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소개
▣ 출판사서평
“극단적 잔혹성의 신화, 동양의 야만인가 서구의 상상인가?”
- 중국의 고문과 처형의 역사, 이미지, 그리고 그 법률적 맥락을 추적한 최초의 책!
1904년 베이징의 한 광장에서 수많은 구경꾼 무리에 둘러싸여 한 대가족을 살해한 살인자 왕 웨이친이 처형되었다. 그는 능지라 불린 극형으로 처형된 마지막 사형수들 중 한 사람이었다. 서구인들이 ‘천 번을 절개해서 죽임(death by a thousand cuts)’ 혹은 ‘살을 저며서 죽임(death by slicing)''이라고 부른 이 형벌은 전근대 중국에서 최악의 범죄를 처벌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독특한 비교사 연구 방법을 채택한 이 책은 10세기부터 능지형이 폐지된 1905년에 이르기까지 중국의 고문과 처형의 역사, 이미지, 그리고 그 법률적 맥락을 추적한 최초의 책이다. 그러고 나서 저자들은 서구적 상상에 나타난 ‘동양적(oriental) 고문’으로 관심을 돌려 심도 있는 연구를 했다. 근대 초기의 유럽인들은 자주 중국의 제도를 이성적인 것으로 묘사한 반면, 19세기와 20세기의 독자들은 은밀한 호기심에서 능지형 사진을 보고 즐겼으며, 또한 그것을 도덕적 타락의 증거로 여겼다. 전제 정부와 연관된 유럽의 관행, 기독교적인 순교의 원리, 그리고 황홀경적 고통의 측면에서 다양한 저작들을 살펴봄으로써, 저자들은 중국적 잔혹성의 전형을 폭로하고, 서구가 ‘다른 세계’의 문명들과 접촉할 때마다 보여준 매혹과 혐오가 뒤섞인 특유의 경향을 철저하게 파헤친다.
강렬하면서도 더욱 깊이 생각하도록 자극하는 이 책은 국가가 국민 개개인을 고문하는 것을 정당화하는 논리와 인간이 정치적 목적으로 훼손된 육체의 상징을 악용하는 다양한 방식에 의문을 제기한다.
- ‘능지처참’ 유린당한 신체, 야만성의 동양적 아이콘
"능지형이 본래 ‘문화적으로’ 중국적이라는 관념을 받아들이기보다는, 중국의 오랜 법률 전통 내에서 행해진 형법상의 고문을 중국 내부와 외부 양면에서 바라보는 것"
이 책은 천 년의 역사를 가진, 동아시아에서 가장 악명 높은 처형, 즉 반역죄나 부친살해죄 같은 중죄를 처벌하는 능지(凌遲)라 불리는 절단형을 탐구한다. 우리에게도 능지처참이라는 용어는 극형의 동의어로 낯설지 않다. 사육신, 홍경래 난의 주모자들이 육체가 조각나 저자거리에 따로 묻히거나 사체를 전국 각지에 보내지기도 했다. 그것은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국가권력이 범법자의 육체를 매질하거나 절단하는 것이 정당화되던 시대에 출현한 극단적인 형벌이었다. 중국의 법학자들은 능지형이 중국에서 기원한 것이 아닌 오랑캐의 형벌이라 한다. 이민족인 거란족의 형벌에서 도입되었다 하더라도 능지형은 정통왕조인 명대의 주원장과 이후 황제들에 의해 더욱 빈번하게 사용되었다. 초기에는 국가적 위기 상황에서 반역자처럼 심각한 죄인을 상징적으로 처벌하는 형벌이었는데 청대에 와서는 가정범죄(부모살해)에도 적용하는 등 일상화되었다.
왕 웨이친의 처형은 이 책에서 전개될 논의의 가장 적절한 출발점이다. 선정적으로 시작하였지만 이는 그 선정성을 부인하기 위해서이다. 왕 웨이친의 잔혹한 처형 장면은 단순히 능지처참의 화려한 재현을 위해 필요한 장치가 아니다. 왕 웨이친의 처형은 20세기 초 능지형이 폐지되기 직전 거의 마지막으로 집행되었을 뿐만 아니라, 절묘하게도 그 끔찍한 장면이 서구인들에 의해 사진으로 촬영되었다. 그러고 나서 능지형은 곧 폐지되었고 중국인의 기억 속에서 희미해졌지만, 사진으로 남은 능지형의 이미지는 결코 사라지지 않았다. 사라지기는커녕 중국사적 맥락을 이탈하여 국경을 넘어 서구 사회를 떠돌면서, ‘중국적 잔혹성’ 혹은 ‘동양적 야만성’을 상징하는 기호로 다시 재생산되었다. ‘천 번을 절개해서 죽이는 형벌(death by a thousand cuts)’이라는 (부정확한) 어구의 이 형벌은 서구에서 ‘아시아의 잔혹성(Asiatic cruelty)’을 상징하는 아이콘이 된 것이다. 왕 웨이친의 처형은 역사의 끝이 아니라 또 다른 시작이었으며, 막다른 골목이 아니라 과거와 현재, 동양과 서양이 만나는 교차점이었다.
따라서 이 책은 능지처참의 형벌이 정말 동양인의 잔인성과 야만성을 입증하는 증거가 될 수 있는지, 많은 사람들이 믿는 것처럼 그것이 정말 처형 전에 희생자를 고문하고 가능한 한 오래도록 희생자의 고통을 지속하기 위해 고안된 형벌이었는지, 그 해답을 찾아 나선다. 저자들의 임무는 전근대 중국의 법률이 한때 허용했던 것과 국제적 기억이 보존해 왔던 것 사이의 이상한 관계를 양쪽 모두 고려하면서 능지형의 역사를 재구성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 능지형이 본래 ‘문화적으로’ 중국적이라는 관념을 받아들이기보다는, 중국의 오랜 법률 전통 내에서 행해진 형법상의 고문을 중국 내부와 외부 양면에서 바라보는 것�다. 특히 국제적 기억의 측면에서 볼 때, 능지형의 이미지가 19세기에서 20세기로 넘어오는 전환기에 서양의 기호체계 속에서 어째서 그토록 폭발적인 반응을 일으켰을까, 그것이 어째서 현재까지도 서양의 상상 속에 출몰해 왔으며 지금은 중국적 상상 속에도 앙시앵레짐의 기억으로서 남아 있는 것일까 하는 질문에 대한 도전이었다.
