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의 기원 - 영장류학자가 밝히는 생각의 탄생과 진화 -

고객평점
저자마이클 토마셀로
출판사항이데아, 발행일:2017/12/06
형태사항p.263p. 국판:22CM
매장위치자연과학부(B2) , 재고문의 : 051-816-9500
ISBN9791195650194 [소득공제]
판매가격 17,000원   15,300원  (인터넷할인가:10%)
포인트 765점
배송비결제주문시 결제
  • 주문수량 

총 금액 : 0원

책 소개

인간 생각의 ‘과학적(진화적) 기원’

이 책은 “인간의 생각은 왜 탄생했으며 어떻게 진화했는가?”라는 질문에 대한 세계적인 영장류학자인 마이클 토마셀로의 과학적(진화적) 답변이다. 그동안 추상적이고 관념적인 영역의 한 형태로 인식되어온 인간 생각에 대한 ‘과학적(진화적) 기원’을 다룬 책이다. 앞서 장대익 교수가 이 책의 저자인 토마셀로를 두고 “인간과 다른 유인원 종들 사이의 미묘한 간극을 깊이 들여다본 지구인은 없을 것”으로 설명했는데 이는 과장이 아니다.
토마셀로는 30여 년 동안 영장류와 인간의 인지, 언어 습득, 문화 형성 과정을 연구했다. 현재 독일 막스플랑크 진화인류학연구소 소장이면서 동시에 그 자신이 성실하고 뛰어난 연구자이기도 하다. 토마셀로의 책과 논문은 지난 5년 동안 연평균 9,500여 회 인용되었으며, 여전히 제1저자 혹은 단독 저자로서 매년 논문을 발표하고 있는 것으로도 그가 어느 정도인지 짐작이 가능하다.
연구자의 학문적 기여도를 참고하기 위한 지표로 ‘h-index’라는 것이 있다. h-index가 100점이면, 100회 이상 인용된 책 또는 논문이 100편 이상이라는 뜻이다. 반짝 유행을 탄 논문이나 생계형 논문으로는 h-index를 올릴 수 없다. 동료 연구자들에게 많이 인용되는 논문을 꾸준히 발표해야 h-index가 올라간다. ‘구글 스콜라Google Scholar’에 따르면, 분야를 막론하고 h-index 100점 이상인 연구자는 2,500여 명이며, 150점 이상은 210명밖에 없을 정도다. 토마셀로의 h-index는 159점으로, 인류 역사상 가장 논쟁적이고 중요한 이슈를 선사한 카를 마르크스(163점)와 비슷한 수준에 놓여있다.

유인원도 생각을 한다, 다만 ‘나만 생각한다’

이러한 세계적인 영장류학자인 토마셀로는 이 책에서 생각의 진화사를 좇는데 인간이 다른 유인원들과 진화적으로 갈라지기 이전 시기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인간은 침팬지나 보노보와 같은 대형 유인원들과 공통 조상을 갖는다. 인류는 대략 600만 년 전쯤에 다른 유인원들과 갈라진 것으로 보이는데, 토마셀로는 이 시기의 인간이 유인원과 다를 바 없었을 것이라고 가정한다. 예컨대 침팬지들은 원숭이를 사냥할 때 무리 지어 함께 쫓는다. 하지만 침팬지들이 협력하고 있다고 보기는 어렵다. 왜냐하면 함께 사냥한 원숭이를 서로 나누려고 하기보다는 자신이 잡아서 먹이를 독차지하려는 경향이 크기 때문이다. 이 상황에서 침팬지의 사회적 인지는 협력적이라기보다는 경쟁적이다. 지금의 침팬지와 마찬가지로 500만 년이 넘는 시간 동안 인간의 생각은 개인 중심적이었으며, 경쟁적(먹이를 내가 더 많이)이고 착취적(가능한 독차지)인 사회적 인지를 가동할 뿐이었다. 토마셀로는 이것을 ‘개인 지향성(individual intentionality)’이라는 개념으로 설명한다.

