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소개
본각 스님과 화엄경의 인연
1983년 일본에서 유학중이던 본각스님은 화엄경의 방대한 양에 매료되어 이 경전을 소의경전으로 삼아 일생을 연구하기로 마음먹었다. 긴 유학생활을 마치고 화엄학 박사가 된 스님은 1991년 중앙승가대 교수로 취임하였다. 그리고 2016년 퇴임할 때까지 후학들에게 화엄의 정수를 가르치는 한편 화엄행자로서 화엄경에 기대어 심원한 화엄의 숲길을 묵묵히 걸어왔다.
가르치고 공부하는 틈틈이 스님은 화엄경을 공부하는 데 꼭 기억해야 할 경문과 중요한 교의를 차근차근 정리하고 기록해나갔다. 성실하게 축적한 자료들은 다양한 논문을 발표하는 밑거름이 되었다. 그렇게 연구한 논문들을 수정 증보하여 한데 묶은 것이 이 책 『화엄교학 강론』이다.
화엄경은 어떤 경전인가
화엄경은 경전 편찬 과정에서 ‘여래가 성도하고 아함의 가르침을 아직 펼치기 전인 21일간의 사유 기간에 설해진 경전’이라고 알려져 있다. 대부분의 불교 경전이 중생의 근기에 맞춰 설해진 수기설법(隨機說法)이라면, 화엄경은 여래의 깨달은 경지 그대로를 최고 수준의 보살에게 설한 법어라고 전해진다. ‘깨달음에 이르는 과정을 대근기(大根機) 보살을 위해서 설한 법문’, 이것이 화엄경에 대한 전통적인 견해이다.
화엄경의 핵심 내용
시공간의 제한 없이 천상과 지상을 넘나들며 설법하는 광경이 펼쳐지는 화엄경은 전체 39품으로 이뤄져 있다. 여기에는 여래가 깨달은 결과인 과덕과 보살이 여래의 경지에 오르는 신(信), 해(解), 행(行), 증(證)의 방법론이 설해져 있다. 화엄경에는 여래를 중심으로 40부류의 위요대중(圍繞大衆), 보현과 문수를 위시한 대보살들, 그리고 선재동자와 53선지식 등이 등장한다. 이들을 통해 인과와 연기, 이치에 맞고 참다움에 근거한 법계의 제반 현상을 설하고, 더불어 불가사의한 중중무진의 세계를 펼쳐보인다.
화엄교학 강론의 구성
『화엄교학 강론』은 전체 6장과 부록으로 구성되었다.
제1장 「화엄경의 성립과 전래」는 화엄경의 성립 배경과 현존 문헌, 명칭과 해석, 각 품의 개요를 담았다. 먼저 경전 내용을 알고 친숙해지도록 화엄경의 전반적인 내용을 개괄하고 요점을 정리하였다. 발췌된 화엄경의 핵심 경문도 만날 수 있다. 보다 깊이 있는 화엄경 공부를 위해 한문 경전의 원문도 함께 수록하였다.
제2장 「화엄의 불신론과 세계관」은 화엄의 불신론(佛身論)과 견불의(見佛義), 여래의 10종 광명, 여래의 출현과 성기법문(性起法門), 세계성취와 화장세계에 대해서 서술하였다. 화엄경에 나타나 있는 부처님과 그 세계에 대해서 논한 것이다.
제3장 「화엄 선지식론」에서는 화엄경의 주역(主役)으로 등장하는 선지식(善知識)들을 정리하였다. 여래를 대신하여 중생을 구제하려고 노력하는 선각자의 행위가 ‘선지식’이라는 이름으로 중요하게 다뤄지는 것이 화엄경의 특색이다. 선재동자가 문수보살에게 감동하고 미륵보살의 격려에 힘입어서 보현보살과 동체(同體)가 되는 광경, 여래의 세계에 합일(合一)하게 한 구법자(求法者)와 선지식의 역할 등이 돋보이다. 특히 선재동자가 만난 53선지식 가운데 무려 21명이나 되는 여성선지식의 명칭과 법문을 일일이 표로 정리한 것이 인상적이다. 이것은 평소 여성문제에 관심이 많은 저자의 의도가 반영된 지점이라고 할 수 있다.
