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소개
▣ 출판사서평
500년 사서 번역사에서 기점이 될 번역
원로에서 신진까지 세대를 아우르는 학자진의 참여
동양 철학의 각 분야를 망라하는 풍부한 주석
고려 말 성리학과 함께 전래된 사서는 440여 년 전 언해본 출간을 시작으로 우리말 번역이 이루어졌다. 오늘날에 이르러 ‘고전 르네상스’는 만개하여 『논어』의 경우 번역서로만 최소 100여 종에서 해설서까지 포함하면 700여 종에 이르게 되었다. 서양 문화의 급격한 유입이 제기한 정체성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유교라는 전통을 일신하여 과거로부터 다시 배우고자 애쓴 수많은 연구자와 저술가의 노력이었다.
1992년 이강수 전 연세대 철학과 교수를 필두로 결성된 동양고전연구회는 한국 철학·선진 유가 철학·송명 유학·청 대 유학·도가 철학 전공자 12인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공과 세대가 다른 연구자들은 세계화 시대의 격랑 속에서 인문 세계를 이루어 나가는 데 동양 고전의 현대화를 통해 기여한다는 연구회의 취지를 공유했다. 첫 번째 번역 사업으로 우리에게 가장 깊은 영향을 미친 사서를 선정한 이래 2016년 여름의 완역 출간까지 25여 년이 걸린 데는 동양 고전 번역에 따르는 고유의 문제가 있었다.
저자가 분명하지 않으며 판본에 따른 의미 변경의 폭이 큰 고전의 번역은 안으로는 생소한 고어의 쓰임을 명확히 밝히며 밖으로는 당대의 맥락에 비추어 문면의 의미를 고찰하는 주석(註釋) 작업이다. 고전이 성립된 지 2500년을 헤아리는 시간 동안 축적된 주석서의 양은 그야말로 방대하다. 『논어』만 해도 한 대(漢代)에 성립한 고주(古註)와 주희의 신주(新註)라는 두 개의 큰 줄기를 바탕으로 고증학과 문헌학의 성과를 반영한 현대 중국학자들의 주석들이 있으며, 한국에는 정밀한 토(吐)와 석(釋)을 가한 율곡 이이의 『논어율곡언해(論語栗谷諺解)』, 고주와 신주을 종합하고자 한 다산 정약용의 『논어고금주(論語古今註)』가 있고, 대만과 일본의 유수 학자들의 저서들 또한 다채롭다. 이처럼 방대한 주석을 종합함과 더불어 경전의 원의에 다가가는 것이 동양고전연구회 번역 사업의 원칙이었다.
번역의 시작은 연구자들이 각 전공 분야의 저서를 분담해 조사하고 정기 모임에서 발표하는 것이었는데, 주석들을 검토하고 솎아내는 과정에만 권당 최소 3년에서 6년의 시간이 소요되었다. 번역문을 다듬는 단계에서는 다양하게 해석될 수 있는 구절의 뜻을 확정하기 위해 치열한 토론을 통한 음미와 객관화가 이루어졌다. 이로써 한문 번역의 과도기에 남아 있던 고어와 상투어 그리고 오역을 최소화할 수 있었으며, 긴 토의를 거쳐 여러 사람이 납득할 수 있는 문맥을 잡은 까닭에 하나의 사조나 주관적인 입장에 좌우되지 않을 수 있었다.
더하여 원문과 주석, 번역문과 해설을 모두 참고해야 하는 고전의 특성상 본문 편집에도 주의를 기울였다. 원문과 주석을 왼쪽 면에, 그리고 번역문과 해설을 오른쪽 면에 나란히 배치해 어느 눈높이에서 무엇을 위주로 읽든 불편함이 없으며, 번역문을 한 호흡에 읽어 나가며 전체적인 맥을 짚는 데에도 도움이 된다. 분량이 상대적으로 적으며 높은 수준의 이론이 전개되는 『대학』과 『중용』은 번역 전문을 먼저 실었다. 디자인의 측면에서는 고전의 현대적 해석에 능하며 민음사 『사기』의 디자인으로도 유명한 안지미 디자이너의 아름다운 장정으로 책의 완성도를 높였다. 교양 독자들의 눈높이에서 쉽게 읽히면서 전문성 또한 놓치지 않은 민음사의 사서는 시작하는 사람에게는 가장 신뢰할 수 있는 선택이, 다시 읽는 사람에게는 지난 독서를 반추하는 계기가 되어 줄 것이다.
동양 문명의 정수
인문 정신의 원천, 사서
『논어』는 공자의 제자들이 스승에게 직접 듣거나 기록해서 지니고 있던 말들을 공자 사후에 논찬(論纂)하여 이루어진 일종의 대화집이다. 기원전 4세기경 공자를 계승하여 공자 사상을 확장하고 심화한 맹자의 주관하에 이루어진 저작이 『맹자』이며, 송 대(宋代)에 와서 『예기(禮記)』로부터 『대학』과 『중용』가 분리되어 『논어』, 『맹자』와 함께 사서로 표장(表章)되었다. 유교의 경전이자 동양 사상의 근본 문헌인 사서는 서양 학문에 빗대어 말하자면 공자의 사상을 중심으로 정치 철학, 사회 철학, 우주론, 존재론, 형이상학을 아우르는 거대한 학문적 체계이자, 우리에게 익숙한 말과 삶의 원경을 이루는 본바탕이며, 비근한 데에서 고원한 데에 이르기까지, 마음을 다스리는 법에서 천하를 다스리는 법까지 논하는 인간의 지침서이다. 주희는 말한다. “사서를 읽을 때는 모든 것을 추구하지 말고, 자신에게 가장 절실한 구체적인 것에서부터 시작해야 한다.”