저자들은 20세기 유럽에서 생산된 이미지로부터 중국의 법률제도와 연관된 몇 세기에 걸친 중국과 서구의 수많은 자료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증거-법률, 정치, 역사, 문학, 사진 등-를 참조하면서 대중적 관심 사항에서 시작하여 학문적으로 심화시켜 간다. 이 책의 전반부는 중국 형벌의 역사를 다루고, 후반부는 주로 중국의 처형에 대한 서구의 집착을 다룬다. 세부적으로 보면 2장에서는 중국의 형벌의 역사를 개관하고 3,4장에서는 요대(遼代)와 송대(宋代)로 거슬러 올라가 능지형의 불분명한 기원을 추적하고, 명청대(明淸代)에 와서 능지형이 꽤 빈번해졌던 배경과 내용을 살펴본 다음 20세기초 능지형이 폐지되는 과정까지를 밝혀본다. 5장에서는 중국의 종교적 상상에 나타난 육형과 육형의 민중적 수용을 고찰한다. 책의 마지막 세 장은 중국의 육형에 대한 서구적 해석의 역사를 살펴본다. 서구에서 상상할 수 있는 최악의 악몽 이상의 실체를 가지려면 이 책의 전반부와 후반부가 모두 필요하다. 이 책은 서구의 상상으로부터 중국의 제도로 거슬러 올라가, 단지 중국뿐만 아니라 중국 이외의 다른 지역의 형벌의 역사를 포괄하는 형벌의 세계사라는 더 큰 맥락에 놓고 보기를 권한다. 이는 문명의 스펙트럼 양 극단에서 현상을 고립적으로 이해하는 게 아니라, 그 사이의 많은 지점들에서 현상을 볼 수 있게 한다.
-고통 받는 육체의 포르노그래피, 이미지의 정치학
“오독의 역사, 서구적 관점에서 볼 때 그것은 에드워드 사이드(Edward W. Said)가 말한 오리엔탈리즘의 역사이기도 하다.”
이 책의 첫머리를 장식하는 왕 웨이친의 처형 장면은 미셸 푸코(Michel Foucault)가 《감시와 처벌》에서 묘사한 프랑수아 다미앵의 악명 높은 처형을 상기시킨다. 푸코가 이 책의 서장에서 생생하게 재현해낸 프랑수아 다미앵의 가학적 처형 장면을 잊지 못하겠지만 만약 그 처형 장면을 카메라를 가지고 누군가 기록하였다면 유럽의 역사가 어떻게 다시 쓰였을까? 이 책이 오래전에 폐지된 동아시아의 한 형벌을 다루면서도 현재의 문제의식을 공유할 수 있는 이유는 바로 너무도 충격적인 형벌의 이미지에 있다. 처형 장면을 찍은 사진만큼 자극적이고 강렬한 것은 없지만, 사진 외에도 이 책에 실린 다양한 형벌의 이미지 대부분이 서구에서, 또는 서구인을 겨냥해 중국에서 생산된 것이다. 형벌의 이미지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동아시아 형벌의 역사는 자연스럽게 서양문화사의 일부가 된다.
19세기를 전후로 하여 중국을 비롯한 동아시아를 방문한 서구인들이 크게 늘었다. 이 이방인들에게는 토착문화의 금기나 성역이 전혀 작용하지 않았고, 그들의 관음증적인 탐욕스러운 눈길 아래 우리가 전통이라 부르던 것이 시대착오적인 야만으로, 가학적인 도착증으로 전락했다. 능지형의 역사는 유럽 식민주의가 낳은 문화적 페티시즘이다. 제국주의가 조장한 관음증적 충동의 산물인 이 페티시즘은 사진의 힘에 의해 강화되고 왜곡되었다. 능지형은 수많은 경멸적 이미지들-아편, 전족, 고두, 우상숭배 등 중국을 과거와 현재가 뒤바뀐 위험한 나라로 여기게 만드는 대상들-과 함께 중국을 대표하는 것으로 조작될 수 있다. 요점은 중국에 이러한 관행들이 존재한 사실을 부인하려는 것이 아니라, 서구의 환상을 중국의 현실로 다시 썼던 서구우월주의의 수사학을 제대로 인식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 지점에서 독자는 이 책이 평범한 능지처참의 역사가 아니라는 것을 분명히 깨달을 수 있을 것이다. 요컨대 이 책은 왕 웨이친의 처형으로부터 중국 형벌의 역사를 거쳐, 지옥의 형벌을 묘사한 《옥력》이라는 종교적 텍스트로 우회한 후, 유럽에 널리 퍼진 ‘중국적 잔혹성’의 신화가 만들어지는 과정, 그 혼란스러운 지식과 오류의 계보학을 재구성하는 작업을 거쳐, 종국에는 다시 능지형 처형으로 되돌아간다. 좀 더 정확히 말하자면 20세기 초 처형 장면을 찍은 문제의 사진이 조르주 바타유(Georges Bataille)라는 반항적 지식인의 눈에 띄었고, 그는 그 사진을 다른 이미지들과 함께 에로티즘을 다룬 저서 《에로스의 눈물》(1961)에 실었다. 이 책의 말미에서 다루는 능지처참은 바로 이 《에로스의 눈물》에 실린 이미지다.
서두의 능지처참은 중국의 역사적 맥락 속에서 재현되고 있지만, 결말의 능지처참은 중국의 역사적 맥락과 완전히 분리되어 서구 대중문화와 지성사의 일부로서 읽히고 있다. 이 책의 저자들이 의도한 것은 능지처참의 역사를 다시 쓰는 것이 아니었다. 오히려 그들은 단선적 역사의 환상을 ?체하려고 노력했으며, 그런 작업을 통해서 과거와 현재, 동양과 서양을 가로지르는 오독(誤讀)의 역사를 추적하여 그 순환의 고리를 끊고자 했다. 오독의 역사, 서구적 관점에서 볼 때 그것은 에드워드 사이드(Edward W. Said)가 말한 오리엔탈리즘의 역사이기도 하다.
