 내야” 한다고 말합니다. 우리는 그것들을 다시 열어젖혀야 합니다. 우리는 그것들의 가상을 가능한 한 강제적으로 드러내야 합니다.(96쪽)
발터 벤야민
벤야민의 가상 이론은 미학 이론의 역사에서 미와 가상, 미와 진리의 전통적 등식에 대해 매우 잘 깨닫고 있다. 그는 “미는 가상이라고 하는 유명한 교의”를 받아들인다. 심지어 그는 가상이 진리와 분리 불가능하다는 것조차 수용한다. 아름다운 사물은 “그것이 이런저런 의미에서 살아있다는 이유로 가상을” 갖기 때문이다.(294쪽)
알프레드 노스 화이트헤드
내가 이야기하고자 해 온 바의 지각은, 화이트헤드 철학에서 거론되는 것처럼, 그리고 체화된 인지를 통해서도 알 수 있듯, 언제나 비매개적이고 직접적입니다. 그것은 언제나 고유한 자기포괄적 사건, 자체의 발생을 수반하는 사건입니다.(149쪽)
윌리엄 제임스
느껴진 것은 모든 방향으로 차츰 흐려지는 퍼텐셜의 확장하는 사유-웅덩이에 둘러싸입니다. 그것은 생명의 웅덩이에 떨어진 한 방울이 파문을 일으키고, 그 파문이 주변으로 무한히 퍼져 나가는 것과 같습니다. 윌리엄 제임스는 그런 측면을 이야기했습니다. 그는 경험이 “방울방울”(in “drops”) 도래한다고 말했죠.(95쪽)
질베르 시몽동
우리는 기술이라는 말을 질베르 시몽동에게서 영감을 얻은 의미로 씁니다. 그는, 출현하는 관계적 퍼텐셜과 생성이라는 유사한 용어들을 가지고 기술적 창안에 대해 설명하며, 그럴 때 기술적 대상과 예술을 서로에게 종속시키지 않은 채로 동일한 궤도 상에 위치시키는 방식을 취합니다.(99쪽)
파울 클레
파울 클레는 가상들을 구성하는 ― 나타나지 않는 경험의 차원들을 그런데도 어떤 표현적 행위의 역동적 통일성 안에 나타나게 하는 ― 과업이 미적 활동을 규정하는 것이라고 말한다.(51쪽)
미셸 푸코
상호작용성은 힘의 관점에서 중립적이지 않습니다. 푸코에 의하면 사실은 가장 부당한 권력의 체계들 가운데 참여를 명령적으로 강제하는 것들이 있습니다. 특히 그 명령이 자신을 “참으로” 혹은 “진정하게” 표현하라는 것일 경우에 그렇습니다.(89쪽)
칼 맑스
맑스의 “상품 물신주의”의 귀신같은 힘이란 소비 가공품들을 통해 체험된 생명의 가상 외에 달리 무엇이겠습니까? 거기에도 여전히 일종의 아우라가 있습니다. 그 일상적 삶의 가장 평범한 세부들에 이르는, 구매하는, 사인私人으로서의 개인에게 영향을 주는 일종의 인칭적 자본가적 명성-가치가 있는 것입니다. 평범한 삶의 아우라. 쿨함의 기예. 혹은 더욱 주류적인 방식으로, 라이프 스타일 마케팅.(105쪽)
4. 추천사
『가상과 사건』은 가장 작은 것들에 대한, 그리고 가장 큰 것들에 대한 책이다. 브라이언 마수미는 질 들뢰즈가 미학의 “고통스러운 이중성”이라고 표현했던 것을 효과적으로 극복한다. 마수미는 행동과 응시를 결합하고, 일상에서 비범한 것을, 비범한 것에서 일상을 발견한다. 이것은 예술 속의 삶에 대한 책이자 삶 속의 예술에 대한 책이다. 이것은 21세기를 위한 정치적 미학이다.