『논어』, 일생에 걸쳐 묻고 배우며
사람이 사람답게 살아갈 길을 열다
중국 전국 시대 초에 이루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논어』는 ‘한 마디 말로 천하의 근심을 다스린다’는 뜻의 일언일약(一言一藥)이라는 성어에 들어맞는다. 일생 동안 누구나 한 번쯤 마주하게 되는 책이자, 처음 읽는 사람에게도 놀랍도록 친숙하고 절실한 이야기로 다가오는 『논어』의 첫 구절은 그 유명한 “학이시습지, 불역열호(學而時習之, 不亦說乎)”이다. “배우고 그것을 때에 맞게 익혀 나가면 기쁘지 않겠는가?”(23쪽)
배우기를 좋아하여 호학지사(好學之士)라는 칭호를 얻었고 지성선사(至聖先師), 문선왕(文宣王)이라는 존칭으로 숭앙되어 온 공자는 일생에 걸쳐 묻고 배우며 살아갔다. 마음에서 우러나는 기쁨에서 시작하는 배움은 횡으로는 스스로 서고자 하는 만큼 남 역시 서게 해 주며, 종으로는 가르침을 힘써 전해 제자들을 기르고 각자 뜻을 펴 나아가게 하는 것이었다. 공자의 목표는 우리가 사람다운 사람이 되어 사람답게 살아갈 수 있는 사회를 이룩하는 데 있었다. 인간이 일으킨 일체 사회 현상이 결국 인간 심성의 드러남이라고 할 때, 인류 사회의 여러 문제들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고자 한다면 ‘인간’을 알아야 할 것이다. 사람들에게 인간의 문제에 대해 눈을 뜨게 하고 사람 노릇 하는 방법을 알려 주는 고전인 『논어』는 지난날 동아시아의 정치 이상이었으며, 라틴어로 처음 번역된 후 서구 계몽주의자들에게는 먼 곳에서 비쳐 오는 빛이었다. 그리고 세계가 하나로 재편되어 가는 지구화 시대에는 “자신이 원치 않는 일을 남에게 베풀지 말 것이다.”(251쪽)라는 보편적인 황금률로 자리할 것이다.
『맹자』, 어진 정치와 안정된 경제의 실현으로
모두가 살 만한 세상을 꿈꾸다
『맹자』는 흔히 아성(亞聖), 즉 공자에 버금가는 성인으로 불리는 맹자의 사상을 담은 책이다. 맹자는 공자를 계승해 스스로는 이상적인 도덕 인격을 완성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인민들이 살 만한 세상을 만드는 ‘수기안인(修己安人)’을 목표로 했다. 이를 위해 맹자는 ‘왕도정치’를 제시했고 근거로서 ‘성선설’을 말했다. 맹자는 정치의 핵심이 민생을 개선하고 교화를 시행하는 데 있다고 생각했다. 무엇보다 민생 문제가 먼저 해결되어야 도덕 교화가 가능하고 이상적인 인격의 완성도 가능하다는 것이다. 이렇듯 통치자들이 ‘민본’ 의식에 근거해 민생 문제를 해결하는 왕도정치의 바탕에 있는 것이 ‘다른 사람의 고통을 차마 견디지 못하는 마음(不忍人之心)’이다. 이러한 덕성은 후천적으로 교육된 것이 아니라 본래부터 우리에게 주어져 있으니 잠재되어 있는 본성을 오롯이 되찾으면 될 뿐이다.
공자의 뜻을 확장, 심화시킨 『맹자』는 맹자와 왕 혹은 제자 사이에 오간 대화로 정리되어 있는데 논리가 정연하고 비유가 풍부하며 대화의 맥락이나 흐름이 있어 사서의 다른 책들에 비해 잘 읽힌다. 오늘날에도 일상에서 많이 쓰이는 ‘오십보백보’, ‘농단’, ‘연목구어’, ‘자포자기’ 등의 성어들이 유래한 책이기도 하다. 제나라 선왕과의 대화에서 “지금은 백성의 생업을 마련해 주지만 위로는 부모를 섬기기에 부족하고 아래로는 처자는 기르기에 부족하며, 풍년에도 늘 고생스럽고 흉년에는 굶어 죽는 것을 면하지 못합니다. 이것은 다만 죽음을 구제하기에도 부족할까 두려운데 어느 겨를에 예를 닦고 의를 행하겠습니까?”(49쪽)라며 민생 구제를 촉구하고, 또한 왕의 면전에 대놓고 “임금에게 큰 허물이 있으면 간언하고, 여러 번 간언해도 듣지 않으면 임금을 바꿉니다.”(369쪽)라고 말하는 맹자의 일갈은 2000여 년이 지난 오늘의 사회 상황을 조명하며 통쾌함과 씁쓸함을 함께 남긴다.
『대학』, 마음을 바르게 닦아 천하를 경영하는
다스림의 근본을 세우다
사서 가운데 가장 분량이 적으면서도 짜임새 있는 체계를 갖춘 『대학』은 사서 읽기의 시작으로 꼽힌다. 그 내용은 크게 “대학의 도(道)는 자신의 밝은 덕성을 밝히는 데 있고(明明德), 백성을 자기 몸처럼 아끼는 데 있으며(親民), 지극한 선의 경지에 머무는 데 있다(止於至善).”라는 삼강령의 이상과 이를 이루기 위한 방법인 팔조목, 즉 격물(格物)? 치지(致知)?성의(誠意)?정심(正心)?수신(修身)?제가(齊家)?치국(治國)?평천하(平天下)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이는 곧 밝은 덕으로서의 착한 본성을 갈고닦아 최고의 경지인 지선에 이르고 또 이를 바탕으로 평천하하는 방안을 말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 유가적 이상형의 인간을 완성하고 이를 실제 세계로 확대하여 이상 사회를 건립하는 방법을 제시한 책이 『대학』이다. 그렇기에 『대학』은 사서의 입문서로 꼽히면서도 제왕이 필독해야 할 정치서로서 자리매김했다.