“인간과 대형 유인원의 공통 조상을 상상해 보자. 그들의 일상은 현재의 유인원들과 비슷했다. 깨어 있는 시간의 대부분을 작은 무리에서 생활했는데, 다양한 사회적 상호작용을 했으며 대체로 경쟁적이었고 먹이는 개별적으로 구해야 했다. 유인원과 인류의 공통 조상은(그리고 아마도 인류 진화의 역사에서 첫 400만 년을 차지하는 오스트랄로피테쿠스를 포함하여) 개인 지향적이고 도구적 합리성을 가졌으리라고 보는 것이 나의 가설이다.”(56쪽)

“개인 지향성은 주로 경쟁적인 사회적 상호작용을 하는 종에 필요한 것이다. 그들은 자신을 위해 행동하거나, 기껏해야 싸움에서 유리한 편에 서기 위해 일시적으로 협력하는 정도다. 대형 유인원의 사회적 인지능력은 주로 집단에서 다른 개체와 경쟁하기 위해 발전했다. 유인원은 일종의 마키아벨리적 지능Machiavellian intelligence을 신조로 삼는다. 집단 구성원을 미래의 경쟁자로 보았고, 경쟁에서 이기려고 했다. 최신 연구에 따르면 대형 유인원의 가장 복잡한 사회적 인지능력은 다른 개체와 경쟁하고 착취하기 위해 발휘되며, 협력이나 소통을 위한 목적과는 동떨어져 있었다. 대형 유인원의 인지능력은 온전히 경쟁을 위한 것이다.”(57쪽)

인간의 생각이 침팬지와 다른 이유 : 형편없는 파트너를 고르면 굶는다

‘나’ 중심의 개인 지향적인 상태에서 약 40만 년 전쯤이 되어서야 인간의 생각이 침팬지와 달라지기 시작했다. 토마셀로는 새로운 인지 기술을 처음으로 확보한 인류가 아마도 호모 하이델베르겐시스가 아닐까 추정하고, 이 시기를 ‘초기 인류’ 단계로 분류한다. 초기 인류는 공동의 목표를 설정하고 소규모 협력 생활을 했으며, 이를 위해 이전과는 다른 사회적 인지 기능을 작동해야 했다. 초기 인류는 상대방의 의향을 파악하기 위한 사회적 지능이 필요했고, 상대방의 관점에서 자신의 의사소통과 행동을 돌아보기(생각하기!) 시작했다. 즉, 거의 500만년이 흐른 뒤에야 ‘공동(우리)’ 목표(사냥)를 위해 ‘너’의 입장에서 ‘나’를 생각하기 시작한 것이다. 토마셀로는 이를 이전 단계인 ‘개인 지향성’과 대비하여 ‘공동 지향성(joint intentionality)’이라는 개념으로 구분한다.

“호모 하이델베르겐시스는 네안데르탈인과 현생인류의 공통 조상이었으며 여전히 수수께끼로 남아 있는 호미닌이다. 고인류학 증거에 따르면 호모 하이델베르겐시스가 큰 동물을 사냥하기 위해 체계적으로 협동했던 최초의 인류인 것으로 보인다. 이들은 협력이 필요한 무기를 사용했으며, 때로는 사냥감을 집으로 가져오기도 했다. 또한 이때는 뇌의 용량과 개체수가 급격히 증가하던 시기이기도 했다. 호모 하이델베르겐시스는 진정한 협력자가 되기 위한 후보의 자격을 갖추었다……인류는 더 이상 혼자만의 힘으로 식량을 구하기 어려워졌기 때문에 협력해야 했다. 협력을 위한 새로운 기술과 동기를 마련하지 않으면 굶어죽을 상황이었다. 협력 활동(공동 지향성)을 위한 동기와 기술에 직접적이고 즉각적인 선택 압력이 작용한 셈이다. 둘째, 협력 파트너로 어떠한지 타인을 평가하기 시작했다. 이것이 바로 사회적 선택이다. 형편없는 파트너를 고르면 굶는다. 사기꾼이나 게으름뱅이는 회피 대상이었으며, 불한당도 꺼려진다. 초기 인류는 다른 유인원이 갖지 못한 걱정을 떠안았다. 다른 사람을 어떻게 평가해야 할지, 다른 사람이 자신을 어떻게 평가할지 걱정하기 시작한 것이다.”(68-69쪽)

