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가귀감

고객평점
저자서산대사 휴정
출판사항돌베개, 발행일:2023/05/27
형태사항p.355 국판:22
매장위치사회과학부(B1) , 재고문의 : 051-816-9500
ISBN9791192836164 [소득공제]
판매가격 17,000원   15,300원  (인터넷할인가:10%)
포인트 765점
배송비결제주문시 결제
  • 주문수량 

총 금액 : 0원

책 소개

새롭게 정립하는, 정본(定本) 『선가귀감』


『선가귀감』은 현재 한문본(묘향산 간행본)과 한글본(송광사본) 두 가지 판본이 존재한다.

한문본은 1564년에 처음 간행되었다. 이 책은 현재 전하지 않지만, 1579년(선조 12) 간행본에 1564년(명종 19) 금강산 백화암(白華庵)에서 쓴 한문으로 된 서문이 전하는바, 최초 편찬 시기는 1564년으로 추정할 수 있다. 현재 전하는 가장 이른 시기의 한문본은 1579년에 사명당(四溟堂) 유정(惟政)과 의천(義天) 등이 교정하고 유정이 발문을 써서 출판한 이른바 ‘묘향산 간행본’이다. ‘묘향산 간행본’은 휴정의 최초 저술과 크게 달라졌다. 이 점은 한글본과 대조해 보면 알 수 있다. 최초 저술에 있던 58개 조목이 삭제되고 일부 구절이 첨삭되면서 편차(編次)도 일부 수정되었다. ‘묘향산 간행본’의 수정이 온전히 휴정 자신이 한 것인지는 확실치 않으나 휴정 생존 시기에 출판된 것이므로 이쪽을 완성본, 혹은 정본(定本)으로 삼아야 한다는 것은 올바른 판단이다. 현재 시중에서 구해 볼 수 있는 『선가귀감』의 대다수도 1579년 간행 한문본(묘향산 간행본)의 번역본이다.

한글본은 최초의 한문본이 나온 1564년에서 5년 뒤인 1569년(선조 2) 금화도인(金華道人)이라는 호를 쓰는 승려가 이 책을 한글로 번역해서 묘향산 보현사(普賢寺)에서 간행했다. 금화도인은 휴정의 제자 의천(義天)으로 추정된다. 1569년의 이 한글본이 현재 전하는 『선가귀감』 한문본과 한글본을 통틀어 가장 이른 시기에 간행된 책이다. 이 한글본은 1610년(광해군 2) 순천 송광사(松廣寺)에서 재간행되어 널리 읽혔다.

『선가귀감』 정본은 한문본(묘향산 간행본)이라는 것이 대다수의 입장이다. 그러나 이 책의 역자 정길수 교수의 의견은 조금 다르다. 한글본(송광사본)이 최초 출간된 한문본과 시기상으로도 가까울 뿐만 아니라 휴정의 최초 저술 형태를 충실하게 간직하면서 의미 맥락을 파악하기 쉬운 측면이 있다고 본다. 또한 한문본에 비해 한글본은 훨씬 많은 조목을 포함하고 있으며, 후대에 생략되어 한글본에서만 볼 수 있는 조목의 본문과 주해 중에 오히려 불교 초심자의 이해를 돕는 내용이 많다고 보았다. 이에 정길수 교수는 한글본을 저본으로 삼고, 필요한 경우 한문본에 추가된 주해와 송(頌)을 함께 제시해서 두 본의 장점을 아울렀다.

이 책은 한문본(묘향산 간행본)을 번역한 기존의 책들보다 최초의 한문본에 더 가깝고, 한글본과 한문본을 비교하여 빠트린 내용 없이 충실하게 번역했다는 점에서 새로운 정본의 정립이라 이를 만하다.


이 책의 구성


이 책은 총 14장 152개의 조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152개의 조목 중에서 한문본에는 없고 한글본에만 있는 조목이 58개에 달한다. 매 조목은,


저본의 본문(불경과 선승의 어록) ⇨ 주해(휴정의 주석과 해설) ⇨ 역자의 해설


순서로 3단계로 구성되었다.

휴정은 좋은 글을 뽑아 단순히 나열한 것이 아니라 조목 간의 연관을 고려해 네 영역으로 구상했는데, 이 책에서는 의미 맥락을 고려해 휴정이 구상한 네 영역을 다시 총 14장으로 세분했다.

이 책의 1장은 총론에 해당한다. 여기서 ‘마음’이라고 이름을 붙여도 옳지 않다는 ‘무엇’이 책 전체의 화두로 제시되고 있다.