『대학』은 큰 지향을 담고 있음에도 간결하고 쉬운 문장으로 이루어져 처음 한문 고전을 접하는 사람들도 그 뜻을 이해하기에 어렵지 않다. “윗사람에게 싫었던 것으로 아랫사람을 부리지 말라. 아랫사람에게 싫었던 것으로 윗사람을 섬기지 말라. 앞사람에게 싫었던 것으로 뒷사람을 이끌지 말라. 뒷사람에게 싫었던 것으로 앞사람을 따르지 말라. …… 이것을 자기의 처지를 미루어 남의 처지를 헤아리는 도라고 한다.”(34~35쪽)에서도 보이듯 점층적으로 이어지는 『대학』의 문장은 자기 수양에서 천하의 태평함으로 나아가는 뜻의 전개와 맞물려 읽는 사람을 고양시킨다. 짧지만 품위 있는 글 속에서 유학의 깊은 뜻을 배울 수 있을 것이다.
『중용』, 중용의 지혜를 밝혀
나를 완성하고 세상을 조화롭게 하다
『중용』은 『대학』과 마찬가지로 『예기』의 한 편이었다가 분리되어 후일 성리학 형성의 이론적 기초를 이루었다. 『대학』이 유가의 정치철학을 말했다면 『중용』은 유가의 형이상학, 인성론, 인생철학 등을 종합적으로 말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중용』은 이미 『시경』, 『서경』, 『역경』, 『논어』 등에 등장한 중(中)의 개념을 인간 윤리에 접목해 사상적으로 전개함으로써 인간의 삶을 시공간적으로 확대, 심화하고 체계화한다. 다시 말해 『중용』은 인성(人性)의 근원과 전개를 밝힘으로써 인간과 하늘의 관계, 인간과 인간의 관계, 인간과 사회의 관계를 설명한 다음 다시 사람이 하늘로 돌아가는 성인의 도를 논한다.
우주 만물의 섭리에서 인간 삶의 법칙까지 아우르는 『중용』의 사상은 그러나 마음의 철학에 그치지 않고 시시각각으로 변하는 상황에 맞추어(時中) 치우치지도, 지나치지도 않게 최선을 구하는 실천적 행동 지침이 된다. 그러기에 “(중용의) 도는 사람에게서 멀리 있지 않으니, 사람이 도를 행하면서 사람에게서 멀어진다면 도라고 할 수 없다.”(31쪽)라고 한 것이다. 공자는 지극히 성실하여 자신의 본성을 모두 실현하고 그로써 다른 사람의 본성과 만물을 본성도 모두 실현하게 하는 사람을 성인이라 했는데, 이때 성실함은 본성의 덕인 동시에 내면과 일상생활을 연결하는 도리가 된다. 이렇게 성인의 도를 밝히면서도 그것의 일상 속 실천 가능성을 놓치지 않는 중용의 정신은 『중용』을 마음공부의 정수이자 자기 수양의 영원한 고전으로 자리매김하게 한다.
▣ 작가 소개
동양고전연구회
원전에 충실한 주석과 현대적 해석을 통한 동양 고전 출판을 목표로 1992년 6월 출범했다. 한국 철학.선진 유가 철학.송명 유학.청 대 유학.도가 철학을 전공한 연구자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지난 25년 동안 회합하며 고전을 번역하고 주해해 왔다. 우리 전통의 발판 위에 미래 문화를 창달하기 위해 계속해서 번역 작업에 힘쓰고자 한다. 동양고전연구회의 첫 사업으로 간행한 『논어』는 《교수신문》 선정 최고의 번역본으로 꼽혔다.
『논어』: 이강수, 김병채, 장숙필, 고재욱, 이명한, 김백현, 유권종, 정상봉
『맹자』: 김병채, 고재욱, 이명한, 정상봉, 이연승, 안재호, 김태용, 이진용
『대학』, 『중용』: 이강수, 김병채, 고재욱, 이명한, 김백현, 유권종, 정상봉, 안재호, 김태용
이강수(李康洙) 고려대 철학과 졸업, 국립 타이완대 대학원 철학과 석사, 고려대 대학원 철학과 박사. 경희대 국민윤리학과 조교수, 중앙대 철학과 부교수, 연세대 철학과 교수 역임. 저서 『노자와 장자』.『중국 고대 철학의 이해』, 역서 『노자』.『장자』 외.
故 김병채(金炳采) 고려대 철학과 및 동 대학원 졸업, 국립 타이완대 대학원 철학과 석사, 대만 푸런대학 대학원 철학과 박사. 한국공자학회 회장, 한양대 철학과 교수 역임. 저서 『전통 유학의 현대적 해석』(공저), 논문 「선진 유가 철학의 도덕의식 연구」 외.
장숙필(張淑必) 고려대 철학과 졸업, 고려대 대학원 철학과 석사, 박사. 현재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 선임연구원, 한양대 겸임교수. 저서 『현대 사회와 동양 사상』(공저).『한국 유학 사상 대계 사회사상편』(공저), 역서 『성학집요』 외.
고재욱(高在旭) 고려대 철학과 및 동 대학원 석사, 대만 푸런대 대학원 철학과 박사. 베이징대 및 지린대 교환교수 역임. 한국중국학회장 및 한국중국현대철학연구회장 역임. 현재 강원대 철학과 교수. 저서 『중국 사회사상의 이해』(공저).『처음 읽는 중국 현대 철학』(공저), 역서 『중국 사회사상사』.『중국 근대 철학사』.『일곱 주제로 만나는 동서 비교 철학』 외.
이명한(李明漢) 중앙대 철학과 졸업, 국립 타이완대 대학원 철학과 석사, 중국문화대 대학원 철학과 박사. 현재 중앙대 철학과 명예교수. 논문 「양명 양지 개념의 형성과 그 의의 연구」 외.
김백현(金白鉉) 한국외국어대 중국어과(철학 부전공) 졸업, 국립 타이완대 대학원 철학과 석사, 대만 푸런대 대학원 철학과 박사. 현재 강릉원주대 철학과 교수. 베이징대 및 쓰촨대 공동연구교수, 중국학연구회장 및 한국도가철학회장 역임. 저서 『중국 철학 사상사』.『도가 철학 연구』.『莊子哲學中天人之際硏究』(대만) 외.