-오늘날 사형제 폐지의 맥락은 케케묵은 동아시아 형벌의 역사와 맞닿아 있다
그러나 안타까운 것은 동양적 혹형의 묘사를 통해 동양의 야만성과 잔혹성을 주장하는 서구 기록을 강력하게 반박할 만한 우리-중국뿐만 아니라 한국에도-의 기록이 거의 없다는 것이다. 동아시아에서 형벌, 특히 범법자의 육체를 가혹하게 처벌하고 훼손하는 육형-곤장 매질로부터 능지처참에 이르는-이 보편적이었던 사실을 상기할 때, 그리고 우리에게 아직도 그 아득한 형벌의 기억이 남아 있다는 사실을 시인할 때, 이같은 침묵은 뜻밖일 뿐만 아니라 충격적이다.
동아시아 문화에서 형벌에 관한 거리낌 없는 세부묘사를 그림과 텍스트로 동시에 볼 수 있는 것으로는 지옥의 형벌이 거의 유일하다. 그것은 종교적 상상의 영역에 속하지만, 저자들의 지적대로 사법적 현실과 종교적 상상의 경계를 넘나듦으로써 우리에게 형벌제도의 문화적 영향력을 짐작하게 한다. 그러나 이것은 어디까지나 종교적 영역일 뿐, ‘지옥’에 비유되는 음울한 사법적 현실-고문과 형벌, 감옥-에 대한 직접적 기록은 아니다. 이런 침묵은 조심스러운 문화적 금기에 가까운 것이지 고의적인 제도적 은폐는 아닌 것처럼 보인다.
동아시아 형벌과 사법제도에 관한 서구적 관점은 그 오점투성이의 선정주의적 접근에도 불구하고 우리의 오랜 침묵을 깨는 계기가 되었다. 우리가 그것을 비판적으로 수용할 수만 있다면, 우리는 우리의 사법 전통과 현실을 돌아보는 중요한 기회로 삼을 수 있을 것이다. 이 책은 그런 우리의 기대에 부응할 만한 보기 드문 특별한 역사책이라고 할 수 있다. 공식적 법전으로부터 가장 선정적인 이미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자료를 통해 ‘능지처참’이라는 공포의 형벌을 다루면서도 이 책이 어느 쪽에도 치우치지 않는 비판적 태도를 끝까지 견지할 수 있었던 것은 아마도 끊임없이 되풀이되는 오류와 편견, 무지의 악순환의 고리를 끊겠다는 저자들의 엄격한 태도와 신념 덕분이 아닐까. 그런 점에서 이 책은 미셸 푸코의 정신을 계승한다. 먼지 쌓인 문서보관소를 뒤져 찾아낸 과거의 기록이 어떻게 현실과 소통하는지, 어떻게 은폐된 진실을 폭로하는지를 보여주려 했다는 점에서 이 책은 푸코의 실천적인 인문학적 지성과 맞닿아 있다. 점차 인문학적 지성의 무게가 가벼워지는 현실에도 우리는 그가 갔던 길을 가야 하지 않을까?
아울러 이 책의 저자들은 우리에게 중국의 사법 전통에 영향 받은 동아시아 사법 전통을 상기시킨다. 전에는 보편적이던 사형이 이제는 ‘동아시아의 형벌’로 불릴 만큼 전 세계 사형의 4분의 3 이상이 동아시아에서 집행되고 있다는 것이다. 물론 중국이 이 충격적인 통계수치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기는 하다. 한국사회에서 최근 사형에 관한 논의-최근 사형제 합헌 결정과 여중생 살해사건 등-가 되는 시점, 우리의 잠재의식 속에 남아 있는 오랜 형벌의 기억을 끄집어내 그 기억의 실체와 맞서야 할 필요성이 바로 여기에 있다. 중국 법률에 기원을 둔 ‘동아시아의 사법 전통’-그것이 우리가 극복하고 전화시켜야 할 대상이라면 올바른 역사적 인식이 우선되어야 할 것이다. 이처럼 오늘날 사형제 폐지의 맥락은 케케묵은 동아시아 형벌의 역사와 맞닿아 있는 것이다.
▣ 작가 소개
저 : 티모시 브룩
Timothy Brook
현존하는 중국학 전공자 중 단연 독보적인 연구 성과를 자랑하는 그는 1951년 캐나다에서 태어났다. 1973년 캐나다 토론토 대학을 졸업하고, 1974~1976에 교환학생으로 중국 상하이의 푸단대학에 유학했다. 이후 하버드 대학 동아시아연구소에서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앨버타 대학 연구교수, 스탠퍼드 대학 교수, 토론토 대학 교수를 거쳤다. 영국 옥스퍼드대학교 쇼 중국학 교수(Shaw Professor of Chinese)이자 『근대 중국의 친일합작(Collaboration: Japanese Agents and Local Elites in Wartime China)』, 『쾌학의 혼돈(The Confusions of Pleasure: Commerce and Culture in Ming China』의 저자이다. 2000년 하버드의 레벤슨 상 수상. 하버드대 출판부의 “HISTORY OF IMPERIAL CHINA" General Editor로 활동하고 있다.
저 : 그레고리 블루
Gregory Blue
캐나다 빅토리아대학교 역사학 부교수(Associate Professor of History)이다. 1990년부터 역사학과에서 세계 역사에 대해 강의 중이다. 현재 그는 서구사회에서 재현된 중국에 대해 관심을 갖고 연구를 계속하고 있다.
저 : 제롬 부르곤
Jerome Bourgon
프랑스 리용대학교 아시아·오리엔트 연구소(the Institut d''Asie Orientale of the Centre National de la Recherche Scientifique) 연구원이다.
역 : 박소현
1969년 서울 출생. 서울대학교 동양사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 중어중문학과에서 석사학위를 받았다. 2004년 미시건대학교(The University of Michigan)에서 명청시기 중국과 조선의 범죄소설과 법률문화에 대한 비교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 인문한국(HK)연구교수로 있으면서 다양한 관점에서 동아시아 법률문화의 역사를 연구하고 있다. 저서로 『중국 근대의 풍경』(공저)가 있고 논문으로 「권력, 이미지, 텍스트 - 명청대 공안 삽화를 중심으로」, 「그들이 범죄소설을 읽은 까닭은? - 공안소설과 명청시기 중국의 법률문화」 등을 썼다.