“어떤 시점이 되자 초기 인류는 타인과의 상호 의존성을 단지 협력 활동을 하고 있을 때뿐만 아니라 더 넓은 의미로 이해하기 시작했는데, 이를테면 협력자가 내일의 사냥에서 좋은 컨디션을 유지하려면 오늘밤 굶지 않도록 도와야 한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87쪽)

‘나’와 ‘너’를 뛰어넘는 ‘무엇’의 탄생

약 20만 년 전, 호모 사피엔스의 시대가 되자 협력 규모는 소규모 ‘무리’에서 ‘집단’으로 확장되었다. 현대 인류는 초기 인류에서 한 발 더 나아가 사회적 제도라는 가상의 실체들을 만들고 권력을 부여했다. 이것은 ‘나(개인)’가 공동체의 일원으로서 협력 활동을 잘 수행할 수 있는 존재임을 드러내기 위해 집단의 관점에서 자신을 평가하기 시작했다는 의미이다. 그리고 나의 관점에서 너를 생각하거나, 또는 너의 관점에서 나를 생각하는 것에서 나아가, 집단의 관점에서 나와 너를, 그리고 제 3자인 누군가(구성원)를 생각하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이로써 인류는 이전(공동 지향성의 단계)과는 다른 단계로 진화했으며, 이를 ‘집단 지향성(collective intentionality)’의 단계로 접어든 것으로 설명한다. 이렇게 나와 너를 뛰어넘는 ‘집단의 지향을 공유’하는 사회성이 현대 인류의 생각의 획기적인 변화(진화)를 이끌었다.

“먹이를 구할 때마다 즉석에서 이루어졌던 초기 인류의 소규모 협력은 안정적인 진화 전략이었다. 그러나 시간이 흐르면서 두 가지 인구학적 문제가 발생하여 전략을 수정해야 했다는 것이 나의 가설이다. 첫 번째 문제는 집단 간 경쟁이었다. 침략자로부터 자신의 삶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느슨한 협력 조직보다는 제대로 된 사회집단을 이루어야 했다. 생존이라는 공동 목적(식량 확보와 침략에 대한 방어)과 분업 체계를 갖춘 협력 집단이 필요했다. 이는 집단 구성원들이 서로 도우려는 동기가 있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집단 구성원들은 상호 의존적이었기 때문에 서로 도울 동기가 있었다. ‘그들’의 침략에 대비하기 위해 ‘우리’가 힘을 모아야 했다. 그래서 개인은 하나의 문화를 공유하는 특정 사회집단의 일원으로서 자신의 정체성을 이해하기 시작했다. 집단 전체를 포괄하는 ‘우리’의 지향성에 기반한 문화적 토대가 마련된 것이다.”(134쪽)

“두 번째 문제는 인구 증가였다. 인구 규모가 커지면서 여러 부족이 하나의 상위 집단으로 묶이고 단일 ‘문화’를 공유하는 부족들이 생겼다. 이것은 문화집단의 구성원들이 서로를 식별하는 문제가 중요해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나도 상대방을 알아볼 수 있어야 하지만 상대방도 나를 알아볼 수 있어야 했다. 집단 구성원이어야만 가치를 공유하고 협력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현대 인류 사회에서 집단 정체성은 다양한 방식으로 드러나지만, 초기에는 행동으로 표시할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같은 방식으로 말하고 요리하고 물고기를 잡는 사람들, 즉 문화적 관행을 공유하는 사람들이 같은 문화집단에 속할 가능성이 높았다.”(134-135쪽)

“인구가 많아지고 사람들 사이에 경쟁이 심해지면서 (아는 사람과 모르는 사람, 현재와 과거의 동료를 모두 포함한) 집단 구성원들을 상호 의존적인 잠재적 협력자로 여기기 시작했다. 집단 구성원들은 특정 문화 관행에 따라 손쉽게 식별되었고, 생활방식에 대한 교육과 순응이 중요한 부분이 되었다. 새로운 집단적 사고방식에 의해 문화적 관행, 규범 및 제도와 같은 것으로 구체화된 인간 생활의 집단화가 이루어졌으며, 이는 또 한 번 인간이 생각하는 방식을 바꾸었다.”(137쪽)

생각의 진화사 : 인류 진화의 잃어버린 고리를 찾는 여정

이 책에서 전개하는 생각의 진화사는 유인원에서 인간으로 이어지는 생각의 역사에서 ‘잃어버린 고리’를 연결하는 과정이기도 하다. 특히 이 책은 현대의 인간이 생각하는 방식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진화적인 맥락을 봐야만 한다고 말한다. 초기 인류와 현생 인류가 생존을 위해 협력하는 방식으로 나아갈 때 당면했던 진화적 도전을 통해 어떻게 생각이 진화했는지를 이해해야 하는 것이다. 토마셀로는 이 책의 결론에 이르러 아래와 같이 확신한다.