유권종(劉權鐘) 고려대 철학과 졸업, 고려대 철학과 석사, 박사. 현재 중앙대 철학과 교수. 저서 『유교적 마음 모델과 예 교육』(공저).Ecology and Korean Confucianism(공저).Encyclopedia of Food and Culture(Springler)(공저) 외, 논문 「위기지학의 개념화 과정」.「통합 마음 연구를 위한 마음 모형」 외.
정상봉(鄭相峯) 서울대 철학과 졸업, 국립 타이완대 대학원 철학과 석사, 박사. 현재 건국대 철학과 교수. 논문 「주자 심론 연구」(박사학위논문).「주희의 격물치지와 경 공부」.「주희의 인론」.「주자 형이상의 심층 구조」.「정명도의 천리와 인성에 대한 이해」.「퇴계의 주자 철학에 대한 이해와 그 특색」.「유가의 정감 윤리학」 외.
안재호(安載晧) 중앙대 철학과 졸업, 베이징대 철학과 박사. 현재 중앙대 교양학부 조교수. 저서 『왕부지 철학』, 역서 『송명 성리학』.『중국 철학 강의』.『공자왈, 공자는 이렇게 말했다』 외.
이연승(李姸承) 서울대 종교학과 졸업, 타이완대 박사. 현재 서울대 종교학과 교수. 저서 『양웅: 어느 한 대 지식인의 고민』.『제국의 건설자 이사』, 역서 『방언소증』.『법언』.『사상사를 어떻게 쓸 것인가』 등.
김태용(金兌勇) 한양대 철학과 및 동 대학원 졸업, 타이완대 석사, 베이징대 박사. 현재 한양대 철학과 부교수. 논문 「『중용』의 ‘성’ 개념에 대한 연구」, 저서 『현대 신유학과 중국 특색의 사회주의』(공저).『처음 읽는 중국 현대 철학』(공저) 외.
이진용(李溱鎔) 연세대 철학과 졸업, 연세대 대학원 철학과 석사, 베이징대 철학과 박사. 건국대 연구전임조교수 역임. 현재 연세대 원주캠퍼스 철학과 부교수. 저서 『포박자 연구』(공저), 논문 「회남자의 우주 생성론 고찰」 외.
▣ 주요 목차
『논어』
서문 5
해제 11
1 학이(學而) 21
2 위정(爲政) 37
3 팔일(八佾) 59
4 이인(里仁) 81
5 공야장(公冶長) 97
6 옹야(雍也) 117
7 술이(述而) 139
8 태백(泰伯) 163
9 자한(子罕) 181
10 향당(鄕黨) 201
11 선진(先進) 221
12 안연(顔淵) 247
13 자로(子路) 267
14 헌문(憲問) 291
15 위령공(衛靈公) 323
16 계씨(季氏) 347
17 양화(陽貨) 363
18 미자(微子) 389
19 자장(子張) 403
20 요왈(堯曰) 419
참고 문헌 429
찾아보기 431
『맹자』
서문 5
해제 11
1 양혜왕 상(梁惠王上) 25
2 양혜왕 하(梁惠王下) 53
3 공손추 상(公孫丑上) 87
4 공손추 하(公孫丑下) 127
5 등문공 상(?文公上) 159
6 등문공 하(?文公下) 197
7 이루 상(離婁上) 231
8 이루 하(離婁下) 271
9 만장 상(萬章上) 305
10 만장 하(萬章下) 339
11 고자 상(告子上) 373
12 고자 하(告子下) 401
13 진심 상(盡心上) 431
14 진심 하(盡心下) 467
참고 문헌 503
찾아보기 505
『대학』
서문 5
해제 11
대학 25
해설 39
참고 문헌 85
찾아보기 87
『중용』
서문 5
해제 11
중용 25
해설 51
참고 문헌 129
찾아보기 131
500년 사서 번역사에서 기점이 될 번역
원로에서 신진까지 세대를 아우르는 학자진의 참여
동양 철학의 각 분야를 망라하는 풍부한 주석
고려 말 성리학과 함께 전래된 사서는 440여 년 전 언해본 출간을 시작으로 우리말 번역이 이루어졌다. 오늘날에 이르러 ‘고전 르네상스’는 만개하여 『논어』의 경우 번역서로만 최소 100여 종에서 해설서까지 포함하면 700여 종에 이르게 되었다. 서양 문화의 급격한 유입이 제기한 정체성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유교라는 전통을 일신하여 과거로부터 다시 배우고자 애쓴 수많은 연구자와 저술가의 노력이었다.
1992년 이강수 전 연세대 철학과 교수를 필두로 결성된 동양고전연구회는 한국 철학·선진 유가 철학·송명 유학·청 대 유학·도가 철학 전공자 12인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공과 세대가 다른 연구자들은 세계화 시대의 격랑 속에서 인문 세계를 이루어 나가는 데 동양 고전의 현대화를 통해 기여한다는 연구회의 취지를 공유했다. 첫 번째 번역 사업으로 우리에게 가장 깊은 영향을 미친 사서를 선정한 이래 2016년 여름의 완역 출간까지 25여 년이 걸린 데는 동양 고전 번역에 따르는 고유의 문제가 있었다.
저자가 분명하지 않으며 판본에 따른 의미 변경의 폭이 큰 고전의 번역은 안으로는 생소한 고어의 쓰임을 명확히 밝히며 밖으로는 당대의 맥락에 비추어 문면의 의미를 고찰하는 주석(註釋) 작업이다. 고전이 성립된 지 2500년을 헤아리는 시간 동안 축적된 주석서의 양은 그야말로 방대하다. 『논어』만 해도 한 대(漢代)에 성립한 고주(古註)와 주희의 신주(新註)라는 두 개의 큰 줄기를 바탕으로 고증학과 문헌학의 성과를 반영한 현대 중국학자들의 주석들이 있으며, 한국에는 정밀한 토(吐)와 석(釋)을 가한 율곡 이이의 『논어율곡언해(論語栗谷諺解)』, 고주와 신주을 종합하고자 한 다산 정약용의 『논어고금주(論語古今註)』가 있고, 대만과 일본의 유수 학자들의 저서들 또한 다채롭다. 이처럼 방대한 주석을 종합함과 더불어 경전의 원의에 다가가는 것이 동양고전연구회 번역 사업의 원칙이었다.