▣ 주요 목차
한국어판 서문 / 중국 능지형의 연구가 한국 형벌의 역사연구로 이어지길 바라며
옮긴이 서문 / 사형제 폐지와 동아시아 형벌의 역사
제1장 왕 웨이친의 처형
전환점
사형의 한 형태로서 능지형
대중적 상상 속의 능지형
비교적 관점에서 바라본 능지형
동양적 고문과 서구의 상상
타이밍의 속임수
사진과 수사학
그림 1 왕 웨이친 처형 절차의 첫 번째 국면
그림 2 윌리엄 호가스, 잔혹성의 보상(1751)
그림 3 교형, 교수형을 보여주는 중국의 담채화를 개작한 유럽 초기 작품
그림 4 중국의 영토 분할을 재현한 우편엽서(1900년 추정)
제2장 명청시기 중국의 형법
육형
사법적 고문
사형
가학적 처형
극형의 집행
그림 5 긴 곤장을 가지고 매질을 집행하는 법정의 포졸
그림 6 무거운 칼을 쓴 죄수
그림 7 심문 중인 죄수에게 수갑, 장판, 협곤을 보여주는 장면
그림 8 왕기의 『삼재도회』에 선정된 명대 고문기구 삽화
그림 9 참형을 집행하려고 하는 두 명의 회자수
그림 10 명대 후기 소설에 묘사된 능지형의 처형 장면
제3장 능지형의 기원과 그 정당성의 문제
의미론적 수수께끼로서의 능지
능지형의 정당성에 대한 의심
조례에서 법령으로
혹형에 대한 윤리적 도전
성과
그림 11 중국: 천번의 절개에 의한 죽음
제4장 명대의 능지형
물을 위로 거슬러 올리기
『어제대고』
언제나 부족한 형벌
『대고』 1편과 속편에서 황제의 능지형 사용
『대고』 3편에서 황제의 능지형 사용
홍무제의 판결에서 능지형의 중요성
홍무제가 남긴 유산
제5장 죽은 자를 고문하기
상상계의 유사성
『옥력』
지옥을 재현하기
지옥의 형벌
절단의 가시성
공포정치
죽은 자의 유토피아
그림 12 초강왕의 법정
그림 13 송제왕의 법정
그림 14 염라천자의 법정
제6장 서구적 관념 속의 중국적 고문
중국적 사법체계에 대한 초기 관찰
중국의 정치에 대한 계몽주의 논쟁과 육형의 문제
‘동양적 전제주의’와 혹형에 대한 상상
중국, 고문, 그리고 19세기 제국주의
‘고통받는 인간성에 대한 번민’과 회화 전통의 발전
사실적 기준 수립: 『대청율례』의 번역
중국의 재판과 중국과 영국의 충돌
진보주의 시대의 중국적 형벌
영국과 프랑스가 승리한 이후 중국 사법제도 묘사
‘동양’의 고문, 필수불가결한 잔혹성?
세기말적 관점
뒤섞인 유산
그림 15 고관을 매질하는 장면을 그린 그림
그림 16 벌거벗은 채 쇠꼬챙이에 묶여 고문받는 여성 그림
그림 17 윌리엄 알렉산더 「차의 형벌Punishment of the Tcha」
그림 18 손가락 고문
그림 19 교수형과 창자 꺼내기
그림 20 판자에 다리 못 박기, 몸 두 동강 내기[腰斬], 절단형
그림 21 고문
그림 22 남경에서 효수된 죄수의 머리
제7장 능지형에 대한 잘못된 해석
조직적 처형
일상적 처형
공포의 처형
모범적 처형
그림 23 중국의 처형(Supplice Chinois)
그림 24 1904년 베이징, 왕 웨이친 능지형 처형장의 회자수와 구경꾼들
그림 25 ‘능지’라는 단어가 새겨진 목판화
그림 26 능지형이 합법적 형벌임을 보여주는 능지형 목판화
제8장 조르주 바타유의 해석
‘그러나 그것은 다른 사람이다’
누가 『에로스의 눈물』을 썼는가?
사드인가, 로욜라인가?
고통의 가면 뒤: 누구 있어요?
그림 27 1905년 4월 10일 집행된 푸주리의 능지형
그림 28 ‘가짜 푸주리’의 능지형
그림 29 면도하지 않은 머리의 특징을 보여주는 죄수
그림 30 능지형 희생자의 머리 부분 삽화
그림 31 성 세바스찬의 머리 부분 세부
제9장 맺음말에 대신하여
참고문헌
찾아보기
“극단적 잔혹성의 신화, 동양의 야만인가 서구의 상상인가?”
- 중국의 고문과 처형의 역사, 이미지, 그리고 그 법률적 맥락을 추적한 최초의 책!
1904년 베이징의 한 광장에서 수많은 구경꾼 무리에 둘러싸여 한 대가족을 살해한 살인자 왕 웨이친이 처형되었다. 그는 능지라 불린 극형으로 처형된 마지막 사형수들 중 한 사람이었다. 서구인들이 ‘천 번을 절개해서 죽임(death by a thousand cuts)’ 혹은 ‘살을 저며서 죽임(death by slicing)''이라고 부른 이 형벌은 전근대 중국에서 최악의 범죄를 처벌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독특한 비교사 연구 방법을 채택한 이 책은 10세기부터 능지형이 폐지된 1905년에 이르기까지 중국의 고문과 처형의 역사, 이미지, 그리고 그 법률적 맥락을 추적한 최초의 책이다. 그러고 나서 저자들은 서구적 상상에 나타난 ‘동양적(oriental) 고문’으로 관심을 돌려 심도 있는 연구를 했다. 근대 초기의 유럽인들은 자주 중국의 제도를 이성적인 것으로 묘사한 반면, 19세기와 20세기의 독자들은 은밀한 호기심에서 능지형 사진을 보고 즐겼으며, 또한 그것을 도덕적 타락의 증거로 여겼다. 전제 정부와 연관된 유럽의 관행, 기독교적인 순교의 원리, 그리고 황홀경적 고통의 측면에서 다양한 저작들을 살펴봄으로써, 저자들은 중국적 잔혹성의 전형을 폭로하고, 서구가 ‘다른 세계’의 문명들과 접촉할 때마다 보여준 매혹과 혐오가 뒤섞인 특유의 경향을 철저하게 파헤친다.
강렬하면서도 더욱 깊이 생각하도록 자극하는 이 책은 국가가 국민 개개인을 고문하는 것을 정당화하는 논리와 인간이 정치적 목적으로 훼손된 육체의 상징을 악용하는 다양한 방식에 의문을 제기한다.