제4장 「화엄의 기본 교의」는 화엄의 분과(分科), 종취(宗趣), 교판(敎判)을 시작으로 화엄삼매, 화엄 유심의(唯心義)와 십중유식(十重唯識), 화엄법계의, 『화엄법계관문』등을 다루었다.
제5장 「화엄 원융교의」는 특히 ‘원융(圓融)’에 중점을 두고 별도로 장(章)을 만들었다. 원융의 기본은 「십지품」 초환희지의 ‘육상원융’을 시작으로 지엄이 창안한 ‘십현문’, 법장의 교의 등을 서술하였다. 그리고 화엄중도와 불이법문(不二法門)을 고찰하고, 「십지품」의 ‘평등(平等)’ 개념을 중시하여 원융, 무애, 중도, 불이 등을 화엄 원융의(圓融義)로 서술하였다.
제6장 「화엄 수행론」은 화엄의 공관(空觀)과 공행(空行), 화엄 보리심론, 화엄 신심론(信心論), 화엄계학을 연구하였다. 본각 스님은 화엄을 건립하는 수행의 토양이 바로 공관(空觀)과 공행(空行)이라고 본다. 공행의 토양 위에 보리심의 씨앗을 심고 신심(信心)으로 다져 나가야 된다고 믿는 것이다. 그리고 보살의 수행 계위를 거쳐서 불과(佛果)에 오른 다음 불과를 장엄하는 힘이 화엄의 계학(戒學)이라고 설정하고 있다.
마지막 부록에는 화엄을 공부하는 데에 꼭 살펴보아야 할 경문과 필요한 문헌 및 교의를 정리하였다. 특히 『60권본 화엄경』과 『80권본 화엄경』을 대조하여 정리한 「이세간품」의 2천 가지 행문(行門)은 독자로 하여금 환희심을 일으키기에 충분하다.
또한 초심자를 위해 한국불교의 의례(儀禮)에서 사용되는 「법성게」와 「약찬게」를 담고, 후학의 공부에 보탬이 되도록 화엄경의 품명 비교표, 각 경전에서의 수행계위, 『법계안립도』 등도 수록했다.
작가 소개
저 : 본각
육년 스님을 은사로 모시고 출가했다. 동국대학교 철학과와 봉녕사 승가대학 대교과를 졸업했고, 일본 릿쇼立正대학에서 석사 과정을 마친 뒤 고마자와駒澤대학에서 불교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중앙승가대학교 명예교수, 대한불교조계종 고시위원, 학교법인 승가학원 이사, 샤카디타 한국지부 공동대표, 전국비구니회 부회장, 봉녕사승가대학 화엄반 교수, 금륜사 주지로 수행 정진 중이다.
저서로는 『진리의 숲 법구경 이야기』, 『華嚴觀法の基礎的硏究』, 『華嚴經十地品槪說』, 『한국 비구니의 수행과 삶』(공저)이 있고, 『비구니와 여성불자』, 『한국 비구니 수행담록』, 『한국 비구니 명감』, 『신문기사로 본 한국 근·현대 비구니 자료집』 등을 펴냈다.
현대 불교 발전에 기여한 공로로 제6회 대원상 대상을 수상한 바 있다.