번역의 시작은 연구자들이 각 전공 분야의 저서를 분담해 조사하고 정기 모임에서 발표하는 것이었는데, 주석들을 검토하고 솎아내는 과정에만 권당 최소 3년에서 6년의 시간이 소요되었다. 번역문을 다듬는 단계에서는 다양하게 해석될 수 있는 구절의 뜻을 확정하기 위해 치열한 토론을 통한 음미와 객관화가 이루어졌다. 이로써 한문 번역의 과도기에 남아 있던 고어와 상투어 그리고 오역을 최소화할 수 있었으며, 긴 토의를 거쳐 여러 사람이 납득할 수 있는 문맥을 잡은 까닭에 하나의 사조나 주관적인 입장에 좌우되지 않을 수 있었다.
더하여 원문과 주석, 번역문과 해설을 모두 참고해야 하는 고전의 특성상 본문 편집에도 주의를 기울였다. 원문과 주석을 왼쪽 면에, 그리고 번역문과 해설을 오른쪽 면에 나란히 배치해 어느 눈높이에서 무엇을 위주로 읽든 불편함이 없으며, 번역문을 한 호흡에 읽어 나가며 전체적인 맥을 짚는 데에도 도움이 된다. 분량이 상대적으로 적으며 높은 수준의 이론이 전개되는 『대학』과 『중용』은 번역 전문을 먼저 실었다. 디자인의 측면에서는 고전의 현대적 해석에 능하며 민음사 『사기』의 디자인으로도 유명한 안지미 디자이너의 아름다운 장정으로 책의 완성도를 높였다. 교양 독자들의 눈높이에서 쉽게 읽히면서 전문성 또한 놓치지 않은 민음사의 사서는 시작하는 사람에게는 가장 신뢰할 수 있는 선택이, 다시 읽는 사람에게는 지난 독서를 반추하는 계기가 되어 줄 것이다.
동양 문명의 정수
인문 정신의 원천, 사서
『논어』는 공자의 제자들이 스승에게 직접 듣거나 기록해서 지니고 있던 말들을 공자 사후에 논찬(論纂)하여 이루어진 일종의 대화집이다. 기원전 4세기경 공자를 계승하여 공자 사상을 확장하고 심화한 맹자의 주관하에 이루어진 저작이 『맹자』이며, 송 대(宋代)에 와서 『예기(禮記)』로부터 『대학』과 『중용』가 분리되어 『논어』, 『맹자』와 함께 사서로 표장(表章)되었다. 유교의 경전이자 동양 사상의 근본 문헌인 사서는 서양 학문에 빗대어 말하자면 공자의 사상을 중심으로 정치 철학, 사회 철학, 우주론, 존재론, 형이상학을 아우르는 거대한 학문적 체계이자, 우리에게 익숙한 말과 삶의 원경을 이루는 본바탕이며, 비근한 데에서 고원한 데에 이르기까지, 마음을 다스리는 법에서 천하를 다스리는 법까지 논하는 인간의 지침서이다. 주희는 말한다. “사서를 읽을 때는 모든 것을 추구하지 말고, 자신에게 가장 절실한 구체적인 것에서부터 시작해야 한다.”
『논어』, 일생에 걸쳐 묻고 배우며
사람이 사람답게 살아갈 길을 열다
중국 전국 시대 초에 이루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논어』는 ‘한 마디 말로 천하의 근심을 다스린다’는 뜻의 일언일약(一言一藥)이라는 성어에 들어맞는다. 일생 동안 누구나 한 번쯤 마주하게 되는 책이자, 처음 읽는 사람에게도 놀랍도록 친숙하고 절실한 이야기로 다가오는 『논어』의 첫 구절은 그 유명한 “학이시습지, 불역열호(學而時習之, 不亦說乎)”이다. “배우고 그것을 때에 맞게 익혀 나가면 기쁘지 않겠는가?”(23쪽)
배우기를 좋아하여 호학지사(好學之士)라는 칭호를 얻었고 지성선사(至聖先師), 문선왕(文宣王)이라는 존칭으로 숭앙되어 온 공자는 일생에 걸쳐 묻고 배우며 살아갔다. 마음에서 우러나는 기쁨에서 시작하는 배움은 횡으로는 스스로 서고자 하는 만큼 남 역시 서게 해 주며, 종으로는 가르침을 힘써 전해 제자들을 기르고 각자 뜻을 펴 나아가게 하는 것이었다. 공자의 목표는 우리가 사람다운 사람이 되어 사람답게 살아갈 수 있는 사회를 이룩하는 데 있었다. 인간이 일으킨 일체 사회 현상이 결국 인간 심성의 드러남이라고 할 때, 인류 사회의 여러 문제들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고자 한다면 ‘인간’을 알아야 할 것이다. 사람들에게 인간의 문제에 대해 눈을 뜨게 하고 사람 노릇 하는 방법을 알려 주는 고전인 『논어』는 지난날 동아시아의 정치 이상이었으며, 라틴어로 처음 번역된 후 서구 계몽주의자들에게는 먼 곳에서 비쳐 오는 빛이었다. 그리고 세계가 하나로 재편되어 가는 지구화 시대에는 “자신이 원치 않는 일을 남에게 베풀지 말 것이다.”(251쪽)라는 보편적인 황금률로 자리할 것이다.