- ‘능지처참’ 유린당한 신체, 야만성의 동양적 아이콘
"능지형이 본래 ‘문화적으로’ 중국적이라는 관념을 받아들이기보다는, 중국의 오랜 법률 전통 내에서 행해진 형법상의 고문을 중국 내부와 외부 양면에서 바라보는 것"
이 책은 천 년의 역사를 가진, 동아시아에서 가장 악명 높은 처형, 즉 반역죄나 부친살해죄 같은 중죄를 처벌하는 능지(凌遲)라 불리는 절단형을 탐구한다. 우리에게도 능지처참이라는 용어는 극형의 동의어로 낯설지 않다. 사육신, 홍경래 난의 주모자들이 육체가 조각나 저자거리에 따로 묻히거나 사체를 전국 각지에 보내지기도 했다. 그것은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국가권력이 범법자의 육체를 매질하거나 절단하는 것이 정당화되던 시대에 출현한 극단적인 형벌이었다. 중국의 법학자들은 능지형이 중국에서 기원한 것이 아닌 오랑캐의 형벌이라 한다. 이민족인 거란족의 형벌에서 도입되었다 하더라도 능지형은 정통왕조인 명대의 주원장과 이후 황제들에 의해 더욱 빈번하게 사용되었다. 초기에는 국가적 위기 상황에서 반역자처럼 심각한 죄인을 상징적으로 처벌하는 형벌이었는데 청대에 와서는 가정범죄(부모살해)에도 적용하는 등 일상화되었다.
왕 웨이친의 처형은 이 책에서 전개될 논의의 가장 적절한 출발점이다. 선정적으로 시작하였지만 이는 그 선정성을 부인하기 위해서이다. 왕 웨이친의 잔혹한 처형 장면은 단순히 능지처참의 화려한 재현을 위해 필요한 장치가 아니다. 왕 웨이친의 처형은 20세기 초 능지형이 폐지되기 직전 거의 마지막으로 집행되었을 뿐만 아니라, 절묘하게도 그 끔찍한 장면이 서구인들에 의해 사진으로 촬영되었다. 그러고 나서 능지형은 곧 폐지되었고 중국인의 기억 속에서 희미해졌지만, 사진으로 남은 능지형의 이미지는 결코 사라지지 않았다. 사라지기는커녕 중국사적 맥락을 이탈하여 국경을 넘어 서구 사회를 떠돌면서, ‘중국적 잔혹성’ 혹은 ‘동양적 야만성’을 상징하는 기호로 다시 재생산되었다. ‘천 번을 절개해서 죽이는 형벌(death by a thousand cuts)’이라는 (부정확한) 어구의 이 형벌은 서구에서 ‘아시아의 잔혹성(Asiatic cruelty)’을 상징하는 아이콘이 된 것이다. 왕 웨이친의 처형은 역사의 끝이 아니라 또 다른 시작이었으며, 막다른 골목이 아니라 과거와 현재, 동양과 서양이 만나는 교차점이었다.
따라서 이 책은 능지처참의 형벌이 정말 동양인의 잔인성과 야만성을 입증하는 증거가 될 수 있는지, 많은 사람들이 믿는 것처럼 그것이 정말 처형 전에 희생자를 고문하고 가능한 한 오래도록 희생자의 고통을 지속하기 위해 고안된 형벌이었는지, 그 해답을 찾아 나선다. 저자들의 임무는 전근대 중국의 법률이 한때 허용했던 것과 국제적 기억이 보존해 왔던 것 사이의 이상한 관계를 양쪽 모두 고려하면서 능지형의 역사를 재구성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 능지형이 본래 ‘문화적으로’ 중국적이라는 관념을 받아들이기보다는, 중국의 오랜 법률 전통 내에서 행해진 형법상의 고문을 중국 내부와 외부 양면에서 바라보는 것�다. 특히 국제적 기억의 측면에서 볼 때, 능지형의 이미지가 19세기에서 20세기로 넘어오는 전환기에 서양의 기호체계 속에서 어째서 그토록 폭발적인 반응을 일으켰을까, 그것이 어째서 현재까지도 서양의 상상 속에 출몰해 왔으며 지금은 중국적 상상 속에도 앙시앵레짐의 기억으로서 남아 있는 것일까 하는 질문에 대한 도전이었다.
저자들은 20세기 유럽에서 생산된 이미지로부터 중국의 법률제도와 연관된 몇 세기에 걸친 중국과 서구의 수많은 자료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증거-법률, 정치, 역사, 문학, 사진 등-를 참조하면서 대중적 관심 사항에서 시작하여 학문적으로 심화시켜 간다. 이 책의 전반부는 중국 형벌의 역사를 다루고, 후반부는 주로 중국의 처형에 대한 서구의 집착을 다룬다. 세부적으로 보면 2장에서는 중국의 형벌의 역사를 개관하고 3,4장에서는 요대(遼代)와 송대(宋代)로 거슬러 올라가 능지형의 불분명한 기원을 추적하고, 명청대(明淸代)에 와서 능지형이 꽤 빈번해졌던 배경과 내용을 살펴본 다음 20세기초 능지형이 폐지되는 과정까지를 밝혀본다. 5장에서는 중국의 종교적 상상에 나타난 육형과 육형의 민중적 수용을 고찰한다. 책의 마지막 세 장은 중국의 육형에 대한 서구적 해석의 역사를 살펴본다. 서구에서 상상할 수 있는 최악의 악몽 이상의 실체를 가지려면 이 책의 전반부와 후반부가 모두 필요하다. 이 책은 서구의 상상으로부터 중국의 제도로 거슬러 올라가, 단지 중국뿐만 아니라 중국 이외의 다른 지역의 형벌의 역사를 포괄하는 형벌의 세계사라는 더 큰 맥락에 놓고 보기를 권한다. 이는 문명의 스펙트럼 양 극단에서 현상을 고립적으로 이해하는 게 아니라, 그 사이의 많은 지점들에서 현상을 볼 수 있게 한다.
-고통 받는 육체의 포르노그래피, 이미지의 정치학
“오독의 역사, 서구적 관점에서 볼 때 그것은 에드워드 사이드(Edward W. Said)가 말한 오리엔탈리즘의 역사이기도 하다.”