목 차
제1장 『화엄경』의 성립과 전래
제1절 『화엄경』의 성립 배경
제2절 『화엄경』 현존 문헌
제3절 『화엄경』의 명칭과 그 해석
제4절 80권본 『화엄경』 6회 26품의 개요
제2장 화엄의 불신론과 세계관
제1절 불신(佛身)의 개관
1. 불신론(佛身論)의 정의
2. 제 경론에서의 불신론
제2절 화엄 십신불
1. 『화엄경』에서의 불신론
2. 화엄교학의 불신론
3. 화엄 견불의(見佛義)
제3절 여래 10종 광명
1. 지상법회(地上法會)의 방광(放光)
2. 천상법회(天上法會)의 방광
제4절 여래출현과 성기법문
1. 여래출현과 여래장의 문제
2. ‘성기’의 번역어 및 용어 검토
3. 「여래출현품」의 내용
4. 성기사상의 성립
5. 법장의 정리
6. 「성기품」 주요 경문(60권본과 80권본 비교)
제5절 세계성취와 화장세계
1. 우주의 성립과 『화엄경』 「세계성취품」
2. ‘여래의 신력’으로 성취된 다중우주
3. 중생의 행업과 우주 환경의 문제
4. 보현행원과 ‘위대한 설계’
5. 화장세계의 광경
6. 화장세계의 의미
제3장 화엄 선지식론
제1절 보살 선지식
1. 보현보살
2. 문수보살
3. 관자재보살
제2절 비구와 비구니 선지식
1. 덕운비구 선지식의 법문
2. 해운비구 선지식의 법문
3. 선주비구 선지식의 법문
4. 해당비구 선지식의 법문
5. 선견비구 선지식의 법문
6. 사자빈신비구니 설법
제3절 신중 선지식
1. 다양한 신(神)의 개념
2. 화엄신중의 위상과 그 역할
3. 선지식 신중의 위상과 그 역할
제4절 여성 선지식
제5절 53선지식의 명칭과 법문
제4장 화엄 기본 교의
제1절 화엄 분과설과 종취 및 교판
1. 화엄의 분과설
2. 화엄의 종취설
3. 화엄의 교판설
제2절 화엄 삼매의
1. 각 회의 대표 삼매
2. 『입법계품』의 1백 삼매
3. 해인삼매의 위상
4. 「십정품」의 10종 삼매
제3절 화엄 유심의
1. 「야마천궁보살설게품」의 유심
2. 「십지품」 제6 현전지의 유심
3. ‘삼계유심’의 주석
4. 10중 유식의 창안
5. 10중 유식의 연기적 의미
6. 법장 이후의 10중 유식의 전개
제4절 화엄 법계의
1. ‘법(法)’의 의미
2. 존재 일반으로서의 연기법
3. 보편적 이법(理法)으로서의 법 개념
4. ‘계(界)’의 의미에 대한 탐구
5. ‘법계(法界)’에 대한 정의
6. 화엄교학에 있어서 ‘법계’의 의미
제5장 화엄 원융교의
제1절 육상원융의
1. 육상원융의 전거
2. 육상원융의 의의
제2절 십현연기 무애법문
1. 십현문의 창안
2. 각 문헌에서의 십현문
3. 십현문의 해석
4. 법장의 법계연기 사상
제3절 연기인문육의
1. 연기인문육의의 연원
2. 연기인문육의의 해석
제4절 삼성원융의
1. 유식의 삼성설
2. 유식사상의 삼성과 삼무성
3. 화엄의 삼성 육의의(六義義)
제5절 원융과 상즉의 관계
1. 화엄 원융의 의미
2. 상즉의 논리적 구조
3. 상즉의 사상적 전개
제6절 삼성원융관문
1. 『삼성원융관문(三聖圓融觀門)』의 문헌적 특징
2. 『삼성원융관문』 과문
3. 문수와 보현의 역할
4. 비로자나법계
5. 삼성과 법성의 원융
제6장 화엄 수행론
제1절 공관과 공행
1. 반야 공관
2. 화엄 공행
3. 화엄 공관의 전개
제2절 화엄 보리심론
1. 발보리심 경문
2. 「입법계품」의 보리심 법문
제3절 화엄 신심론(信心論)
1. 화엄의 ‘신(信)’의 용례
2. 「십지품」에서의 신(信)의 의미
3. 한역 『화엄경』 각 품에서의 신(信)의 용례
4. 화엄교학에서의 ‘신(信)’에 대한 해석
제4절 화엄 계학
1. 계학과 관련된 화엄경류
2. 『화엄경』 관련 경전의 계학
3. 화엄경류 계학의 특성
4. 삼취정계의 내용
5. 화엄계학의 사상적 특성
부록
1. 각 품의 품명 비교표
2. 5주(周) 인과 도표
3. 「이세간품」의 2천 행문
4. 범본 『화엄경』 「입법계품」의 구성과 53선지식 법문
5. 화엄 광명에 대한 주석
6. 『법계안립도』
7. 대승의 세계관
8. 법성게(法性偈)
