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소개
『진리(眞理)란 무엇인가?』, 교리가 아닌 선의 입장에서 고따마 붓다와 부처님과 선불교 전체를 망라하여 불교의 진리를 설한 책. 다시 말하면 선(禪)에서 본 ‘불교의 진리관을 담은 책’이라고 할 수 있다. 보통 불교의 진리라고 하면 삼법인, 사성제, 십이연기 등 불교 교리를 연상한다. 하지만 이 책의 저자인 불광사 혜담 스님은 철학과 종교의 문턱을 넘나들며, 교리(敎理)가 아닌 선(禪)의 관점에서 진리에 대해 일목요연하게 설명, 대중들이 알기 쉽게 진리를 체득하고 실천하는 길을 열어주고 있다.
불교와 이웃종교의 대화의 접점을 선(禪)에서 찾는 데서도 알 수 있듯이 이즈음 선은 종교를 초월하여 진리를 찾는 보편적 수행체계로 각광 받고 있는 상황이기에 더욱 독자의 눈길을 끈다.
산에 오르는 길이 여럿이듯 진리로 향하는 길은 여럿일 수 있겠지만, ‘참된 이치, 우주의 근원적 원리’라고 풀이하고 있는 국어사전의 낱말 뜻을 생각하면 진리는 동일해야 할 것이다. 그런데 종교, 철학, 사상, 심지어 과학조차도 제각각 진리에 대해 다른 견해를 내세우고 있다. 그 견해가 너무나도 다양해서 정작 진리에 대해 제대로 알고 있는 이가 드물다.
오늘날 인류 역사상 전례 없는 물질적인 풍요와 반비례해서 정신적으로 더욱 피폐하고 각박해진 데는 진리에 대한 혼동과 그로 인해 눈에 보이고 손에 잡히는 무상(無常)한 물질이나 명예, 권력 탐닉을 당연시하는 사회 분위기가 한 몫 하지 않았을까 싶다.
이 책은 진리에 대한 바른 가치관 정립이 절실한 상황에서 선어록과 대소승 경전을 통해 체계적이고 구체적으로 ‘진리란 무엇인가?’에 대해 의문을 품은 사람들의 궁금증을 해소해 주고, 삶의 참된 이치에서 나아가 바르게 살아가는 길을 제시하고 있다.
선의 관점에서 불교 진리를 밝히다!
이 책 집필의 원동력은 광덕 스님의 말씀
“인간 삶의 의미를 찾는 종교가 불교이고, 불교가 발견한 삶의 의미를 체득하기 위해서 부처를 찾는 행위를 선수행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입니다. (중략)
소납도 한 30여 년 전에 해오의 상사각을 진정한 깨달음으로 착각하여 기고만장하던 때가 있었습니다만… 말할 수 없는 도리라고 해서 언제까지나 입을 다물 것이 아니라는 생각에서 허물인 줄 알면서도 사족을 붙여보게 된 것입니다.”
-본문 중에서
이 책의 저자인 혜담 스님은 광덕 스님(불광사 불광법회 법주)의 제자로서 일찍이 일본으로 유학하여 오래도록 ‘공사상(空思想)’ ‘반야사상’을 연구해 왔다. 귀국 후에는 수십 년 동안 선수행을 하는 한편 도심포교 도량으로 유명한 불광사에서 대중들에게 법을 설하고 지도해 온 이사(理事)를 겸비한 분이다.
혜담 스님은 이 책 진리란 무엇인가를 집필할 수 있게 된 원동력이 광덕 스님임을 토로한다.
“부처님은 법신(法身)이다. 번뇌가 다한, 번뇌가 끊어진 것이 아니라 번뇌가 본래 없다는 것을 알아버린 것이다. 즉 실제로 부처님께서 깨달은 법문은 상(常)ㆍ락(樂)ㆍ아(我)ㆍ정(淨)이다. 사람의 본성이 법신이고 부처님의 진리로서 자기 생명을 갖춘 자리고 불성이고 법성이다. 그런 몸인 까닭에 이 진리의 세계에서 보면 진리는 무상한 것도 아니요, 고통스러운 것도 아니요, 아(我)가 없는 것도 아니요, 더러운 것도 아니고 오히려 그 반대이다. 사람의 본성은 떳떳한 것이며 변치 않는 것이다. 나의 진실생명의 세계는 떳떳한 것이며 변치 않는 것이고 즐거운 것이지 고통이 아니다. 나는 무아(無我)가 아니라 진실한 불성으로서의 자신이 있는 것으로 그것은 지극히 청정한 것이다.”라고 하신 광덕 스님의 말씀이 반야바라밀과 조사스님들이 남긴 화두를 혜담 스님 나름의 눈으로 볼 수 있는 눈을 열어주었고, 그 덕분에 이 책을 집필할 수 있게 되었다는 것이다.