이 책의 첫머리를 장식하는 왕 웨이친의 처형 장면은 미셸 푸코(Michel Foucault)가 《감시와 처벌》에서 묘사한 프랑수아 다미앵의 악명 높은 처형을 상기시킨다. 푸코가 이 책의 서장에서 생생하게 재현해낸 프랑수아 다미앵의 가학적 처형 장면을 잊지 못하겠지만 만약 그 처형 장면을 카메라를 가지고 누군가 기록하였다면 유럽의 역사가 어떻게 다시 쓰였을까? 이 책이 오래전에 폐지된 동아시아의 한 형벌을 다루면서도 현재의 문제의식을 공유할 수 있는 이유는 바로 너무도 충격적인 형벌의 이미지에 있다. 처형 장면을 찍은 사진만큼 자극적이고 강렬한 것은 없지만, 사진 외에도 이 책에 실린 다양한 형벌의 이미지 대부분이 서구에서, 또는 서구인을 겨냥해 중국에서 생산된 것이다. 형벌의 이미지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동아시아 형벌의 역사는 자연스럽게 서양문화사의 일부가 된다.
19세기를 전후로 하여 중국을 비롯한 동아시아를 방문한 서구인들이 크게 늘었다. 이 이방인들에게는 토착문화의 금기나 성역이 전혀 작용하지 않았고, 그들의 관음증적인 탐욕스러운 눈길 아래 우리가 전통이라 부르던 것이 시대착오적인 야만으로, 가학적인 도착증으로 전락했다. 능지형의 역사는 유럽 식민주의가 낳은 문화적 페티시즘이다. 제국주의가 조장한 관음증적 충동의 산물인 이 페티시즘은 사진의 힘에 의해 강화되고 왜곡되었다. 능지형은 수많은 경멸적 이미지들-아편, 전족, 고두, 우상숭배 등 중국을 과거와 현재가 뒤바뀐 위험한 나라로 여기게 만드는 대상들-과 함께 중국을 대표하는 것으로 조작될 수 있다. 요점은 중국에 이러한 관행들이 존재한 사실을 부인하려는 것이 아니라, 서구의 환상을 중국의 현실로 다시 썼던 서구우월주의의 수사학을 제대로 인식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 지점에서 독자는 이 책이 평범한 능지처참의 역사가 아니라는 것을 분명히 깨달을 수 있을 것이다. 요컨대 이 책은 왕 웨이친의 처형으로부터 중국 형벌의 역사를 거쳐, 지옥의 형벌을 묘사한 《옥력》이라는 종교적 텍스트로 우회한 후, 유럽에 널리 퍼진 ‘중국적 잔혹성’의 신화가 만들어지는 과정, 그 혼란스러운 지식과 오류의 계보학을 재구성하는 작업을 거쳐, 종국에는 다시 능지형 처형으로 되돌아간다. 좀 더 정확히 말하자면 20세기 초 처형 장면을 찍은 문제의 사진이 조르주 바타유(Georges Bataille)라는 반항적 지식인의 눈에 띄었고, 그는 그 사진을 다른 이미지들과 함께 에로티즘을 다룬 저서 《에로스의 눈물》(1961)에 실었다. 이 책의 말미에서 다루는 능지처참은 바로 이 《에로스의 눈물》에 실린 이미지다.
서두의 능지처참은 중국의 역사적 맥락 속에서 재현되고 있지만, 결말의 능지처참은 중국의 역사적 맥락과 완전히 분리되어 서구 대중문화와 지성사의 일부로서 읽히고 있다. 이 책의 저자들이 의도한 것은 능지처참의 역사를 다시 쓰는 것이 아니었다. 오히려 그들은 단선적 역사의 환상을 ?체하려고 노력했으며, 그런 작업을 통해서 과거와 현재, 동양과 서양을 가로지르는 오독(誤讀)의 역사를 추적하여 그 순환의 고리를 끊고자 했다. 오독의 역사, 서구적 관점에서 볼 때 그것은 에드워드 사이드(Edward W. Said)가 말한 오리엔탈리즘의 역사이기도 하다.
-오늘날 사형제 폐지의 맥락은 케케묵은 동아시아 형벌의 역사와 맞닿아 있다
그러나 안타까운 것은 동양적 혹형의 묘사를 통해 동양의 야만성과 잔혹성을 주장하는 서구 기록을 강력하게 반박할 만한 우리-중국뿐만 아니라 한국에도-의 기록이 거의 없다는 것이다. 동아시아에서 형벌, 특히 범법자의 육체를 가혹하게 처벌하고 훼손하는 육형-곤장 매질로부터 능지처참에 이르는-이 보편적이었던 사실을 상기할 때, 그리고 우리에게 아직도 그 아득한 형벌의 기억이 남아 있다는 사실을 시인할 때, 이같은 침묵은 뜻밖일 뿐만 아니라 충격적이다.
동아시아 문화에서 형벌에 관한 거리낌 없는 세부묘사를 그림과 텍스트로 동시에 볼 수 있는 것으로는 지옥의 형벌이 거의 유일하다. 그것은 종교적 상상의 영역에 속하지만, 저자들의 지적대로 사법적 현실과 종교적 상상의 경계를 넘나듦으로써 우리에게 형벌제도의 문화적 영향력을 짐작하게 한다. 그러나 이것은 어디까지나 종교적 영역일 뿐, ‘지옥’에 비유되는 음울한 사법적 현실-고문과 형벌, 감옥-에 대한 직접적 기록은 아니다. 이런 침묵은 조심스러운 문화적 금기에 가까운 것이지 고의적인 제도적 은폐는 아닌 것처럼 보인다.
동아시아 형벌과 사법제도에 관한 서구적 관점은 그 오점투성이의 선정주의적 접근에도 불구하고 우리의 오랜 침묵을 깨는 계기가 되었다. 우리가 그것을 비판적으로 수용할 수만 있다면, 우리는 우리의 사법 전통과 현실을 돌아보는 중요한 기회로 삼을 수 있을 것이다. 이 책은 그런 우리의 기대에 부응할 만한 보기 드문 특별한 역사책이라고 할 수 있다. 공식적 법전으로부터 가장 선정적인 이미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자료를 통해 ‘능지처참’이라는 공포의 형벌을 다루면서도 이 책이 어느 쪽에도 치우치지 않는 비판적 태도를 끝까지 견지할 수 있었던 것은 아마도 끊임없이 되풀이되는 오류와 편견, 무지의 악순환의 고리를 끊겠다는 저자들의 엄격한 태도와 신념 덕분이 아닐까. 그런 점에서 이 책은 미셸 푸코의 정신을 계승한다. 먼지 쌓인 문서보관소를 뒤져 찾아낸 과거의 기록이 어떻게 현실과 소통하는지, 어떻게 은폐된 진실을 폭로하는지를 보여주려 했다는 점에서 이 책은 푸코의 실천적인 인문학적 지성과 맞닿아 있다. 점차 인문학적 지성의 무게가 가벼워지는 현실에도 우리는 그가 갔던 길을 가야 하지 않을까?
