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소개
▣ 작가 소개
김상배
현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교수
서울대학교 외교학과 학사 및 석사, 미국 인디애나대학교 정치학 박사
대표 저서: 『아라크네의 국제정치학』(2014), 『정보혁명과 권력변환』(2010), 『정보화시대의 표준경쟁』(2007) 외 다수
신범식
현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교수
서울대학교 외교학과 학사 및 석사, 러시아 모스크바국제관계대학교 정치학 박사
대표 저서: 『21세기 유라시아 도전과 국제관계』(2006), 『한국과 러시아의 전략협
력』(2015), 『중국의 부상과 중앙아시아』(2015) 외 다수
신성호
현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교수
서울대학교 외교학과 학사, 미국 Tufts 대학 Fletcher School 석사 및 박사
최근 논문: “19세기 유럽협조체제(The Concert of Europe)에 나타난 강대국 정치를 통해 본 21세기 중국의 신형대국관계”(『국제정치논총』 2014), “Northeast Asia’s Aging Population and Regional Security “Demographic Peace?””(Asian Survey 2013) 외 다수
이승주
현 중앙대학교 정치국제학과 교수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 학사 및 석사, 미국 캘리포니아 버클리대학교 정치학 박사
대표 편저서: 『국익을 찾아서』(... 2013), Trade Policy in the Asia-Pacific(2011) 외 다수
이신화
현 고려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현 유엔 사무총장 평화구축기금(PBF) 자문위원
미국 메릴랜드 주립대학교 국제정치학 박사, 전 유엔 사무총장 르완다학살독립위 자문관, 전 동아시아 비전그룹(EAVG) 의장자문관
대표 저서: 『국제기구와 한국외교: 이론과 실제』(2015, 공저), New Thinking on Diplomacy Toward North Korea (2014, 공저), Does Helmet Color Matter? Discrepancy in Korea’s International Peace Operations (2014), The Pursuit of Multilateral Cooperation amidst Growing Political and Economic Divides in Northeast Asia (2015)
조화순
현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연세대학교 학사 및 석사, 미국 노스웨스턴대학교 정치학 박사
대표 저서: 『한국 정당의 미래를 말하다』(2015), 『사이버 공간의 문화코드』(2015), Building telecom markets: evolution of governance in the Korean mobile telecommunication market (2013), 『정보시대의 인간안보: 감시사회인가? 복지사회인가?』(2012)외 다수
황지환
현 서울시립대학교 국제관계학과 부교수
서울대학교 외교학과 학사 및 석사, 미국 콜로라도주립대학교 정치학 박사
최근 논문: “The Paradox of South Korea’s Unification Diplomacy: Moving beyond a State-Centric Approach,”(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Unification Studies, Vol. 23, No. 1 2014), “김정은 시대 북한의 대외전략: 지속과 변화의 ‘병진노선’”(『한국과 국제정치』 제30권 1호, 2014), “The Two Koreas after U.S. Unipolarity: In Search of a New North Korea Policy,”(Journal of International and Area Studies Vol. 20, No.)
▣ 주요 목차
머리말 . 8
제1부 외교안보의 중장기 미래전략 21
제1장 중장기 외교안보 전략의 과제?|?김상배 23
Ⅰ. 머리말 23
Ⅱ. 복합 세력망의 구조적 공백 찾기 27
Ⅲ. 중개-연대-설계의 네트워크 전략 34
1. 중개의 네트워크 전략 35
2. 연대의 네트워크 전략 39
3. 설계의 네트워크 전략 42
Ⅳ. 열린 국익 및 통일 모델의 추구 46
Ⅴ. 맺음말 53
제2장 유엔 안보외교의 미래전략?|?이신화 61
Ⅰ. 서론 61
Ⅱ. 세계분쟁의 변천 및 유엔의 안보 아이디어와 역할평가 65
Ⅲ. 안보의 결의안과 부결안에 따른 유엔의 안보 역할 고찰 81
Ⅳ. 중견국 한국의 안보외교 과제 및 중장기 전략 88
Ⅴ. 결론 100
제2부 군사.경제안보의 변환과 복합 109
제3장 국방안보의 미래: 초고령.저출산 인구문제를 중심으로 ?|?신성호 111
Ⅰ. 서론 111
Ⅱ. 한반도 안보환경과 도전 113
Ⅲ. 인구변화와 미래 국방력 소요 117
1. 국방개혁과 병력구조 117
2. 미래 인력 소요 판단 120
3. 미래 국방예산 소요 예산 131
Ⅳ. 결론 140
제4장 경제-안보 연계전략: 자유무역협정을 중심으로 ?|?이승주 147
Ⅰ. 서론 147
Ⅱ. 이론적 논의: 경제-안보 연계의 동기와 유형 149
1. 경제-안보 연계의 이론적 배경 149
2. FTA와 경제-안보 연계 150
Ⅲ. 미국의 경제?안보 연계 154