광덕 스님의 영향을 받고 반야공사상과 선수행에 천착한 혜담 스님은 모든 사람이 뿌리로 들어가면 진리 본성뿐이라는 것을 증명해 주신 분이 바로 부처님이라고 역설한다. ‘붓다와 마음, 진리의 실현’이라는 부제에서 엿볼 수 있듯 불교 교리로 진리를 설명하지 않고 선의 관점에서 불교 진리를 설한 것도 바로 그 때문이다. 1장과 2장에서는 진리 자체인 붓다와 마음에 대해 선적인 관점에서 참된 불교의 진리를 보여주고, 3장에서는 진리의 세계인 법계(法界)의 동력(動力)이 지혜에서 나온 대자비임을 강조하면서 진리란 무엇인가? 삶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고뇌의 궁극적인 목표는 지혜 자비의 실천에 있음을 구체적으로 밝히고 있다.
불교 교리적인 해설 없이 오직 붓다와 마음, 진리의 실현에 대해 당송 시대 조사, 선지식들과 선승들이 남긴 선어록과 화두, 공안을 불교의 진리와 일치시켜서 설명, 독자들로 하여금 선수행의 세계로 이끌어 주고 있다.
진리 자체인 ‘부처’를 찾는 선수행
이 책의 1장은 붓다의 장이다. 첫머리에 ‘불교라는 방편’이라는 소제목이 눈길을 끈다. 이웃종교는 “나는 길이요, 진리요, 생명”임을 강조한다. 하지만 불교는 진리를 뗏목에 비유하면서 진리에도 집착하지 말라고 가르친다. 그래서 ‘불교라는 방편’이라는 말이 불자들에게는 낯설지는 않다. 그래도 불교 교리, 신앙형태, 수행방법이 너무나 다양하여 불교의 참다운 가르침, 불교의 진리가 무엇인지 여전히 어렵기만 하다. 방편이라는 말도 가지각색으로 받아들인다. 혜담 스님이 방편에 대해 먼저 설명하는 것도 바로 그런 이유에서다.
“방편이란 반야바라밀을 구족해서 제법이 공(空)인 것을 알고 대비심(大悲心)에 연유해서 중생을 불쌍히 여기는 것이다. 이 법공(法空)과 중생애(衆生愛) 두 가지 법에 있어서 방편의 힘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염착을 내지 않는다. (하략)”
- 본문 20쪽
혜담 스님은 『대지도론』에 의거해서 방편을 대지방편(모든 법이 공한 것을 아는 지혜 방편)과 대비방편(대비심으로 중생을 사랑하고 버리지 않는 방편) 두 가지로 나누어 설명하면서도 대지(大智)에 의해 모든 중생이 같은 생명임이 체득되었을 때 대비심은 자연히 일어나게 된다면서 두 가지가 나뉠 수 없는 것임을 일깨워주고 있다. 한편 대지방편의 입장에서 부처와 불교의 개념을 정리함으로써 진리에 대해 체계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운문 선사가 부처라고 대답한 ‘똥 젓는 막대기[간시궐]’에는 인간은 본래 죄가 없다는 인간 무죄의 선언이 자리 잡고 있습니다. 참 성품밖에 다른 것은 없습니다.” -본문 92쪽
부처를 찾는 행위인 선수행의 이론과 실천 방법을 설명하고 있는 벽암록, 무문관 등 여러 선어록에서 법안종을 창시한 법안 선사, 조동종을 창시한 동산 화상, 운문종을 창시한 운문 선사, 조사선을 확립한 마조 선사 등의 일화를 가려 뽑고 그 안에 깃든 불교의 진리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해 주고 있다.
혜담 스님이 이 책에서 초지일관 강조하는 것은 모든 사람이 뿌리로 들어가면 진리본성뿐이라는 것이다. 신을 믿는 종교와 불교의 가장 다른 점은 인간관, 진리관인데 불교에서는 부처님과 인간이 똑같은 불성, 참 성품을 가진 존재임을 역설한다.