아울러 이 책의 저자들은 우리에게 중국의 사법 전통에 영향 받은 동아시아 사법 전통을 상기시킨다. 전에는 보편적이던 사형이 이제는 ‘동아시아의 형벌’로 불릴 만큼 전 세계 사형의 4분의 3 이상이 동아시아에서 집행되고 있다는 것이다. 물론 중국이 이 충격적인 통계수치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기는 하다. 한국사회에서 최근 사형에 관한 논의-최근 사형제 합헌 결정과 여중생 살해사건 등-가 되는 시점, 우리의 잠재의식 속에 남아 있는 오랜 형벌의 기억을 끄집어내 그 기억의 실체와 맞서야 할 필요성이 바로 여기에 있다. 중국 법률에 기원을 둔 ‘동아시아의 사법 전통’-그것이 우리가 극복하고 전화시켜야 할 대상이라면 올바른 역사적 인식이 우선되어야 할 것이다. 이처럼 오늘날 사형제 폐지의 맥락은 케케묵은 동아시아 형벌의 역사와 맞닿아 있는 것이다.
▣ 작가 소개
저 : 티모시 브룩
Timothy Brook
현존하는 중국학 전공자 중 단연 독보적인 연구 성과를 자랑하는 그는 1951년 캐나다에서 태어났다. 1973년 캐나다 토론토 대학을 졸업하고, 1974~1976에 교환학생으로 중국 상하이의 푸단대학에 유학했다. 이후 하버드 대학 동아시아연구소에서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앨버타 대학 연구교수, 스탠퍼드 대학 교수, 토론토 대학 교수를 거쳤다. 영국 옥스퍼드대학교 쇼 중국학 교수(Shaw Professor of Chinese)이자 『근대 중국의 친일합작(Collaboration: Japanese Agents and Local Elites in Wartime China)』, 『쾌학의 혼돈(The Confusions of Pleasure: Commerce and Culture in Ming China』의 저자이다. 2000년 하버드의 레벤슨 상 수상. 하버드대 출판부의 “HISTORY OF IMPERIAL CHINA" General Editor로 활동하고 있다.
저 : 그레고리 블루
Gregory Blue
캐나다 빅토리아대학교 역사학 부교수(Associate Professor of History)이다. 1990년부터 역사학과에서 세계 역사에 대해 강의 중이다. 현재 그는 서구사회에서 재현된 중국에 대해 관심을 갖고 연구를 계속하고 있다.
저 : 제롬 부르곤
Jerome Bourgon
프랑스 리용대학교 아시아·오리엔트 연구소(the Institut d''Asie Orientale of the Centre National de la Recherche Scientifique) 연구원이다.
역 : 박소현
1969년 서울 출생. 서울대학교 동양사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 중어중문학과에서 석사학위를 받았다. 2004년 미시건대학교(The University of Michigan)에서 명청시기 중국과 조선의 범죄소설과 법률문화에 대한 비교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 인문한국(HK)연구교수로 있으면서 다양한 관점에서 동아시아 법률문화의 역사를 연구하고 있다. 저서로 『중국 근대의 풍경』(공저)가 있고 논문으로 「권력, 이미지, 텍스트 - 명청대 공안 삽화를 중심으로」, 「그들이 범죄소설을 읽은 까닭은? - 공안소설과 명청시기 중국의 법률문화」 등을 썼다.
▣ 주요 목차
한국어판 서문 / 중국 능지형의 연구가 한국 형벌의 역사연구로 이어지길 바라며
옮긴이 서문 / 사형제 폐지와 동아시아 형벌의 역사
제1장 왕 웨이친의 처형
전환점
사형의 한 형태로서 능지형
대중적 상상 속의 능지형
비교적 관점에서 바라본 능지형
동양적 고문과 서구의 상상
타이밍의 속임수
사진과 수사학
그림 1 왕 웨이친 처형 절차의 첫 번째 국면
그림 2 윌리엄 호가스, 잔혹성의 보상(1751)
그림 3 교형, 교수형을 보여주는 중국의 담채화를 개작한 유럽 초기 작품
그림 4 중국의 영토 분할을 재현한 우편엽서(1900년 추정)
제2장 명청시기 중국의 형법
육형
사법적 고문
사형
가학적 처형
극형의 집행
그림 5 긴 곤장을 가지고 매질을 집행하는 법정의 포졸
그림 6 무거운 칼을 쓴 죄수
그림 7 심문 중인 죄수에게 수갑, 장판, 협곤을 보여주는 장면
그림 8 왕기의 『삼재도회』에 선정된 명대 고문기구 삽화
그림 9 참형을 집행하려고 하는 두 명의 회자수
그림 10 명대 후기 소설에 묘사된 능지형의 처형 장면
제3장 능지형의 기원과 그 정당성의 문제
의미론적 수수께끼로서의 능지
능지형의 정당성에 대한 의심
조례에서 법령으로
혹형에 대한 윤리적 도전
성과
그림 11 중국: 천번의 절개에 의한 죽음
제4장 명대의 능지형
물을 위로 거슬러 올리기
『어제대고』
언제나 부족한 형벌
『대고』 1편과 속편에서 황제의 능지형 사용
『대고』 3편에서 황제의 능지형 사용
홍무제의 판결에서 능지형의 중요성
홍무제가 남긴 유산
제5장 죽은 자를 고문하기
상상계의 유사성
『옥력』
지옥을 재현하기
지옥의 형벌
절단의 가시성
공포정치
죽은 자의 유토피아
그림 12 초강왕의 법정
그림 13 송제왕의 법정
그림 14 염라천자의 법정
제6장 서구적 관념 속의 중국적 고문
중국적 사법체계에 대한 초기 관찰
중국의 정치에 대한 계몽주의 논쟁과 육형의 문제
‘동양적 전제주의’와 혹형에 대한 상상
중국, 고문, 그리고 19세기 제국주의
‘고통받는 인간성에 대한 번민’과 회화 전통의 발전
사실적 기준 수립: 『대청율례』의 번역
중국의 재판과 중국과 영국의 충돌
진보주의 시대의 중국적 형벌
영국과 프랑스가 승리한 이후 중국 사법제도 묘사
‘동양’의 고문, 필수불가결한 잔혹성?