9. 화엄경약찬게(華嚴經略纂偈)
10. 보살 수행계위
찾아보기
- 단순 변심인 경우 : 상품 수령 후 7일 이내 신청
- 상품 불량/오배송인 경우 : 상품 수령 후 3개월 이내, 혹은 그 사실을 알게 된 이후 30일 이내 반품 신청 가능
반품사유 | 반품 배송비 부담자 |
---|---|
단순변심 | 고객 부담이며, 최초 배송비를 포함해 왕복 배송비가 발생합니다. 또한, 도서/산간지역이거나 설치 상품을 반품하는 경우에는 배송비가 추가될 수 있습니다. |
고객 부담이 아닙니다. |
진행 상태 | 결제완료 | 상품준비중 | 배송지시/배송중/배송완료 |
---|---|---|---|
어떤 상태 | 주문 내역 확인 전 | 상품 발송 준비 중 | 상품이 택배사로 이미 발송 됨 |
환불 | 즉시환불 | 구매취소 의사전달 → 발송중지 → 환불 | 반품회수 → 반품상품 확인 → 환불 |
- 결제완료 또는 배송상품은 1:1 문의에 취소신청해 주셔야 합니다.
- 특정 상품의 경우 취소 수수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결제수단 | 환불시점 | 환불방법 |
---|---|---|
신용카드 | 취소완료 후, 3~5일 내 카드사 승인취소(영업일 기준) | 신용카드 승인취소 |
계좌이체 |
실시간 계좌이체 또는 무통장입금 취소완료 후, 입력하신 환불계좌로 1~2일 내 환불금액 입금(영업일 기준) |
계좌입금 |
휴대폰 결제 |
당일 구매내역 취소시 취소 완료 후, 6시간 이내 승인취소 전월 구매내역 취소시 취소 완료 후, 1~2일 내 환불계좌로 입금(영업일 기준) |
당일취소 : 휴대폰 결제 승인취소 익월취소 : 계좌입금 |
포인트 | 취소 완료 후, 당일 포인트 적립 | 환불 포인트 적립 |
- 단순변심으로 인한 반품 시, 배송 완료 후 7일이 지나면 취소/반품 신청이 접수되지 않습니다.
- 주문/제작 상품의 경우, 상품의 제작이 이미 진행된 경우에는 취소가 불가합니다.
- 구성품을 분실하였거나 취급 부주의로 인한 파손/고장/오염된 경우에는 취소/반품이 제한됩니다.
- 제조사의 사정 (신모델 출시 등) 및 부품 가격변동 등에 의해 가격이 변동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반품 및 가격보상은 불가합니다.
- 뷰티 상품 이용 시 트러블(알러지, 붉은 반점, 가려움, 따가움)이 발생하는 경우 진료 확인서 및 소견서 등을 증빙하면 환불이 가능하지만 이 경우, 제반 비용은 고객님께서 부담하셔야 합니다.
- 각 상품별로 아래와 같은 사유로 취소/반품이 제한 될 수 있습니다.
상품군 | 취소/반품 불가사유 |
---|---|
의류/잡화/수입명품 | 상품의 택(TAG) 제거/라벨 및 상품 훼손으로 상품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된 경우 |
계절상품/식품/화장품 | 고객님의 사용, 시간경과, 일부 소비에 의하여 상품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
가전/설치상품 | 전자제품 특성 상, 정품 스티커가 제거되었거나 설치 또는 사용 이후에 단순변심인 경우, 액정화면이 부착된 상품의 전원을 켠 경우 (상품불량으로 인한 교환/반품은 AS센터의 불량 판정을 받아야 합니다.) |
자동차용품 | 상품을 개봉하여 장착한 이후 단순변심의 경우 |
CD/DVD/GAME/BOOK등 | 복제가 가능한 상품의 포장 등을 훼손한 경우 |
상품의 시리얼 넘버 유출로 내장된 소프트웨어의 가치가 감소한 경우 | |
노트북, 테스크탑 PC 등 | 홀로그램 등을 분리, 분실, 훼손하여 상품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하여 재판매가 불가할 경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