“모든 것은 인연이 화합해서 생기는 까닭에 사물에는 제 성품[自性]이 없는 것이다. 만약 제 성품이 없다면 이것을 법이 없음이라고 말한다. 이러한 까닭에 수보리야, 보살마하살은 마땅히 일체 모든 것은 본성이 없다고 알아야 한다. 왜냐하면 일체 모든 것은 본성이 공한 때문이니……” -『대품반야경』 「도수품」
한편 위와 같은 경전 내용을 언급, 일체 존재와 현상이 공하다는 것을 책상의 예를 통해 “책상은 많은 부분이 모여서 된 복합적인 것으로 결코 실체가 있는 단일한 것이라 말할 수 없다. 단지 이름만 있을 뿐이다.”라고 설명하면서 이러한 깨달음은 공의 체득으로 귀결된다는 것을 밝히고 있다. 깨달음과 반야바라밀 그리고 공(空)사상은 불가분의 관계에 있으며, 간화선 수행은 반야바라밀을 증득하는 과정임을 거듭 강조하고 있다.
마음이란 무엇인가?
불교는 마음의 종교라고 한다. 화엄경에서는 일체유심조, 모든 것을 마음이 만들었다고 하고, 심즉시불(心卽是佛), 마음이 곧 부처라고 한다. 혜담 스님은 이 책의 2장에서 붓다의 핵심적인 가르침인 반야를 마음이라는 이름으로 정리하면서 이 모든 것이 선불교의 입각처라는 것을 천명하고 있다.
조사스님들이 남긴 선어록의 화두를 스님 나름의 안목으로 읽어내고, 선수행을 하면서 일체유심조의 마음이 불성(佛性)이고, 반야바라밀이 바로 공(空)인 사실을 확인했다는 혜담 스님은 “일체유심조의 의미를 알기 위해서 끊임없이 노력하고 수행하다보면 어느 날에 분명히 그대 앞에 이 말이 거짓이 아님이 나타날 것입니다. 바로 그때 그대에게 고통의 바다인 이 세상[苦海]을 헤쳐 나갈 수 있는 불자로서의 안목이 생기게 됩니다.”라고 역설하고 있다.
진리의 실현이야말로 불교 수행의 궁극적 목적
“대비(大悲)는 대지(大智)로부터 나오고 대지는 대비를 일으키는 원동력이 됩니다. 원래 하나의 물건입니다만, 분별지의 입장에서 말할 때 두 개의 물건으로 있는 것처럼 나누는 것입니다.”
-본문 224쪽
불교를 떠받치는 큰 기둥은 반야와 대비이다. 특히 혜담 스님은 진리의 세계인 법계(法界)는 대비(大悲)를 동력으로 움직인다는 것을 강조한다. 스님은 진리의 실현, 즉 대자대비를 실천할 때 우리가 서 있는 바로 지금 이 자리가 극락정토라는 것을 거듭 밝히고 있다.
“어떤 종교에서는 창조주인 신(神)이 ‘네 이웃을 사랑하라’라고 말했기 때문에 다른 사람을 사랑해야 한다는 말을 들은 적이 있습니다만, 불교의 입장도 그런 것일까요? 그렇지는 않습니다. 이것은 부모가 자식에게 자연스런 대비심이 왜 일어나는가를 보면 알 수 있는 문제입니다. 그것은 부모가 자식이 자신과 같은 몸[同一生命]임을 본성적으로 체득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본문 223쪽
한편 스님은 기독교의 사랑과 불교의 자비가 같은 것이라고 생각하고, 이 종교나 저 종교나 다 같다고 하는 이들이 많아서인지 이 책에서 이웃종교와 독자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위와 같이 비교해서 설명하는 대목이 간혹 보인다. 우리가 스스로 부처님과 똑같은 불성을 가진 존재임을 깨닫기 위해서, 더 나아가 대자대비를 실천하기 위해서라도 깨달음을 얻기 위한 수행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 수행을 해서 부처가 되는 것이 아니라 수행을 통해 우리가 본래 부처라는 것을 알고 우리와 똑같은 또 다른 부처들을 위해 대자대비행을 실천하는 삶이 진리의 실현임을 거듭거듭 강조하고 있다.
이 책은 ‘진리란 무엇인가? 삶이란 무엇인가?’에 대해 의문을 품은 이들의 궁금증을 해소해 주는 한편 진리, 삶, 수행의 궁극적인 목적이 지혜 자비의 실천에 있음을 확실하게 보여주고 있다. 지난 10년 동안 불교 인구가 300만이 감소되었다고 한다. 그 원인이 어디에 있는지, 바로 지금 이 자리에서 우리가 무엇을 해야 하는지 이 책을 통해 알 수 있을 것이다. 그 답은 진리의 실현, 지혜 자비의 실천, 우리 모두 부처임을 자각하고 부처의 마음으로, 부처의 행동을 실천하는 데에 있지 않을까.