세기말적 관점
뒤섞인 유산
그림 15 고관을 매질하는 장면을 그린 그림
그림 16 벌거벗은 채 쇠꼬챙이에 묶여 고문받는 여성 그림
그림 17 윌리엄 알렉산더 「차의 형벌Punishment of the Tcha」
그림 18 손가락 고문
그림 19 교수형과 창자 꺼내기
그림 20 판자에 다리 못 박기, 몸 두 동강 내기[腰斬], 절단형
그림 21 고문
그림 22 남경에서 효수된 죄수의 머리
제7장 능지형에 대한 잘못된 해석
조직적 처형
일상적 처형
공포의 처형
모범적 처형
그림 23 중국의 처형(Supplice Chinois)
그림 24 1904년 베이징, 왕 웨이친 능지형 처형장의 회자수와 구경꾼들
그림 25 ‘능지’라는 단어가 새겨진 목판화
그림 26 능지형이 합법적 형벌임을 보여주는 능지형 목판화
제8장 조르주 바타유의 해석
‘그러나 그것은 다른 사람이다’
누가 『에로스의 눈물』을 썼는가?
사드인가, 로욜라인가?
고통의 가면 뒤: 누구 있어요?
그림 27 1905년 4월 10일 집행된 푸주리의 능지형
그림 28 ‘가짜 푸주리’의 능지형
그림 29 면도하지 않은 머리의 특징을 보여주는 죄수
그림 30 능지형 희생자의 머리 부분 삽화
그림 31 성 세바스찬의 머리 부분 세부
제9장 맺음말에 대신하여
참고문헌
찾아보기
01. 반품기한
- 단순 변심인 경우 : 상품 수령 후 7일 이내 신청
- 상품 불량/오배송인 경우 : 상품 수령 후 3개월 이내, 혹은 그 사실을 알게 된 이후 30일 이내 반품 신청 가능
02. 반품 배송비
반품사유 | 반품 배송비 부담자 |
---|---|
단순변심 | 고객 부담이며, 최초 배송비를 포함해 왕복 배송비가 발생합니다. 또한, 도서/산간지역이거나 설치 상품을 반품하는 경우에는 배송비가 추가될 수 있습니다. |
고객 부담이 아닙니다. |
03. 배송상태에 따른 환불안내
진행 상태 | 결제완료 | 상품준비중 | 배송지시/배송중/배송완료 |
---|---|---|---|
어떤 상태 | 주문 내역 확인 전 | 상품 발송 준비 중 | 상품이 택배사로 이미 발송 됨 |
환불 | 즉시환불 | 구매취소 의사전달 → 발송중지 → 환불 | 반품회수 → 반품상품 확인 → 환불 |
04. 취소방법
- 결제완료 또는 배송상품은 1:1 문의에 취소신청해 주셔야 합니다.
- 특정 상품의 경우 취소 수수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05. 환불시점
결제수단 | 환불시점 | 환불방법 |
---|---|---|
신용카드 | 취소완료 후, 3~5일 내 카드사 승인취소(영업일 기준) | 신용카드 승인취소 |
계좌이체 |
실시간 계좌이체 또는 무통장입금 취소완료 후, 입력하신 환불계좌로 1~2일 내 환불금액 입금(영업일 기준) |
계좌입금 |
휴대폰 결제 |
당일 구매내역 취소시 취소 완료 후, 6시간 이내 승인취소 전월 구매내역 취소시 취소 완료 후, 1~2일 내 환불계좌로 입금(영업일 기준) |
당일취소 : 휴대폰 결제 승인취소 익월취소 : 계좌입금 |
포인트 | 취소 완료 후, 당일 포인트 적립 | 환불 포인트 적립 |
06. 취소반품 불가 사유
- 단순변심으로 인한 반품 시, 배송 완료 후 7일이 지나면 취소/반품 신청이 접수되지 않습니다.
- 주문/제작 상품의 경우, 상품의 제작이 이미 진행된 경우에는 취소가 불가합니다.
- 구성품을 분실하였거나 취급 부주의로 인한 파손/고장/오염된 경우에는 취소/반품이 제한됩니다.
- 제조사의 사정 (신모델 출시 등) 및 부품 가격변동 등에 의해 가격이 변동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반품 및 가격보상은 불가합니다.
- 뷰티 상품 이용 시 트러블(알러지, 붉은 반점, 가려움, 따가움)이 발생하는 경우 진료 확인서 및 소견서 등을 증빙하면 환불이 가능하지만 이 경우, 제반 비용은 고객님께서 부담하셔야 합니다.
- 각 상품별로 아래와 같은 사유로 취소/반품이 제한 될 수 있습니다.
상품군 | 취소/반품 불가사유 |
---|---|
의류/잡화/수입명품 | 상품의 택(TAG) 제거/라벨 및 상품 훼손으로 상품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된 경우 |
계절상품/식품/화장품 | 고객님의 사용, 시간경과, 일부 소비에 의하여 상품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
가전/설치상품 | 전자제품 특성 상, 정품 스티커가 제거되었거나 설치 또는 사용 이후에 단순변심인 경우, 액정화면이 부착된 상품의 전원을 켠 경우 (상품불량으로 인한 교환/반품은 AS센터의 불량 판정을 받아야 합니다.) |
자동차용품 | 상품을 개봉하여 장착한 이후 단순변심의 경우 |
CD/DVD/GAME/BOOK등 | 복제가 가능한 상품의 포장 등을 훼손한 경우 |
상품의 시리얼 넘버 유출로 내장된 소프트웨어의 가치가 감소한 경우 | |
노트북, 테스크탑 PC 등 | 홀로그램 등을 분리, 분실, 훼손하여 상품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하여 재판매가 불가할 경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