“인간 특유의 생각에 관한 나의 이론은 진화적인 관점을 전제로 한다. 비트겐슈타인은 언어에 대해 이렇게 말했다. “언어는 잘 작동할 때가 아니라 공회전하는 엔진처럼 헛돌고 있을 때 우리를 혼란에 몰아넣는다.”(wittgenstein, 1995, no. 132) 철학자들이 인간의 생각을 설명하려고 할 때 벽에 부딪힌 까닭은 인간의 생각을 진화적 적응으로 보지 않고 너무나 추상적으로 이해하려 했기 때문이다. 많은 현대인들의 생각이 어떤 면에서는 뚜렷한 목적이 없어 보인다는 점을 보면, 이렇게 생각하는 것도 당연하다. 그러나 인간 고유의 생각이 행동을 조직하고 조정하는 역할을 함으로써 진화적으로 선택되었다는 사실은 거의 확실하다.”(232쪽)

작가 소개

저 : 마이클 토마셀로

Michael Tomasello
독일의 막스플랑크 진화인류학연구소 공동 소장을 맡고 있는 세계적인 영장류학자이다. 심리학을 전공하고 영장류의 인지능력과 문화가 인간과 어떻게 다른지 비교하는 연구 및 아이들의 언어 습득에 관한 연구에서 큰 업적을 남겼다. 인지과학과 심리철학에 중요한 기여를 한 연구자에게 수여하는 ‘장 니코드 상Jean Nicod Prize’ 외에 다수의 학술상을 수상했으며, 세계적으로 몇 손가락 안에 꼽히는 다학제적 연구자로 인정받는다. 사회성과 협력에 초점을 두고 인간의 사회적 인지능력의 기원을 연구했으며, 영장류의 인지 과정의 이해에 큰 기여를 했다. 지은 책으로 《이기적 원숭이와 이타적 인간Why We Cooperate》, 《인간의 의사소통 기원Origins of Human Communications》, 《인간 인지의 문화적 기원The Cultural Origins of Human Cognition》 등이 있다.

 

역 : 이정원

서울대에서 전자공학과 의공학, 카이스트에서 신경과학을 공부했다. 바둑, ‘마이티’와 같은 보드게임과 퍼즐 문제를 좋아하여 생각이 어떻게 작동하고 습관이 어떻게 형성되는지에 관심이 많다. ‘알파고’가 바둑을 깨우친 원리에 대해 여러 매체에 글을 기고하기도 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에서 일하며 게임이론 문제와 지식을 표현하는 연구에 관심을 두고 있다.

 

 