산에 오르는 길이 여럿이듯 진리로 향하는 길은 여럿일 수 있겠지만, ‘참된 이치, 우주의 근원적 원리’라고 풀이하고 있는 국어사전의 낱말 뜻을 생각하면 진리는 동일해야 할 것이다. 그런데 종교, 철학, 사상, 심지어 과학조차도 제각각 진리에 대해 다른 견해를 내세우고 있다. 그 견해가 너무나도 다양해서 정작 진리에 대해 제대로 알고 있는 이가 드물다.
오늘날 인류 역사상 전례 없는 물질적인 풍요와 반비례해서 정신적으로 더욱 피폐하고 각박해진 데는 진리에 대한 혼동과 그로 인해 눈에 보이고 손에 잡히는 무상(無常)한 물질이나 명예, 권력 탐닉을 당연시하는 사회 분위기가 한 몫 하지 않았을까 싶다.
이 책은 진리에 대한 바른 가치관 정립이 절실한 상황에서 선어록과 대소승 경전을 통해 체계적이고 구체적으로 ‘진리란 무엇인가?’에 대해 의문을 품은 사람들의 궁금증을 해소해 주고, 삶의 참된 이치에서 나아가 바르게 살아가는 길을 제시하고 있다.
선의 관점에서 불교 진리를 밝히다!
이 책 집필의 원동력은 광덕 스님의 말씀
“인간 삶의 의미를 찾는 종교가 불교이고, 불교가 발견한 삶의 의미를 체득하기 위해서 부처를 찾는 행위를 선수행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입니다. (중략)
소납도 한 30여 년 전에 해오의 상사각을 진정한 깨달음으로 착각하여 기고만장하던 때가 있었습니다만… 말할 수 없는 도리라고 해서 언제까지나 입을 다물 것이 아니라는 생각에서 허물인 줄 알면서도 사족을 붙여보게 된 것입니다.”
-본문 중에서
이 책의 저자인 혜담 스님은 광덕 스님(불광사 불광법회 법주)의 제자로서 일찍이 일본으로 유학하여 오래도록 ‘공사상(空思想)’ ‘반야사상’을 연구해 왔다. 귀국 후에는 수십 년 동안 선수행을 하는 한편 도심포교 도량으로 유명한 불광사에서 대중들에게 법을 설하고 지도해 온 이사(理事)를 겸비한 분이다.
혜담 스님은 이 책 진리란 무엇인가를 집필할 수 있게 된 원동력이 광덕 스님임을 토로한다.
“부처님은 법신(法身)이다. 번뇌가 다한, 번뇌가 끊어진 것이 아니라 번뇌가 본래 없다는 것을 알아버린 것이다. 즉 실제로 부처님께서 깨달은 법문은 상(常)ㆍ락(樂)ㆍ아(我)ㆍ정(淨)이다. 사람의 본성이 법신이고 부처님의 진리로서 자기 생명을 갖춘 자리고 불성이고 법성이다. 그런 몸인 까닭에 이 진리의 세계에서 보면 진리는 무상한 것도 아니요, 고통스러운 것도 아니요, 아(我)가 없는 것도 아니요, 더러운 것도 아니고 오히려 그 반대이다. 사람의 본성은 떳떳한 것이며 변치 않는 것이다. 나의 진실생명의 세계는 떳떳한 것이며 변치 않는 것이고 즐거운 것이지 고통이 아니다. 나는 무아(無我)가 아니라 진실한 불성으로서의 자신이 있는 것으로 그것은 지극히 청정한 것이다.”라고 하신 광덕 스님의 말씀이 반야바라밀과 조사스님들이 남긴 화두를 혜담 스님 나름의 눈으로 볼 수 있는 눈을 열어주었고, 그 덕분에 이 책을 집필할 수 있게 되었다는 것이다.
광덕 스님의 영향을 받고 반야공사상과 선수행에 천착한 혜담 스님은 모든 사람이 뿌리로 들어가면 진리 본성뿐이라는 것을 증명해 주신 분이 바로 부처님이라고 역설한다. ‘붓다와 마음, 진리의 실현’이라는 부제에서 엿볼 수 있듯 불교 교리로 진리를 설명하지 않고 선의 관점에서 불교 진리를 설한 것도 바로 그 때문이다. 1장과 2장에서는 진리 자체인 붓다와 마음에 대해 선적인 관점에서 참된 불교의 진리를 보여주고, 3장에서는 진리의 세계인 법계(法界)의 동력(動力)이 지혜에서 나온 대자비임을 강조하면서 진리란 무엇인가? 삶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고뇌의 궁극적인 목표는 지혜 자비의 실천에 있음을 구체적으로 밝히고 있다.