2장에서는 ‘선’(禪)과 ‘교’(敎)에 관한 논의를 폈다. ‘선’과 ‘교’를 분변하되 하나로 아우르다가 결국 ‘선’의 길로 결단하는데, 그 핵심은 “‘선’은 부처의 마음이고, ‘교’는 부처의 말씀이다”라는 말과 ‘교(敎)의 뜻을 놓고 오직 이 순간 자기 마음에 드러난 일념으로 선(禪)의 주된 뜻을 자세히 참구하면 출신활로를 얻을 수 있다’라는 구절에 있다.

3장부터 13장까지는 참선의 방법, 수행의 방법에 관한 내용이다.

3장에서는 화두를 참구함으로써 깨침에 이른다는 간화선(看話禪)의 세계를 다루었고, 4장에서는 미혹의 본질을 논했다. 5장에서는 돈오(頓悟) 이후에 점수(漸修)해야 하는 이유, 6장에서는 환(幻)을 떠난 진리의 세계를 논했다. 7장에서는 삼보(三寶)의 의미를 밝히고, 8장에서는 수행의 계율을 명시했다. 9장에서는 좌선(坐禪)을 통해 이르는 청정세계를 이야기하고, 10장에서는 동요하지 않는 정진(精進)을 논했다. 11장에서는 자신을 향한 공부를 역설하고, 12장에서는 수행자의 잘못된 자세를 낱낱이 질타했으며, 13장에서는 외물을 좇지 않는 곧은 마음에 진리의 길이 있음을 거듭 말했다.

14장에는 앞에서 말한 수행의 방법과 이 책 전체의 마무리에 해당하는 내용을 담았다. 선승들의 병을 논한 조목이 앞 조목의 내용을 이으면서 ‘자유인’의 경지를 말하는 내용으로 이어지고, ‘자유인’을 징검다리 삼아 책 전체를 마무리하는 마지막 두 조목에 이른다. 일체의 분별을 다 놓고 집착에서 벗어나 내 안의 신령한 빛을 꿰뚫어 보라는 것이 이 책의 결론이다.



작가 소개

지은이 : 휴정(休靜)

1520∼1604. 조선 불교를 대표하는 선승(禪僧)으로, 속명은 최여신(崔汝信)이고, 호는 청허당(淸虛堂), 백화도인(白華道人), 서산(西山)이다. 평안도 안주에서 태어나 유년기에 부모를 여의고 서울에서 과거 공부를 하다가 불가의 길로 접어들어 21세에 승려가 되었다. 명종(明宗) 때 문정왕후(文定王后)에 의해 다시 시행된 승과(僧科)의 첫 합격자로, 36세의 나이에 교종(敎宗)과 선종(禪宗)을 모두 관장하는, 조선 불교의 대표자 자리에 올랐다. 사직하고 묘향산에 주로 머물던 중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승병(僧兵)의 총지휘관이 되어 평양성 탈환에 큰 공을 세웠다. 저술과 설법을 통해 임제종(臨濟宗)을 정통으로 삼아 선종의 우위 아래 교종을 아우르는 가르침을 펴고, 많은 제자를 배출하여 조선 후기 불교의 근간을 만들었다. 주요 저작으로 「선가귀감」이 포함된 「삼가귀감」(三家龜鑑)과 문집 「청허당집」(淸虛堂集)이 전한다.


편역 : 정길수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 「구운몽 다시 읽기」 「17세기 한국소설사」, 편역서 「길 위의 노래-김시습 선집」 「나는 나의 법을 따르겠다-허균 선집」, 논문 「전쟁, 영웅, 이념」 등이 있다. 한국 고전소설과 한문학을 공부하고 있다.



목 차

간행사

책머리에

일러두기


서문


1장 어떤 물건


1. 어떤 물건

2. 바람 없는 바다에 일어난 물결

3. 언어로 설파할 수 있다

4. 이름에 집착하지 말라


2장 두 갈래 길


5. ‘선’과 ‘교’