Ⅳ. 일본의 경제?안보 연계 159
Ⅴ. 한국의 경제?안보 연계 164
Ⅵ. 결론 171
제3부 신흥안보의 중장기 미래전략 177
제5장 환경안보의 미래전략?|?신범식 179
Ⅰ. 문제제기 179
Ⅱ. 기후변화와 국제적 대응: 현황과 주요 도전 182
1 교토체제를 넘어 포스트교코체제로 182
2) 세계경제포럼의 지구위험보고서 (2007-2015)로 본
위험 요소들의 연계성 190
3. 기후변화 대응체제의 쟁점과 미래 193
Ⅲ. 한국 환경 및 기후변화 외교의 발전과 한계 202
Ⅳ. 한국 환경 및 기후변화 외교의 과제 212
제6장 사이버안보의 국제정치와 미래전략?|?조화순 224
Ⅰ. 문제제기 224
Ⅱ. 사이버공격과 사이버안보 227
Ⅲ. 사이버안보 전략 236
Ⅳ. 사이버안보의 국제규범 243
Ⅴ. 사이버억지와 그 한계 250
제4부 중장기 미래전략의 방향모색 257
제7장 한반도 통일의 미래전략?|?황지환 259
Ⅰ. 머리말 259
Ⅱ. 북한 급변상황 및 한반도 통일의 미래전략 262
1. 동독의 급변상황과 독일 통일의 과정 263
2. 북한 급변상황과 주변 강대국들의 전략 266
3. 북한 급변상황에 대한 한국의 대응전략 271
Ⅲ. 북한의 정상국가화 및 한반도 통일의 미래전략 273
1. 북한의 전략적 선택변화와 개혁개방 274
2. 북한의 정상국가화 이행과 한반도 평화 280
3. 북한의 정상국가화와 한반도 통일단계로의 이행 285
Ⅳ. 맺음말 287
제8장 국가안보의 새로운 방향모색?|?라운드 테이블 토론 293
김상배
현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교수
서울대학교 외교학과 학사 및 석사, 미국 인디애나대학교 정치학 박사
대표 저서: 『아라크네의 국제정치학』(2014), 『정보혁명과 권력변환』(2010), 『정보화시대의 표준경쟁』(2007) 외 다수
신범식
현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교수
서울대학교 외교학과 학사 및 석사, 러시아 모스크바국제관계대학교 정치학 박사
대표 저서: 『21세기 유라시아 도전과 국제관계』(2006), 『한국과 러시아의 전략협
력』(2015), 『중국의 부상과 중앙아시아』(2015) 외 다수
신성호
현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교수
서울대학교 외교학과 학사, 미국 Tufts 대학 Fletcher School 석사 및 박사
최근 논문: “19세기 유럽협조체제(The Concert of Europe)에 나타난 강대국 정치를 통해 본 21세기 중국의 신형대국관계”(『국제정치논총』 2014), “Northeast Asia’s Aging Population and Regional Security “Demographic Peace?””(Asian Survey 2013) 외 다수
이승주
현 중앙대학교 정치국제학과 교수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 학사 및 석사, 미국 캘리포니아 버클리대학교 정치학 박사
대표 편저서: 『국익을 찾아서』(... 2013), Trade Policy in the Asia-Pacific(2011) 외 다수
이신화
현 고려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현 유엔 사무총장 평화구축기금(PBF) 자문위원
미국 메릴랜드 주립대학교 국제정치학 박사, 전 유엔 사무총장 르완다학살독립위 자문관, 전 동아시아 비전그룹(EAVG) 의장자문관
대표 저서: 『국제기구와 한국외교: 이론과 실제』(2015, 공저), New Thinking on Diplomacy Toward North Korea (2014, 공저), Does Helmet Color Matter? Discrepancy in Korea’s International Peace Operations (2014), The Pursuit of Multilateral Cooperation amidst Growing Political and Economic Divides in Northeast Asia (2015)
조화순
현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연세대학교 학사 및 석사, 미국 노스웨스턴대학교 정치학 박사
대표 저서: 『한국 정당의 미래를 말하다』(2015), 『사이버 공간의 문화코드』(2015), Building telecom markets: evolution of governance in the Korean mobile telecommunication market (2013), 『정보시대의 인간안보: 감시사회인가? 복지사회인가?』(2012)외 다수
황지환
현 서울시립대학교 국제관계학과 부교수
서울대학교 외교학과 학사 및 석사, 미국 콜로라도주립대학교 정치학 박사
최근 논문: “The Paradox of South Korea’s Unification Diplomacy: Moving beyond a State-Centric Approach,”(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Unification Studies, Vol. 23, No. 1 2014), “김정은 시대 북한의 대외전략: 지속과 변화의 ‘병진노선’”(『한국과 국제정치』 제30권 1호, 2014), “The Two Koreas after U.S. Unipolarity: In Search of a New North Korea Policy,”(Journal of International and Area Studies Vol. 20, No.)