『맹자』, 어진 정치와 안정된 경제의 실현으로
모두가 살 만한 세상을 꿈꾸다
『맹자』는 흔히 아성(亞聖), 즉 공자에 버금가는 성인으로 불리는 맹자의 사상을 담은 책이다. 맹자는 공자를 계승해 스스로는 이상적인 도덕 인격을 완성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인민들이 살 만한 세상을 만드는 ‘수기안인(修己安人)’을 목표로 했다. 이를 위해 맹자는 ‘왕도정치’를 제시했고 근거로서 ‘성선설’을 말했다. 맹자는 정치의 핵심이 민생을 개선하고 교화를 시행하는 데 있다고 생각했다. 무엇보다 민생 문제가 먼저 해결되어야 도덕 교화가 가능하고 이상적인 인격의 완성도 가능하다는 것이다. 이렇듯 통치자들이 ‘민본’ 의식에 근거해 민생 문제를 해결하는 왕도정치의 바탕에 있는 것이 ‘다른 사람의 고통을 차마 견디지 못하는 마음(不忍人之心)’이다. 이러한 덕성은 후천적으로 교육된 것이 아니라 본래부터 우리에게 주어져 있으니 잠재되어 있는 본성을 오롯이 되찾으면 될 뿐이다.
공자의 뜻을 확장, 심화시킨 『맹자』는 맹자와 왕 혹은 제자 사이에 오간 대화로 정리되어 있는데 논리가 정연하고 비유가 풍부하며 대화의 맥락이나 흐름이 있어 사서의 다른 책들에 비해 잘 읽힌다. 오늘날에도 일상에서 많이 쓰이는 ‘오십보백보’, ‘농단’, ‘연목구어’, ‘자포자기’ 등의 성어들이 유래한 책이기도 하다. 제나라 선왕과의 대화에서 “지금은 백성의 생업을 마련해 주지만 위로는 부모를 섬기기에 부족하고 아래로는 처자는 기르기에 부족하며, 풍년에도 늘 고생스럽고 흉년에는 굶어 죽는 것을 면하지 못합니다. 이것은 다만 죽음을 구제하기에도 부족할까 두려운데 어느 겨를에 예를 닦고 의를 행하겠습니까?”(49쪽)라며 민생 구제를 촉구하고, 또한 왕의 면전에 대놓고 “임금에게 큰 허물이 있으면 간언하고, 여러 번 간언해도 듣지 않으면 임금을 바꿉니다.”(369쪽)라고 말하는 맹자의 일갈은 2000여 년이 지난 오늘의 사회 상황을 조명하며 통쾌함과 씁쓸함을 함께 남긴다.
『대학』, 마음을 바르게 닦아 천하를 경영하는
다스림의 근본을 세우다
사서 가운데 가장 분량이 적으면서도 짜임새 있는 체계를 갖춘 『대학』은 사서 읽기의 시작으로 꼽힌다. 그 내용은 크게 “대학의 도(道)는 자신의 밝은 덕성을 밝히는 데 있고(明明德), 백성을 자기 몸처럼 아끼는 데 있으며(親民), 지극한 선의 경지에 머무는 데 있다(止於至善).”라는 삼강령의 이상과 이를 이루기 위한 방법인 팔조목, 즉 격물(格物)? 치지(致知)?성의(誠意)?정심(正心)?수신(修身)?제가(齊家)?치국(治國)?평천하(平天下)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이는 곧 밝은 덕으로서의 착한 본성을 갈고닦아 최고의 경지인 지선에 이르고 또 이를 바탕으로 평천하하는 방안을 말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 유가적 이상형의 인간을 완성하고 이를 실제 세계로 확대하여 이상 사회를 건립하는 방법을 제시한 책이 『대학』이다. 그렇기에 『대학』은 사서의 입문서로 꼽히면서도 제왕이 필독해야 할 정치서로서 자리매김했다.
『대학』은 큰 지향을 담고 있음에도 간결하고 쉬운 문장으로 이루어져 처음 한문 고전을 접하는 사람들도 그 뜻을 이해하기에 어렵지 않다. “윗사람에게 싫었던 것으로 아랫사람을 부리지 말라. 아랫사람에게 싫었던 것으로 윗사람을 섬기지 말라. 앞사람에게 싫었던 것으로 뒷사람을 이끌지 말라. 뒷사람에게 싫었던 것으로 앞사람을 따르지 말라. …… 이것을 자기의 처지를 미루어 남의 처지를 헤아리는 도라고 한다.”(34~35쪽)에서도 보이듯 점층적으로 이어지는 『대학』의 문장은 자기 수양에서 천하의 태평함으로 나아가는 뜻의 전개와 맞물려 읽는 사람을 고양시킨다. 짧지만 품위 있는 글 속에서 유학의 깊은 뜻을 배울 수 있을 것이다.
『중용』, 중용의 지혜를 밝혀
나를 완성하고 세상을 조화롭게 하다
『중용』은 『대학』과 마찬가지로 『예기』의 한 편이었다가 분리되어 후일 성리학 형성의 이론적 기초를 이루었다. 『대학』이 유가의 정치철학을 말했다면 『중용』은 유가의 형이상학, 인성론, 인생철학 등을 종합적으로 말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중용』은 이미 『시경』, 『서경』, 『역경』, 『논어』 등에 등장한 중(中)의 개념을 인간 윤리에 접목해 사상적으로 전개함으로써 인간의 삶을 시공간적으로 확대, 심화하고 체계화한다. 다시 말해 『중용』은 인성(人性)의 근원과 전개를 밝힘으로써 인간과 하늘의 관계, 인간과 인간의 관계, 인간과 사회의 관계를 설명한 다음 다시 사람이 하늘로 돌아가는 성인의 도를 논한다.