― 스티븐 샤비로, 웨인 주립대 교수, Without Criteria: Kant, Whitehead, Deleuze, and Aesthetics 지은이
브라이언 마수미의 글쓰기 작업이, 예술에 연합된 철학적 개념들의 추상과 미적 경험의 활성화 사이에서 강도적 식별 불가능성을 산출해 낼 때, 그는 실로 ‘활동주의’ 철학을 실천하고 있다. 이 놀라운 책은 경험의 모험을 무용하게 만드는 치명적인 이접들을 비판하는 것이 아니라 일소하는, 참여적 사고-느낌을 포함하고 있다.
― 이사벨 스텐거스, 과학 철학자, 브뤼셀 자유 대학, Thinking with Whitehead: A Free and Wild Creation of Concepts의 지은이
▣ 작가 소개
저 : 브라이언 마수미
캐나다 출신 정치 철학자이자 사회·미디어 이론가. 프랑스 문학으로 박사학위(1987)를 받았으며, 이를 계기로 전후 프랑스 철학의 신조류인 포스트구조주의의 영향을 받았다. 또 그는 윌리엄 제임스를 위시하여 유럽과 미 대륙을 관통하는 급진적 경험주의에 기반을 둔 사유체계를 추구한다. 연구 분야의 두 축 중에 하나는 운동의 경험이고, 다른 하나는 감각들 간의 상호관계이다. 특히 그의 화용론적 경험주의는 뉴미디어 예술과 테크놀로지에 접목되어, 자본주의의 세계화 과정에서 일어나는 힘의 발생양태, 그리고 이에 따른 정치학적 선제 혹은 대응을 모색한다. 이러한 일련의 사유 활동 속에서 그는 스피노자로부터는 정동의 담론을, 푸코로부터는 힘과 권력의 담론을, 그리고 들뢰즈 및 베르그송주의로부터는 경험의 강렬도에 관한 풍부한 논의를 끌어들여, 자신만의 미디어-정치 이론의 틀 속으로 녹인다. 아울러 그는 프랑스 철학계의 묵직한 작품들을 영어로 번역한 번역가로 잘 알려져 있다. 그의 번역으로는 장-프랑수아 리오타르의 『포스트모던의 조건』, 자크 아탈리의 『소음』, 그리고 질 들뢰즈와 펠릭스 가따리의 『천 개의 고원』 등이 있다. 그리고 그의 저작으로는 Semblance and Event: Activist Philosophy and the Occurrent Arts (MIT Press, 2011), A User''s Guide to Capitalism and Schizophrenia: Deviations from Deleuze and Guattari (MIT Press, 1992), First and Last Emperors: The Absolute State and the Body of the Despot (with Kenneth Dean ; Autonomedia, 1993) 등이 있다.
역자 : 정유경
Chung Yookyung, 1973~
성신여자대학교 미술사학과에서 서양미술사 전공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가천대학교, 성신여자대학교 등에 출강했으며, 저서로 『문명이 낳은 철학 철학이 바꾼 역사 2』(길, 2015, 공저), 역서로 질 들뢰즈의 『경험주의와 주체성』(난장, 2012, 공역), 외젠 비올레르뒤크의 『건축강의』(아카넷, 2015), 브라이언 마수미의 『가상과 사건』(갈무리, 2016) 등이 있다.