▣ 주요 목차
머리말 . 8
제1부 외교안보의 중장기 미래전략 21
제1장 중장기 외교안보 전략의 과제?|?김상배 23
Ⅰ. 머리말 23
Ⅱ. 복합 세력망의 구조적 공백 찾기 27
Ⅲ. 중개-연대-설계의 네트워크 전략 34
1. 중개의 네트워크 전략 35
2. 연대의 네트워크 전략 39
3. 설계의 네트워크 전략 42
Ⅳ. 열린 국익 및 통일 모델의 추구 46
Ⅴ. 맺음말 53
제2장 유엔 안보외교의 미래전략?|?이신화 61
Ⅰ. 서론 61
Ⅱ. 세계분쟁의 변천 및 유엔의 안보 아이디어와 역할평가 65
Ⅲ. 안보의 결의안과 부결안에 따른 유엔의 안보 역할 고찰 81
Ⅳ. 중견국 한국의 안보외교 과제 및 중장기 전략 88
Ⅴ. 결론 100
제2부 군사.경제안보의 변환과 복합 109
제3장 국방안보의 미래: 초고령.저출산 인구문제를 중심으로 ?|?신성호 111
Ⅰ. 서론 111
Ⅱ. 한반도 안보환경과 도전 113
Ⅲ. 인구변화와 미래 국방력 소요 117
1. 국방개혁과 병력구조 117
2. 미래 인력 소요 판단 120
3. 미래 국방예산 소요 예산 131
Ⅳ. 결론 140
제4장 경제-안보 연계전략: 자유무역협정을 중심으로 ?|?이승주 147
Ⅰ. 서론 147
Ⅱ. 이론적 논의: 경제-안보 연계의 동기와 유형 149
1. 경제-안보 연계의 이론적 배경 149
2. FTA와 경제-안보 연계 150
Ⅲ. 미국의 경제?안보 연계 154
Ⅳ. 일본의 경제?안보 연계 159
Ⅴ. 한국의 경제?안보 연계 164
Ⅵ. 결론 171
제3부 신흥안보의 중장기 미래전략 177
제5장 환경안보의 미래전략?|?신범식 179
Ⅰ. 문제제기 179
Ⅱ. 기후변화와 국제적 대응: 현황과 주요 도전 182
1 교토체제를 넘어 포스트교코체제로 182
2) 세계경제포럼의 지구위험보고서 (2007-2015)로 본
위험 요소들의 연계성 190
3. 기후변화 대응체제의 쟁점과 미래 193
Ⅲ. 한국 환경 및 기후변화 외교의 발전과 한계 202
Ⅳ. 한국 환경 및 기후변화 외교의 과제 212
제6장 사이버안보의 국제정치와 미래전략?|?조화순 224
Ⅰ. 문제제기 224
Ⅱ. 사이버공격과 사이버안보 227
Ⅲ. 사이버안보 전략 236
Ⅳ. 사이버안보의 국제규범 243
Ⅴ. 사이버억지와 그 한계 250
제4부 중장기 미래전략의 방향모색 257
제7장 한반도 통일의 미래전략?|?황지환 259
Ⅰ. 머리말 259
Ⅱ. 북한 급변상황 및 한반도 통일의 미래전략 262
1. 동독의 급변상황과 독일 통일의 과정 263
2. 북한 급변상황과 주변 강대국들의 전략 266
3. 북한 급변상황에 대한 한국의 대응전략 271
Ⅲ. 북한의 정상국가화 및 한반도 통일의 미래전략 273
1. 북한의 전략적 선택변화와 개혁개방 274
2. 북한의 정상국가화 이행과 한반도 평화 280
3. 북한의 정상국가화와 한반도 통일단계로의 이행 285
Ⅳ. 맺음말 287
제8장 국가안보의 새로운 방향모색?|?라운드 테이블 토론 293
01. 반품기한
- 단순 변심인 경우 : 상품 수령 후 7일 이내 신청
- 상품 불량/오배송인 경우 : 상품 수령 후 3개월 이내, 혹은 그 사실을 알게 된 이후 30일 이내 반품 신청 가능
02. 반품 배송비
반품사유 | 반품 배송비 부담자 |
---|---|
단순변심 | 고객 부담이며, 최초 배송비를 포함해 왕복 배송비가 발생합니다. 또한, 도서/산간지역이거나 설치 상품을 반품하는 경우에는 배송비가 추가될 수 있습니다. |
고객 부담이 아닙니다. |