불교 교리적인 해설 없이 오직 붓다와 마음, 진리의 실현에 대해 당송 시대 조사, 선지식들과 선승들이 남긴 선어록과 화두, 공안을 불교의 진리와 일치시켜서 설명, 독자들로 하여금 선수행의 세계로 이끌어 주고 있다.
진리 자체인 ‘부처’를 찾는 선수행
이 책의 1장은 붓다의 장이다. 첫머리에 ‘불교라는 방편’이라는 소제목이 눈길을 끈다. 이웃종교는 “나는 길이요, 진리요, 생명”임을 강조한다. 하지만 불교는 진리를 뗏목에 비유하면서 진리에도 집착하지 말라고 가르친다. 그래서 ‘불교라는 방편’이라는 말이 불자들에게는 낯설지는 않다. 그래도 불교 교리, 신앙형태, 수행방법이 너무나 다양하여 불교의 참다운 가르침, 불교의 진리가 무엇인지 여전히 어렵기만 하다. 방편이라는 말도 가지각색으로 받아들인다. 혜담 스님이 방편에 대해 먼저 설명하는 것도 바로 그런 이유에서다.
“방편이란 반야바라밀을 구족해서 제법이 공(空)인 것을 알고 대비심(大悲心)에 연유해서 중생을 불쌍히 여기는 것이다. 이 법공(法空)과 중생애(衆生愛) 두 가지 법에 있어서 방편의 힘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염착을 내지 않는다. (하략)”
- 본문 20쪽
혜담 스님은 『대지도론』에 의거해서 방편을 대지방편(모든 법이 공한 것을 아는 지혜 방편)과 대비방편(대비심으로 중생을 사랑하고 버리지 않는 방편) 두 가지로 나누어 설명하면서도 대지(大智)에 의해 모든 중생이 같은 생명임이 체득되었을 때 대비심은 자연히 일어나게 된다면서 두 가지가 나뉠 수 없는 것임을 일깨워주고 있다. 한편 대지방편의 입장에서 부처와 불교의 개념을 정리함으로써 진리에 대해 체계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운문 선사가 부처라고 대답한 ‘똥 젓는 막대기[간시궐]’에는 인간은 본래 죄가 없다는 인간 무죄의 선언이 자리 잡고 있습니다. 참 성품밖에 다른 것은 없습니다.” -본문 92쪽
부처를 찾는 행위인 선수행의 이론과 실천 방법을 설명하고 있는 벽암록, 무문관 등 여러 선어록에서 법안종을 창시한 법안 선사, 조동종을 창시한 동산 화상, 운문종을 창시한 운문 선사, 조사선을 확립한 마조 선사 등의 일화를 가려 뽑고 그 안에 깃든 불교의 진리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해 주고 있다.
혜담 스님이 이 책에서 초지일관 강조하는 것은 모든 사람이 뿌리로 들어가면 진리본성뿐이라는 것이다. 신을 믿는 종교와 불교의 가장 다른 점은 인간관, 진리관인데 불교에서는 부처님과 인간이 똑같은 불성, 참 성품을 가진 존재임을 역설한다.
“모든 것은 인연이 화합해서 생기는 까닭에 사물에는 제 성품[自性]이 없는 것이다. 만약 제 성품이 없다면 이것을 법이 없음이라고 말한다. 이러한 까닭에 수보리야, 보살마하살은 마땅히 일체 모든 것은 본성이 없다고 알아야 한다. 왜냐하면 일체 모든 것은 본성이 공한 때문이니……” -『대품반야경』 「도수품」
한편 위와 같은 경전 내용을 언급, 일체 존재와 현상이 공하다는 것을 책상의 예를 통해 “책상은 많은 부분이 모여서 된 복합적인 것으로 결코 실체가 있는 단일한 것이라 말할 수 없다. 단지 이름만 있을 뿐이다.”라고 설명하면서 이러한 깨달음은 공의 체득으로 귀결된다는 것을 밝히고 있다. 깨달음과 반야바라밀 그리고 공(空)사상은 불가분의 관계에 있으며, 간화선 수행은 반야바라밀을 증득하는 과정임을 거듭 강조하고 있다.
마음이란 무엇인가?
불교는 마음의 종교라고 한다. 화엄경에서는 일체유심조, 모든 것을 마음이 만들었다고 하고, 심즉시불(心卽是佛), 마음이 곧 부처라고 한다. 혜담 스님은 이 책의 2장에서 붓다의 핵심적인 가르침인 반야를 마음이라는 이름으로 정리하면서 이 모든 것이 선불교의 입각처라는 것을 천명하고 있다.