우주 만물의 섭리에서 인간 삶의 법칙까지 아우르는 『중용』의 사상은 그러나 마음의 철학에 그치지 않고 시시각각으로 변하는 상황에 맞추어(時中) 치우치지도, 지나치지도 않게 최선을 구하는 실천적 행동 지침이 된다. 그러기에 “(중용의) 도는 사람에게서 멀리 있지 않으니, 사람이 도를 행하면서 사람에게서 멀어진다면 도라고 할 수 없다.”(31쪽)라고 한 것이다. 공자는 지극히 성실하여 자신의 본성을 모두 실현하고 그로써 다른 사람의 본성과 만물을 본성도 모두 실현하게 하는 사람을 성인이라 했는데, 이때 성실함은 본성의 덕인 동시에 내면과 일상생활을 연결하는 도리가 된다. 이렇게 성인의 도를 밝히면서도 그것의 일상 속 실천 가능성을 놓치지 않는 중용의 정신은 『중용』을 마음공부의 정수이자 자기 수양의 영원한 고전으로 자리매김하게 한다.
▣ 작가 소개
동양고전연구회
원전에 충실한 주석과 현대적 해석을 통한 동양 고전 출판을 목표로 1992년 6월 출범했다. 한국 철학.선진 유가 철학.송명 유학.청 대 유학.도가 철학을 전공한 연구자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지난 25년 동안 회합하며 고전을 번역하고 주해해 왔다. 우리 전통의 발판 위에 미래 문화를 창달하기 위해 계속해서 번역 작업에 힘쓰고자 한다. 동양고전연구회의 첫 사업으로 간행한 『논어』는 《교수신문》 선정 최고의 번역본으로 꼽혔다.
『논어』: 이강수, 김병채, 장숙필, 고재욱, 이명한, 김백현, 유권종, 정상봉
『맹자』: 김병채, 고재욱, 이명한, 정상봉, 이연승, 안재호, 김태용, 이진용
『대학』, 『중용』: 이강수, 김병채, 고재욱, 이명한, 김백현, 유권종, 정상봉, 안재호, 김태용
이강수(李康洙) 고려대 철학과 졸업, 국립 타이완대 대학원 철학과 석사, 고려대 대학원 철학과 박사. 경희대 국민윤리학과 조교수, 중앙대 철학과 부교수, 연세대 철학과 교수 역임. 저서 『노자와 장자』.『중국 고대 철학의 이해』, 역서 『노자』.『장자』 외.
故 김병채(金炳采) 고려대 철학과 및 동 대학원 졸업, 국립 타이완대 대학원 철학과 석사, 대만 푸런대학 대학원 철학과 박사. 한국공자학회 회장, 한양대 철학과 교수 역임. 저서 『전통 유학의 현대적 해석』(공저), 논문 「선진 유가 철학의 도덕의식 연구」 외.
장숙필(張淑必) 고려대 철학과 졸업, 고려대 대학원 철학과 석사, 박사. 현재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 선임연구원, 한양대 겸임교수. 저서 『현대 사회와 동양 사상』(공저).『한국 유학 사상 대계 사회사상편』(공저), 역서 『성학집요』 외.
고재욱(高在旭) 고려대 철학과 및 동 대학원 석사, 대만 푸런대 대학원 철학과 박사. 베이징대 및 지린대 교환교수 역임. 한국중국학회장 및 한국중국현대철학연구회장 역임. 현재 강원대 철학과 교수. 저서 『중국 사회사상의 이해』(공저).『처음 읽는 중국 현대 철학』(공저), 역서 『중국 사회사상사』.『중국 근대 철학사』.『일곱 주제로 만나는 동서 비교 철학』 외.
이명한(李明漢) 중앙대 철학과 졸업, 국립 타이완대 대학원 철학과 석사, 중국문화대 대학원 철학과 박사. 현재 중앙대 철학과 명예교수. 논문 「양명 양지 개념의 형성과 그 의의 연구」 외.
김백현(金白鉉) 한국외국어대 중국어과(철학 부전공) 졸업, 국립 타이완대 대학원 철학과 석사, 대만 푸런대 대학원 철학과 박사. 현재 강릉원주대 철학과 교수. 베이징대 및 쓰촨대 공동연구교수, 중국학연구회장 및 한국도가철학회장 역임. 저서 『중국 철학 사상사』.『도가 철학 연구』.『莊子哲學中天人之際硏究』(대만) 외.
유권종(劉權鐘) 고려대 철학과 졸업, 고려대 철학과 석사, 박사. 현재 중앙대 철학과 교수. 저서 『유교적 마음 모델과 예 교육』(공저).Ecology and Korean Confucianism(공저).Encyclopedia of Food and Culture(Springler)(공저) 외, 논문 「위기지학의 개념화 과정」.「통합 마음 연구를 위한 마음 모형」 외.
정상봉(鄭相峯) 서울대 철학과 졸업, 국립 타이완대 대학원 철학과 석사, 박사. 현재 건국대 철학과 교수. 논문 「주자 심론 연구」(박사학위논문).「주희의 격물치지와 경 공부」.「주희의 인론」.「주자 형이상의 심층 구조」.「정명도의 천리와 인성에 대한 이해」.「퇴계의 주자 철학에 대한 이해와 그 특색」.「유가의 정감 윤리학」 외.
안재호(安載晧) 중앙대 철학과 졸업, 베이징대 철학과 박사. 현재 중앙대 교양학부 조교수. 저서 『왕부지 철학』, 역서 『송명 성리학』.『중국 철학 강의』.『공자왈, 공자는 이렇게 말했다』 외.
이연승(李姸承) 서울대 종교학과 졸업, 타이완대 박사. 현재 서울대 종교학과 교수. 저서 『양웅: 어느 한 대 지식인의 고민』.『제국의 건설자 이사』, 역서 『방언소증』.『법언』.『사상사를 어떻게 쓸 것인가』 등.
김태용(金兌勇) 한양대 철학과 및 동 대학원 졸업, 타이완대 석사, 베이징대 박사. 현재 한양대 철학과 부교수. 논문 「『중용』의 ‘성’ 개념에 대한 연구」, 저서 『현대 신유학과 중국 특색의 사회주의』(공저).『처음 읽는 중국 현대 철학』(공저) 외.
이진용(李溱鎔) 연세대 철학과 졸업, 연세대 대학원 철학과 석사, 베이징대 철학과 박사. 건국대 연구전임조교수 역임. 현재 연세대 원주캠퍼스 철학과 부교수. 저서 『포박자 연구』(공저), 논문 「회남자의 우주 생성론 고찰」 외.