6. 입과 마음

7. 생각을 끊으라

8. 가진 것을 찾아 헤매다니

9. 미친 마음

10. 허공의 꽃

11. 마(魔)의 땅

12. 중생의 마음

13. 청정한 본성

14. 청정도 망이 된다

15. 마음이 곧 본성

16. 거울과 그 빛

17. 집착의 근기

18. 부처의 말씀과 조사의 가르침

19. 활과 활시위

20. 출신활로


3장 참선


21. ‘활구’를 참구하라

22. 닭이 알을 품듯

23. 마음의 길

24. 참선의 요건

25. 목숨을 놓을 곳

26. 큰 의심 아래 큰 깨달음이 있다

27. 생각할 수 없는 곳까지

28. 모기가 무쇠 소를 뚫고 들어가듯

29. 현악기를 조율하듯

30. 팔만 사천의 마군

31. 번뇌의 마귀

32. 안광이 땅에 떨어질 때

33. 반조

34. 마음이 목석같은 사람


4장 미혹


35. 부처를 거꾸러뜨렸는가

36. 말만 배우는 무리

37. 마음에서 생각이 떠나면

38. 원인과 결과를 떠난 법

39. 마음을 비우고

40. 미혹이 일어나는 이유

41. 미혹은 근본 없는 것

42. 자신을 낮추지도 높이지도 말라

43. 깨달음과 미혹


5장 헛됨 없는 돈오


44. 이치를 단박에 깨쳐도

45. 바른 지견

46. 머무름 없는 마음

47. 바른 눈

48. 마음을 모르면

49. 헛됨 없는 돈오

50. 실 끊어진 꼭두각시

51. 불법은 본래 얽매임이 없으니

52. 바른 법을 찾는 것이 사악함이다

53. 송장 지키는 귀신

54. 대열반

55. 살생과 도둑질

56. 공(空)을 알지 못하면

57. 끊고 또 끊되 끊음이 없으며

58. 거울을 갈아


6장 모두가 환


59. 마음이 일월 같으면

60. 마음에는 얼굴이 없거늘

61. 환(幻)

62. 환을 떠나면

63. 구름 없는 곳에서 달을 본다

64. 모두가 환이다


7장 불법의 근원


65. 세 마음과 네 믿음

66. 불법의 근원

67. 좋은 벗을 부처 섬기듯

68. 내 마음이 부처

69. 제도할 중생이 없다


8장 세 가지 배움


70. 수행의 요체

71. 말세의 중생

72. 덕이 없는 사람

73. 거짓된 수행

74. 계율을 지키지 않으면

75. 계율이 스승이다

76. 생사를 초탈하려면

77. 청정한 지혜

78. 선정에 있으면


9장 바른 마음


79. 좌선

80. 해탈

81. 정념

82. 열반

83. 집착하지 않는다는 헛된 견해

84. 성문과 연각

85. 청정한 세 가지 업


10장 정진


86. 한몸이라 여기는 대자대비

87. 분노의 마음

88. 인내

89. 자신을 낮추라

90. 정념은 무념

91. 정진하는 사람

92. 망상을 멈추라

93. 뒤로 미루지 말라

94. 진언

95. 예배

96. 염불


11장 마음을 지켜라


97. 본심을 지켜야

98. 본성을 보아 평등을 행하면

99. 취함도 버림도 모두 윤회

100. 몸 밖에서 찾지 말라

101. 깨끗하고 더러움은 마음에 있다

102. 부처는 중생을 제도할 수 없다

103. 아미타불의 발원

104. 불경을 듣는다는 것

105. 불경을 본다는 것

106. 마음 다스리기를 가벼이 하면

107. 보배는 내 안에 있다

108. 내 마음에서 깨쳐라

109. 통발은 잊어라

110. 본래의 진심을 지키는 일

111. 선가의 차선책


12장 경계


112. 널리 들으면 도를 알지 못한다

113. 견문을 자랑하지 말라

114. 도는 삶을 온전히 하는 것

115. 쓸모없는 외전 공부

116. 출가의 이유

117. 고통의 불

118. 세상의 뜬 이름

119. 명예와 이익을 탐하는 승려

120. 양질호피

121. 천하게 팔리는 불법

122. 부처의 옷을 입은 도적

123. 가사 입은 도적

124. 한 그릇 밥은 농부의 피

125. 보시받는 짐승

126. 무쇠로 몸을 두를지언정

127. 화살을 맞듯이

128. 역경계와 순경계

129. 닳아 가는 숫돌

130. 진정한 고통


13장 더러운 몸 깨끗한 땅


131. 쯧쯧 이 몸

132. 질박하고 곧은 마음

133. 곧은 마음이 정토

134. 참회와 참괴

135. 만행의 길

136. 마음과 경계

137. 보살은 세간에 놀아도

138. 부처도 바꾸지 못할 법

139. 허망하고 들뜬 마음


14장 할!