조사스님들이 남긴 선어록의 화두를 스님 나름의 안목으로 읽어내고, 선수행을 하면서 일체유심조의 마음이 불성(佛性)이고, 반야바라밀이 바로 공(空)인 사실을 확인했다는 혜담 스님은 “일체유심조의 의미를 알기 위해서 끊임없이 노력하고 수행하다보면 어느 날에 분명히 그대 앞에 이 말이 거짓이 아님이 나타날 것입니다. 바로 그때 그대에게 고통의 바다인 이 세상[苦海]을 헤쳐 나갈 수 있는 불자로서의 안목이 생기게 됩니다.”라고 역설하고 있다.
진리의 실현이야말로 불교 수행의 궁극적 목적
“대비(大悲)는 대지(大智)로부터 나오고 대지는 대비를 일으키는 원동력이 됩니다. 원래 하나의 물건입니다만, 분별지의 입장에서 말할 때 두 개의 물건으로 있는 것처럼 나누는 것입니다.”
-본문 224쪽
불교를 떠받치는 큰 기둥은 반야와 대비이다. 특히 혜담 스님은 진리의 세계인 법계(法界)는 대비(大悲)를 동력으로 움직인다는 것을 강조한다. 스님은 진리의 실현, 즉 대자대비를 실천할 때 우리가 서 있는 바로 지금 이 자리가 극락정토라는 것을 거듭 밝히고 있다.
“어떤 종교에서는 창조주인 신(神)이 ‘네 이웃을 사랑하라’라고 말했기 때문에 다른 사람을 사랑해야 한다는 말을 들은 적이 있습니다만, 불교의 입장도 그런 것일까요? 그렇지는 않습니다. 이것은 부모가 자식에게 자연스런 대비심이 왜 일어나는가를 보면 알 수 있는 문제입니다. 그것은 부모가 자식이 자신과 같은 몸[同一生命]임을 본성적으로 체득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본문 223쪽
한편 스님은 기독교의 사랑과 불교의 자비가 같은 것이라고 생각하고, 이 종교나 저 종교나 다 같다고 하는 이들이 많아서인지 이 책에서 이웃종교와 독자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위와 같이 비교해서 설명하는 대목이 간혹 보인다. 우리가 스스로 부처님과 똑같은 불성을 가진 존재임을 깨닫기 위해서, 더 나아가 대자대비를 실천하기 위해서라도 깨달음을 얻기 위한 수행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 수행을 해서 부처가 되는 것이 아니라 수행을 통해 우리가 본래 부처라는 것을 알고 우리와 똑같은 또 다른 부처들을 위해 대자대비행을 실천하는 삶이 진리의 실현임을 거듭거듭 강조하고 있다.
이 책은 ‘진리란 무엇인가? 삶이란 무엇인가?’에 대해 의문을 품은 이들의 궁금증을 해소해 주는 한편 진리, 삶, 수행의 궁극적인 목적이 지혜 자비의 실천에 있음을 확실하게 보여주고 있다. 지난 10년 동안 불교 인구가 300만이 감소되었다고 한다. 그 원인이 어디에 있는지, 바로 지금 이 자리에서 우리가 무엇을 해야 하는지 이 책을 통해 알 수 있을 것이다. 그 답은 진리의 실현, 지혜 자비의 실천, 우리 모두 부처임을 자각하고 부처의 마음으로, 부처의 행동을 실천하는 데에 있지 않을까.
작가 소개
부산 금정산 범어사에서 광덕 스님을 은사로 득도했다. 동국대학교 불교대학 승가학과를 졸업하였으며, 일본 불교대학 대학원 석사과정을 수료하였다. 칠불선원, 해인사 선원 등에서 참선 수행, 해군 군종법사 대위 전역하였다.
불광사 불광법회 지도법사?조계종 총무원 홍보실장?소청심사위원?호법부장?재심호계위원을 역임하였으며, 불교신문 논설위원?경향신문 정동칼럼 필진으로 깨달음의 글로써 대중과 소통하기도 했다.
역서 및 저서로 『대품반야경(상?하)』, 『불교 상식 백과(공저)』, 『반야불교신행론』, 『新 반야심경 강의』, 『한강의 물을 한입에 다 마셔라』, 『방거사 어록 강설』, 『행복을 창조하는 기도』, 『그대의 마음을 가져오라』 등이 있다.