▣ 주요 목차
『논어』
서문 5
해제 11
1 학이(學而) 21
2 위정(爲政) 37
3 팔일(八佾) 59
4 이인(里仁) 81
5 공야장(公冶長) 97
6 옹야(雍也) 117
7 술이(述而) 139
8 태백(泰伯) 163
9 자한(子罕) 181
10 향당(鄕黨) 201
11 선진(先進) 221
12 안연(顔淵) 247
13 자로(子路) 267
14 헌문(憲問) 291
15 위령공(衛靈公) 323
16 계씨(季氏) 347
17 양화(陽貨) 363
18 미자(微子) 389
19 자장(子張) 403
20 요왈(堯曰) 419
참고 문헌 429
찾아보기 431
『맹자』
서문 5
해제 11
1 양혜왕 상(梁惠王上) 25
2 양혜왕 하(梁惠王下) 53
3 공손추 상(公孫丑上) 87
4 공손추 하(公孫丑下) 127
5 등문공 상(?文公上) 159
6 등문공 하(?文公下) 197
7 이루 상(離婁上) 231
8 이루 하(離婁下) 271
9 만장 상(萬章上) 305
10 만장 하(萬章下) 339
11 고자 상(告子上) 373
12 고자 하(告子下) 401
13 진심 상(盡心上) 431
14 진심 하(盡心下) 467
참고 문헌 503
찾아보기 505
『대학』
서문 5
해제 11
대학 25
해설 39
참고 문헌 85
찾아보기 87
『중용』
서문 5
해제 11
중용 25
해설 51
참고 문헌 129
찾아보기 131
01. 반품기한
- 단순 변심인 경우 : 상품 수령 후 7일 이내 신청
- 상품 불량/오배송인 경우 : 상품 수령 후 3개월 이내, 혹은 그 사실을 알게 된 이후 30일 이내 반품 신청 가능
02. 반품 배송비
| 반품사유 | 반품 배송비 부담자 |
|---|---|
| 단순변심 | 고객 부담이며, 최초 배송비를 포함해 왕복 배송비가 발생합니다. 또한, 도서/산간지역이거나 설치 상품을 반품하는 경우에는 배송비가 추가될 수 있습니다. |
| 고객 부담이 아닙니다. |
03. 배송상태에 따른 환불안내
| 진행 상태 | 결제완료 | 상품준비중 | 배송지시/배송중/배송완료 |
|---|---|---|---|
| 어떤 상태 | 주문 내역 확인 전 | 상품 발송 준비 중 | 상품이 택배사로 이미 발송 됨 |
| 환불 | 즉시환불 | 구매취소 의사전달 → 발송중지 → 환불 | 반품회수 → 반품상품 확인 → 환불 |
04. 취소방법
- 결제완료 또는 배송상품은 1:1 문의에 취소신청해 주셔야 합니다.
- 특정 상품의 경우 취소 수수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05. 환불시점
| 결제수단 | 환불시점 | 환불방법 |
|---|---|---|
| 신용카드 | 취소완료 후, 3~5일 내 카드사 승인취소(영업일 기준) | 신용카드 승인취소 |
| 계좌이체 |
실시간 계좌이체 또는 무통장입금 취소완료 후, 입력하신 환불계좌로 1~2일 내 환불금액 입금(영업일 기준) |
계좌입금 |
| 휴대폰 결제 |
당일 구매내역 취소시 취소 완료 후, 6시간 이내 승인취소 전월 구매내역 취소시 취소 완료 후, 1~2일 내 환불계좌로 입금(영업일 기준) |
당일취소 : 휴대폰 결제 승인취소 익월취소 : 계좌입금 |
| 포인트 | 취소 완료 후, 당일 포인트 적립 | 환불 포인트 적립 |
06. 취소반품 불가 사유
- 단순변심으로 인한 반품 시, 배송 완료 후 7일이 지나면 취소/반품 신청이 접수되지 않습니다.
- 주문/제작 상품의 경우, 상품의 제작이 이미 진행된 경우에는 취소가 불가합니다.
- 구성품을 분실하였거나 취급 부주의로 인한 파손/고장/오염된 경우에는 취소/반품이 제한됩니다.
- 제조사의 사정 (신모델 출시 등) 및 부품 가격변동 등에 의해 가격이 변동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반품 및 가격보상은 불가합니다.
- 뷰티 상품 이용 시 트러블(알러지, 붉은 반점, 가려움, 따가움)이 발생하는 경우 진료 확인서 및 소견서 등을 증빙하면 환불이 가능하지만 이 경우, 제반 비용은 고객님께서 부담하셔야 합니다.
- 각 상품별로 아래와 같은 사유로 취소/반품이 제한 될 수 있습니다.
| 상품군 | 취소/반품 불가사유 |
|---|---|
| 의류/잡화/수입명품 | 상품의 택(TAG) 제거/라벨 및 상품 훼손으로 상품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된 경우 |
| 계절상품/식품/화장품 | 고객님의 사용, 시간경과, 일부 소비에 의하여 상품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
| 가전/설치상품 | 전자제품 특성 상, 정품 스티커가 제거되었거나 설치 또는 사용 이후에 단순변심인 경우, 액정화면이 부착된 상품의 전원을 켠 경우 (상품불량으로 인한 교환/반품은 AS센터의 불량 판정을 받아야 합니다.) |
| 자동차용품 | 상품을 개봉하여 장착한 이후 단순변심의 경우 |
| CD/DVD/GAME/BOOK등 | 복제가 가능한 상품의 포장 등을 훼손한 경우 |
| 상품의 시리얼 넘버 유출로 내장된 소프트웨어의 가치가 감소한 경우 | |
| 노트북, 테스크탑 PC 등 | 홀로그램 등을 분리, 분실, 훼손하여 상품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하여 재판매가 불가할 경우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