03. 배송상태에 따른 환불안내
진행 상태 | 결제완료 | 상품준비중 | 배송지시/배송중/배송완료 |
---|---|---|---|
어떤 상태 | 주문 내역 확인 전 | 상품 발송 준비 중 | 상품이 택배사로 이미 발송 됨 |
환불 | 즉시환불 | 구매취소 의사전달 → 발송중지 → 환불 | 반품회수 → 반품상품 확인 → 환불 |
04. 취소방법
- 결제완료 또는 배송상품은 1:1 문의에 취소신청해 주셔야 합니다.
- 특정 상품의 경우 취소 수수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05. 환불시점
결제수단 | 환불시점 | 환불방법 |
---|---|---|
신용카드 | 취소완료 후, 3~5일 내 카드사 승인취소(영업일 기준) | 신용카드 승인취소 |
계좌이체 |
실시간 계좌이체 또는 무통장입금 취소완료 후, 입력하신 환불계좌로 1~2일 내 환불금액 입금(영업일 기준) |
계좌입금 |
휴대폰 결제 |
당일 구매내역 취소시 취소 완료 후, 6시간 이내 승인취소 전월 구매내역 취소시 취소 완료 후, 1~2일 내 환불계좌로 입금(영업일 기준) |
당일취소 : 휴대폰 결제 승인취소 익월취소 : 계좌입금 |
포인트 | 취소 완료 후, 당일 포인트 적립 | 환불 포인트 적립 |
06. 취소반품 불가 사유
- 단순변심으로 인한 반품 시, 배송 완료 후 7일이 지나면 취소/반품 신청이 접수되지 않습니다.
- 주문/제작 상품의 경우, 상품의 제작이 이미 진행된 경우에는 취소가 불가합니다.
- 구성품을 분실하였거나 취급 부주의로 인한 파손/고장/오염된 경우에는 취소/반품이 제한됩니다.
- 제조사의 사정 (신모델 출시 등) 및 부품 가격변동 등에 의해 가격이 변동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반품 및 가격보상은 불가합니다.
- 뷰티 상품 이용 시 트러블(알러지, 붉은 반점, 가려움, 따가움)이 발생하는 경우 진료 확인서 및 소견서 등을 증빙하면 환불이 가능하지만 이 경우, 제반 비용은 고객님께서 부담하셔야 합니다.
- 각 상품별로 아래와 같은 사유로 취소/반품이 제한 될 수 있습니다.
상품군 | 취소/반품 불가사유 |
---|---|
의류/잡화/수입명품 | 상품의 택(TAG) 제거/라벨 및 상품 훼손으로 상품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된 경우 |
계절상품/식품/화장품 | 고객님의 사용, 시간경과, 일부 소비에 의하여 상품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
가전/설치상품 | 전자제품 특성 상, 정품 스티커가 제거되었거나 설치 또는 사용 이후에 단순변심인 경우, 액정화면이 부착된 상품의 전원을 켠 경우 (상품불량으로 인한 교환/반품은 AS센터의 불량 판정을 받아야 합니다.) |
자동차용품 | 상품을 개봉하여 장착한 이후 단순변심의 경우 |
CD/DVD/GAME/BOOK등 | 복제가 가능한 상품의 포장 등을 훼손한 경우 |
상품의 시리얼 넘버 유출로 내장된 소프트웨어의 가치가 감소한 경우 | |
노트북, 테스크탑 PC 등 | 홀로그램 등을 분리, 분실, 훼손하여 상품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하여 재판매가 불가할 경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