목 차
•이 책을 쓰게 된 인연 •—•005
제1장 부처[佛·부처님·Buddha]
진리란 무엇인가 —•017
불교라는 방편(方便) —•017
불교(佛敎)라는 말의 의미 —•022
종교(宗敎)라는 말의 의미 —•027
붓다(Buddha)가 계시는 곳 —•034
불전(佛典)에 나타나 있는 고따마 붓다 —•034
고따마 붓다의 성불(成佛) —•039
고따마 붓다의 관조(觀照) 수행[觀修行 vipaśynā] —•043
부처[佛・부처님・uddha] —•047
부처[佛・부처님・uddha]를 찾는 선수행(禪修行) —•047
법안(法眼) 선사의 ‘그대는 혜초니라’ —•051
(1) 법안종을 창시한 법안 선사 —•051
(2) 법안 선사의 병정동자래구화(丙丁童子來求火) —•054
(3) 본칙에 대한 설두 선사의 송(頌) —•059
동산(洞山) 화상의 ‘삼 껍질 세 근[麻三斤]’ —•064
(1) 운문 선사의 법제자 동산수초 화상 —•064
(2) 본칙에 관한 원오 선사의 비평과 해설[評唱] —•065
(3) 본칙에 대한 설두 선사의 송(頌) —•068
운문(雲門) 선사의 ‘똥 젖는 막대기[乾屎橛]’ —•074
(1) 운문종을 창시한 운문 선사 —•074
(2) 똥 젖는 막대기[乾屎橛] —•075
(3) 청정법신(淸淨法身) 비로자나불 —•079
(4) 본칙에 대한 무문(無門) 선사의 송(頌) —•082
(5) 칠불통계게(七佛通戒偈)의 자정기의(自淨其意) —•084
(6) 인간무죄(人間無罪)의 선언 —•090
마조(馬祖) 선사의 ‘이 마음이 곧 부처이다[卽心卽佛]’ —•092
(1) 조사선을 확립한 마조 선사 —•092
(2) 대매법상(大梅法常) 선사의 깨달음 —•096
(3) 『마조록』 「시중(示衆)」의 첫 법문[Ⅰ] —•100
(4) 무문 선사의 평과 송 —•102
마조(馬祖) 선사의 ‘마음도 아니고 부처도 아니다[非心非佛]’ —•109
(1) 즉심즉불(卽心卽佛)과 비심비불(非心非佛) —•109
(2) 『마조록』 「시중(示衆)」의 첫 법문[Ⅱ] —•112
(3) 고따마 붓다의 중도 대 선언(中道大宣言) —•114
(4) 공사상(空思想)과 중도 —•118
(5) 일념도 얻을 것이 없다[無所得] —•122
(6) 마음도 아니고 부처도 아니다 —•126
(7) 삼계(三界)는 오직 마음일 뿐이다 —•129
제2장 마음[心]이란 무엇인가
지성(智性)의 세계와 본성(本性)의 세계 —•135
두 개의 마음 —•135
본성 세계의 실재성(實在性) —•139
무분별・무차별의 본성세계에서
불교적 삶이 시작된다 —•145
본성을 깨달아서 얻은 세계 —•151
무념무상(無念無想)과 반야(般若)의 삶 —•154
불교의 근본 뜻은 대상계를 초월하는 것 —•162
평등과 차별 —•162
만법(萬法)과 짝하지 않는 것 —•165
무차별・무분별의 본성적 직각(直覺) —•169
절대 그 자체가 홀연히 나타나다 —•173
불가사의(不可思議) 해탈 —•176
업보(業報)로부터의 해방 —•180
업사상(業思想)이란 무엇인가? —•180
인간과 업은 하나의 물건이다 —•186
업에 묶임은 업을 초월하는 본성적 충동이다 —•188
기도는 업(業)을 여의는 노력이다 —•190
존재의 근원 그 자체는 묶여 있지 않다 —•193
본성 속에 있는 세 갈래 성질 —•197
불락인과(不落因果)와 불매인과(不昧因果) —•197
본성의 세 갈래 성질은 합해져 있다 —•200
자각(自覺)은 인과법칙에 순응하는 것 —•203
일체의 사물이 존재하는 근본적인 의미 —•207
지성을 초월한다는 뜻 —•207
불매인과와 반야즉비의 논리 —•210
추위와 더위가 올 때는 어떻게 피해야 하나 —•213
인간은 우주보다 크다 —•215
제3장 진리의 실현[大悲]
지혜[智]와 자비[悲]가 한 개의 환(丸)으로 되어 있다 —•221
대지(大智)와 대비(大悲) —•221
대지(大智)가 곧 대비(大悲)이다 —•223
본성적 직각은 동태적(動態的)이다 —•226
법계(法界)의 동력은 대비심 —•226
초월적·종교적 생활의 소식 —•229
인간은 도덕만으로 살 수 없다 —•231
대사일번(大死一番) —•231
본성적 직각의 세계, 사람을 위하고