목 차

서문_ 무엇이 인간의 생각을 독특하게 만드는가?.4

1장 지향점 공유 가설.p11
협력하는 동물에게 주어진 특혜

2장 개인 지향성.p21
유인원도 생각한다

인지의 진화.p24
유인원은 생각한다.p34
경쟁을 위한 인지능력.p50

3장 공동 지향성.p59
인간의 생각이 침팬지와 다른 이유

새로운 유형의 협력.p63
새로운 유형의 협력 커뮤니케이션.p85
양자 간 생각.p113
관점: 시점을 옮길 수 있는 능력.p123

4장 집단 지향성.p129
어느 누구의 관점도 아닌 생각의 탄생

문화의 출현.p133
관습 커뮤니케이션의 출현.p148
주체 중립적 생각.p177
객관성: 특정한 시점이 없는 관점.p186

5장 협력에 기원을 둔 인간의 생각.p191
인간만의 전유물, 생각에 깃든 사회성

인간 인지의 진화 이론들.p195
사회성과 생각.p206
개체발생의 역할.p220



결론_ 화석 없는 세계에서 생각의 기원을 찾다.p227

옮긴이의 글.p237
참고문헌.p242
찾아보기.p259

역자 소개

01. 반품기한
  • 단순 변심인 경우 : 상품 수령 후 7일 이내 신청
  • 상품 불량/오배송인 경우 : 상품 수령 후 3개월 이내, 혹은 그 사실을 알게 된 이후 30일 이내 반품 신청 가능
02. 반품 배송비
반품 배송비
반품사유 반품 배송비 부담자
단순변심 고객 부담이며, 최초 배송비를 포함해 왕복 배송비가 발생합니다. 또한, 도서/산간지역이거나 설치 상품을 반품하는 경우에는 배송비가 추가될 수 있습니다.
상품의 불량 또는 오배송 고객 부담이 아닙니다.
03. 배송상태에 따른 환불안내
환불안내
진행 상태 결제완료 상품준비중 배송지시/배송중/배송완료
어떤 상태 주문 내역 확인 전 상품 발송 준비 중 상품이 택배사로 이미 발송 됨
환불 즉시환불 구매취소 의사전달 → 발송중지 → 환불 반품회수 → 반품상품 확인 → 환불
04. 취소방법
  • 결제완료 또는 배송상품은 1:1 문의에 취소신청해 주셔야 합니다.
  • 특정 상품의 경우 취소 수수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05. 환불시점
환불시점
결제수단 환불시점 환불방법
신용카드 취소완료 후, 3~5일 내 카드사 승인취소(영업일 기준) 신용카드 승인취소
계좌이체 실시간 계좌이체 또는 무통장입금
취소완료 후, 입력하신 환불계좌로 1~2일 내 환불금액 입금(영업일 기준)
계좌입금
휴대폰 결제 당일 구매내역 취소시 취소 완료 후, 6시간 이내 승인취소
전월 구매내역 취소시 취소 완료 후, 1~2일 내 환불계좌로 입금(영업일 기준)
당일취소 : 휴대폰 결제 승인취소
익월취소 : 계좌입금
포인트 취소 완료 후, 당일 포인트 적립 환불 포인트 적립
06. 취소반품 불가 사유
  • 단순변심으로 인한 반품 시, 배송 완료 후 7일이 지나면 취소/반품 신청이 접수되지 않습니다.
  • 주문/제작 상품의 경우, 상품의 제작이 이미 진행된 경우에는 취소가 불가합니다.
  • 구성품을 분실하였거나 취급 부주의로 인한 파손/고장/오염된 경우에는 취소/반품이 제한됩니다.
  • 제조사의 사정 (신모델 출시 등) 및 부품 가격변동 등에 의해 가격이 변동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반품 및 가격보상은 불가합니다.
  • 뷰티 상품 이용 시 트러블(알러지, 붉은 반점, 가려움, 따가움)이 발생하는 경우 진료 확인서 및 소견서 등을 증빙하면 환불이 가능하지만 이 경우, 제반 비용은 고객님께서 부담하셔야 합니다.
  • 각 상품별로 아래와 같은 사유로 취소/반품이 제한 될 수 있습니다.

환불불가
상품군 취소/반품 불가사유
의류/잡화/수입명품 상품의 택(TAG) 제거/라벨 및 상품 훼손으로 상품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된 경우
계절상품/식품/화장품 고객님의 사용, 시간경과, 일부 소비에 의하여 상품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가전/설치상품 전자제품 특성 상, 정품 스티커가 제거되었거나 설치 또는 사용 이후에 단순변심인 경우, 액정화면이 부착된 상품의 전원을 켠 경우 (상품불량으로 인한 교환/반품은 AS센터의 불량 판정을 받아야 합니다.)
자동차용품 상품을 개봉하여 장착한 이후 단순변심의 경우
CD/DVD/GAME/BOOK등 복제가 가능한 상품의 포장 등을 훼손한 경우
내비게이션, OS시리얼이 적힌 PMP 상품의 시리얼 넘버 유출로 내장된 소프트웨어의 가치가 감소한 경우
노트북, 테스크탑 PC 등 홀로그램 등을 분리, 분실, 훼손하여 상품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하여 재판매가 불가할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