▣ 주요 목차
한국어판 지은이 서문 6
서문 : 활동주의 철학과 사건발생적 예술 12
1장 에테르와 당신의 분노 : 사변적 프래그머티즘을 향하여 58
2장 벌어지는 것에 대한 사고-느낌 : 근본적인 것을 경험론으로 되돌려 놓기 73
3장 존재의 기술로서의 디아그람 : 분할된 우주의 난자 157
I 158 l II 158 l III 159 l IV 161 l V 164 l VI 168 l VII 169 l VIII 175 l IX 178
4장 경험의 예술, 표현의 정치학 : 총 4악장 185
제1악장 : 폭풍우를 춤추기 186
제2악장 : 무한의 생명 220
제3악장 : 내용의 역설 243
제4악장 : 정치적인 것을 구성하기 262
후주 302
‘체험된 추상의 테크놀로지’ 시리즈 서문 327
감사의 말 329
참고 문헌 332
옮긴이 후기 339
인명 찾아보기 344
용어 찾아보기 346
01. 반품기한
- 단순 변심인 경우 : 상품 수령 후 7일 이내 신청
- 상품 불량/오배송인 경우 : 상품 수령 후 3개월 이내, 혹은 그 사실을 알게 된 이후 30일 이내 반품 신청 가능
02. 반품 배송비
반품사유 | 반품 배송비 부담자 |
---|---|
단순변심 | 고객 부담이며, 최초 배송비를 포함해 왕복 배송비가 발생합니다. 또한, 도서/산간지역이거나 설치 상품을 반품하는 경우에는 배송비가 추가될 수 있습니다. |
고객 부담이 아닙니다. |
03. 배송상태에 따른 환불안내
진행 상태 | 결제완료 | 상품준비중 | 배송지시/배송중/배송완료 |
---|---|---|---|
어떤 상태 | 주문 내역 확인 전 | 상품 발송 준비 중 | 상품이 택배사로 이미 발송 됨 |
환불 | 즉시환불 | 구매취소 의사전달 → 발송중지 → 환불 | 반품회수 → 반품상품 확인 → 환불 |
04. 취소방법
- 결제완료 또는 배송상품은 1:1 문의에 취소신청해 주셔야 합니다.
- 특정 상품의 경우 취소 수수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05. 환불시점
결제수단 | 환불시점 | 환불방법 |
---|---|---|
신용카드 | 취소완료 후, 3~5일 내 카드사 승인취소(영업일 기준) | 신용카드 승인취소 |
계좌이체 |
실시간 계좌이체 또는 무통장입금 취소완료 후, 입력하신 환불계좌로 1~2일 내 환불금액 입금(영업일 기준) |
계좌입금 |
휴대폰 결제 |
당일 구매내역 취소시 취소 완료 후, 6시간 이내 승인취소 전월 구매내역 취소시 취소 완료 후, 1~2일 내 환불계좌로 입금(영업일 기준) |
당일취소 : 휴대폰 결제 승인취소 익월취소 : 계좌입금 |
포인트 | 취소 완료 후, 당일 포인트 적립 | 환불 포인트 적립 |
06. 취소반품 불가 사유
- 단순변심으로 인한 반품 시, 배송 완료 후 7일이 지나면 취소/반품 신청이 접수되지 않습니다.
- 주문/제작 상품의 경우, 상품의 제작이 이미 진행된 경우에는 취소가 불가합니다.
- 구성품을 분실하였거나 취급 부주의로 인한 파손/고장/오염된 경우에는 취소/반품이 제한됩니다.
- 제조사의 사정 (신모델 출시 등) 및 부품 가격변동 등에 의해 가격이 변동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반품 및 가격보상은 불가합니다.
- 뷰티 상품 이용 시 트러블(알러지, 붉은 반점, 가려움, 따가움)이 발생하는 경우 진료 확인서 및 소견서 등을 증빙하면 환불이 가능하지만 이 경우, 제반 비용은 고객님께서 부담하셔야 합니다.
- 각 상품별로 아래와 같은 사유로 취소/반품이 제한 될 수 있습니다.
상품군 | 취소/반품 불가사유 |
---|---|
의류/잡화/수입명품 | 상품의 택(TAG) 제거/라벨 및 상품 훼손으로 상품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된 경우 |
계절상품/식품/화장품 | 고객님의 사용, 시간경과, 일부 소비에 의하여 상품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
가전/설치상품 | 전자제품 특성 상, 정품 스티커가 제거되었거나 설치 또는 사용 이후에 단순변심인 경우, 액정화면이 부착된 상품의 전원을 켠 경우 (상품불량으로 인한 교환/반품은 AS센터의 불량 판정을 받아야 합니다.) |
자동차용품 | 상품을 개봉하여 장착한 이후 단순변심의 경우 |
CD/DVD/GAME/BOOK등 | 복제가 가능한 상품의 포장 등을 훼손한 경우 |
상품의 시리얼 넘버 유출로 내장된 소프트웨어의 가치가 감소한 경우 | |
노트북, 테스크탑 PC 등 | 홀로그램 등을 분리, 분실, 훼손하여 상품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하여 재판매가 불가할 경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