140. 맑지만 어둡고 깊은 구덩이

141. 참선의 병

142. 종사의 병

143. 성인과 범부를 구별하는 생각

144. 자유인

145. 나는 본래 공(空)

146. 무위를 배워 마음이 비면

147. 구(句)

148. 안 가르쳐 주신 게 소중하네

149. 할!

150. 임제의 “할!”과 덕산의 몽둥이

151. 부처를 원수 보듯

152. 신령한 빛


해설

휴정 연보

찾아보기



역자 소개

01. 반품기한
  • 단순 변심인 경우 : 상품 수령 후 7일 이내 신청
  • 상품 불량/오배송인 경우 : 상품 수령 후 3개월 이내, 혹은 그 사실을 알게 된 이후 30일 이내 반품 신청 가능
02. 반품 배송비
반품 배송비
반품사유 반품 배송비 부담자
단순변심 고객 부담이며, 최초 배송비를 포함해 왕복 배송비가 발생합니다. 또한, 도서/산간지역이거나 설치 상품을 반품하는 경우에는 배송비가 추가될 수 있습니다.
상품의 불량 또는 오배송 고객 부담이 아닙니다.
03. 배송상태에 따른 환불안내
환불안내
진행 상태 결제완료 상품준비중 배송지시/배송중/배송완료
어떤 상태 주문 내역 확인 전 상품 발송 준비 중 상품이 택배사로 이미 발송 됨
환불 즉시환불 구매취소 의사전달 → 발송중지 → 환불 반품회수 → 반품상품 확인 → 환불
04. 취소방법
  • 결제완료 또는 배송상품은 1:1 문의에 취소신청해 주셔야 합니다.
  • 특정 상품의 경우 취소 수수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05. 환불시점
환불시점
결제수단 환불시점 환불방법
신용카드 취소완료 후, 3~5일 내 카드사 승인취소(영업일 기준) 신용카드 승인취소
계좌이체 실시간 계좌이체 또는 무통장입금
취소완료 후, 입력하신 환불계좌로 1~2일 내 환불금액 입금(영업일 기준)
계좌입금
휴대폰 결제 당일 구매내역 취소시 취소 완료 후, 6시간 이내 승인취소
전월 구매내역 취소시 취소 완료 후, 1~2일 내 환불계좌로 입금(영업일 기준)
당일취소 : 휴대폰 결제 승인취소
익월취소 : 계좌입금
포인트 취소 완료 후, 당일 포인트 적립 환불 포인트 적립
06. 취소반품 불가 사유
  • 단순변심으로 인한 반품 시, 배송 완료 후 7일이 지나면 취소/반품 신청이 접수되지 않습니다.
  • 주문/제작 상품의 경우, 상품의 제작이 이미 진행된 경우에는 취소가 불가합니다.
  • 구성품을 분실하였거나 취급 부주의로 인한 파손/고장/오염된 경우에는 취소/반품이 제한됩니다.
  • 제조사의 사정 (신모델 출시 등) 및 부품 가격변동 등에 의해 가격이 변동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반품 및 가격보상은 불가합니다.
  • 뷰티 상품 이용 시 트러블(알러지, 붉은 반점, 가려움, 따가움)이 발생하는 경우 진료 확인서 및 소견서 등을 증빙하면 환불이 가능하지만 이 경우, 제반 비용은 고객님께서 부담하셔야 합니다.
  • 각 상품별로 아래와 같은 사유로 취소/반품이 제한 될 수 있습니다.

환불불가
상품군 취소/반품 불가사유
의류/잡화/수입명품 상품의 택(TAG) 제거/라벨 및 상품 훼손으로 상품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된 경우
계절상품/식품/화장품 고객님의 사용, 시간경과, 일부 소비에 의하여 상품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가전/설치상품 전자제품 특성 상, 정품 스티커가 제거되었거나 설치 또는 사용 이후에 단순변심인 경우, 액정화면이 부착된 상품의 전원을 켠 경우 (상품불량으로 인한 교환/반품은 AS센터의 불량 판정을 받아야 합니다.)
자동차용품 상품을 개봉하여 장착한 이후 단순변심의 경우
CD/DVD/GAME/BOOK등 복제가 가능한 상품의 포장 등을 훼손한 경우
내비게이션, OS시리얼이 적힌 PMP 상품의 시리얼 넘버 유출로 내장된 소프트웨어의 가치가 감소한 경우
노트북, 테스크탑 PC 등 홀로그램 등을 분리, 분실, 훼손하여 상품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하여 재판매가 불가할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