중생을 제도하는 장소 —•234
아미타의 원력과 정토의 장엄(莊嚴) —•237
중생을 구하고자 하는 것이 당면의 문제 —•240
대비심이 적면(覿面)에서 체득(體得)되지 않는 한
법계의 풍광은 없다 —•243
- 단순 변심인 경우 : 상품 수령 후 7일 이내 신청
- 상품 불량/오배송인 경우 : 상품 수령 후 3개월 이내, 혹은 그 사실을 알게 된 이후 30일 이내 반품 신청 가능
반품사유 | 반품 배송비 부담자 |
---|---|
단순변심 | 고객 부담이며, 최초 배송비를 포함해 왕복 배송비가 발생합니다. 또한, 도서/산간지역이거나 설치 상품을 반품하는 경우에는 배송비가 추가될 수 있습니다. |
고객 부담이 아닙니다. |
진행 상태 | 결제완료 | 상품준비중 | 배송지시/배송중/배송완료 |
---|---|---|---|
어떤 상태 | 주문 내역 확인 전 | 상품 발송 준비 중 | 상품이 택배사로 이미 발송 됨 |
환불 | 즉시환불 | 구매취소 의사전달 → 발송중지 → 환불 | 반품회수 → 반품상품 확인 → 환불 |
- 결제완료 또는 배송상품은 1:1 문의에 취소신청해 주셔야 합니다.
- 특정 상품의 경우 취소 수수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결제수단 | 환불시점 | 환불방법 |
---|---|---|
신용카드 | 취소완료 후, 3~5일 내 카드사 승인취소(영업일 기준) | 신용카드 승인취소 |
계좌이체 |
실시간 계좌이체 또는 무통장입금 취소완료 후, 입력하신 환불계좌로 1~2일 내 환불금액 입금(영업일 기준) |
계좌입금 |
휴대폰 결제 |
당일 구매내역 취소시 취소 완료 후, 6시간 이내 승인취소 전월 구매내역 취소시 취소 완료 후, 1~2일 내 환불계좌로 입금(영업일 기준) |
당일취소 : 휴대폰 결제 승인취소 익월취소 : 계좌입금 |
포인트 | 취소 완료 후, 당일 포인트 적립 | 환불 포인트 적립 |
- 단순변심으로 인한 반품 시, 배송 완료 후 7일이 지나면 취소/반품 신청이 접수되지 않습니다.
- 주문/제작 상품의 경우, 상품의 제작이 이미 진행된 경우에는 취소가 불가합니다.
- 구성품을 분실하였거나 취급 부주의로 인한 파손/고장/오염된 경우에는 취소/반품이 제한됩니다.
- 제조사의 사정 (신모델 출시 등) 및 부품 가격변동 등에 의해 가격이 변동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반품 및 가격보상은 불가합니다.
- 뷰티 상품 이용 시 트러블(알러지, 붉은 반점, 가려움, 따가움)이 발생하는 경우 진료 확인서 및 소견서 등을 증빙하면 환불이 가능하지만 이 경우, 제반 비용은 고객님께서 부담하셔야 합니다.
- 각 상품별로 아래와 같은 사유로 취소/반품이 제한 될 수 있습니다.
상품군 | 취소/반품 불가사유 |
---|---|
의류/잡화/수입명품 | 상품의 택(TAG) 제거/라벨 및 상품 훼손으로 상품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된 경우 |
계절상품/식품/화장품 | 고객님의 사용, 시간경과, 일부 소비에 의하여 상품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
가전/설치상품 | 전자제품 특성 상, 정품 스티커가 제거되었거나 설치 또는 사용 이후에 단순변심인 경우, 액정화면이 부착된 상품의 전원을 켠 경우 (상품불량으로 인한 교환/반품은 AS센터의 불량 판정을 받아야 합니다.) |
자동차용품 | 상품을 개봉하여 장착한 이후 단순변심의 경우 |
CD/DVD/GAME/BOOK등 | 복제가 가능한 상품의 포장 등을 훼손한 경우 |
상품의 시리얼 넘버 유출로 내장된 소프트웨어의 가치가 감소한 경우 | |
노트북, 테스크탑 PC 등 | 홀로그램 등을 분리, 분실, 훼손하여 상품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하여 재판매가 불가할 경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