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소개
▣ 출판사서평
한국어의 문장 간 연결어를 프랑스어의 문장 간 연결어와 비교분석하면서 논리의미적 관점에서 특징지을 가능성을 보여주고자 한 책이다. 자연언어의 연결어는 본질적으로 복합문에서뿐만 아니라 텍스트 안에서도 시퀀스를 형성하는 소사로, 이들을 논리의미적으로 특정하려면 이들을 중심으로 분절된 문장 혹은 명제 사이의 의존관계를 명시적으로 밝혀야 한다.
텍스트의 정합성은 모든 문장과 명제가 사슬 형상의 의미적 표현 아래 다양한 종속관계가 표출될 수 있도록 정돈될 때 나타난다. 이러한 종속관계는 시퀀스 차원뿐 아니라 텍스트 차원에서도 필수적으로 유지되어야 한다. 따라서 적합한 의미론이란, 문법적/의미적으로 적절한 두 문장 P1과 P2가 문장 간 연결어를 매개로 연결되어 전체적으로 정합적이고 해석 가능한 복합문을 형성하는가를 말하는 의미론일 것이다.
자연언어의 연결어는 어떤 조건 아래에서 명제들이 표현하는 사실들을 연결할까
각 명제들이 참이고 그 명제들이 연결된 문장도 참이려면 어떤 조건 아래에서 연결되어야 할까
문장 간 연결어의 논리의미적 특성화에 대한 고찰
참은 참이라고 말한 것이다는 한국어의 문장 간 연결어를 프랑스어의 문장 간 연결어와 비교분석하면서 논리의미적 관점에서 특징지을 가능성을 보여주고자 한 책이다. 자연언어의 연결어는 본질적으로 복합문에서뿐만 아니라 텍스트 안에서도 시퀀스를 형성하는 소사로, 이들을 논리의미적으로 특정하려면 이들을 중심으로 분절된 문장 혹은 명제 사이의 의존관계를 명시적으로 밝혀야 한다. 텍스트의 정합성은 모든 문장과 명제가 사슬 형상의 의미적 표현 아래 다양한 종속관계가 표출될 수 있도록 정돈될 때 나타난다. 이러한 종속관계는 시퀀스 차원뿐 아니라 텍스트 차원에서도 필수적으로 유지되어야 한다. 따라서 적합한 의미론이란, 문법적/의미적으로 적절한 두 문장 P1과 P2가 문장 간 연결어를 매개로 연결되어 전체적으로 정합적이고 해석 가능한 복합문을 형성하는가를 말하는 의미론일 것이다.
[서문]
이 글이 다루고자 하는 바는 소박합니다. 그것은, 한국어의 문장 간 연결어를 프랑스어의 문장 간 연결어와 비교 분석하면서, 이들을 논리의미적 관점에서 특징지을 “한 가지” 가능성을 보여주고자 하는 것입니다. 자연언어의 연결어들은 본질적으로 복합문에서뿐만 아니라 텍스트 안에서도 시퀀스를 형성하는 소사들로서, 이러한 연결어들을 논리의미적으로 특정하기 위해서는 이들을 중심으로 분절된 문장들 혹은 명제들 사이의 의존관계를 명시적으로 밝혀야 합니다.
텍스트의 정합성이 보장되는 것은, 문제의 텍스트가 포용하고 있는 모든 문장 혹은 명제들이 사슬 같은 형상의 의미적 표현 아래 그 모습을 드러내면서, 문장 혹은 명제들 사이에 다양한 종속관계가 표출될 수 있도록 정돈될 때입니다. 그리고 이러한 관계들은 시퀀스의 차원에서뿐만 아니라 텍스트의 차원에서도, 다시 말해 선조적이면서 동시에 포괄적인 차원에서, 필수적으로 유지되어야 하는 것입니다.
여기에서 당연히 확인되는 것은, 문장 간 연결어들이 텍스트의 정합성에 있어, 특히 선조적 차원에서, 핵심적인 기능 가운데 하나를 수행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실제로 그들의 역할은 그들을 중심으로 분절되어 있는 문장이나 명제들 사이의 종속관계를 명시하는 것입니다.
처음 두 장에서 자세히 서술하겠지만, 이 글의 중심적인 생각은, 의미론의 중요한 기능 가운데 하나는 연속되는 문장들 사이의 의미적 상호 의존관계를 정의하는 것이고 이 관계는 문장 간 연결어에 의해 명시된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적합한 의미론이라고 한다면 그것은, 예를 들어 문법적으로 형식이 적절하고 의미적으로 해석 가능하다고 상정되는 두 개의 문장 P1과 P2가 문장 간 연결어를 매개로 하여 연결되어 전체적으로 정합적이고 해석 가능한 복합문을 형성하는가를 말해야 합니다. 여기에서 만약 P1(=Il faisait trs froid, 날씨가 매우 추웠다)이고, P2(=Les routes taient verglaces, 도로가 얼었다)라면 서로 연결되어 복합문이 될 수 있을 것입니다.
또한 적합한 이론이라면 그것은 다음의 경우 그 이유를 설명할 수 있어야 합니다. 두 개의 문장 P3(=Je prends mon pain dans cette boulangerie, 나는 이 집에서 빵을 산다)과 P4(=La lune est la satellite de la terre, 달은 지구의 위성이다)는, 역시 P1과 P2처럼 문법적으로 적형이면서 의미적으로 해석 가능하지만, 왜 연접적 연결어 et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없을까요 그리하여 적합한 의미론이라면 그것은, 각각 정합적이고 전체적으로 해석 가능한, 두 개의 연접관계의 문장 P와 Q에서, 표현된 종속관계가 동질적인지 아닌지를 설명해야만 합니다. 만약 P(=Il faisait trs froid et les routes taient verglaces, 날씨가 매우 추웠고 도로가 얼었다)이고, Q(=Les livres taient chers et je ne pouvais en acheter beaucoup, 책이 비싸서 많이 살 수 없었다)라면, 여기에서 표현된 종속관계는 동질적이라 할 수 있을 것입니다. 그러나 만약 P(=Tu as mis le verre au bord de la table et il est tomb, 잔을 식탁 가장자리에 놓아 떨어졌다)이고, Q(=Tu avais promis, et maintenant tu refuses, 넌 약속해놓고, 이젠 거절한다)라면, 표현된 종속관계가 반대로 동질적이지 않을 것입니다.
자연언어에서, 연결어에 의해 관계 지어진 연속되는 두 문장 사이에 나타나는 종속관계는, 대략적으로 보아, 네 가지 유형이 있습니다. 먼저 연접관계로서 p et q로 대표됩니다. 다음으로 이접관계인데 p ou q에 해당합니다. 그리고 조건관계를 들 수 있는데 si p, alors q 혹은 q parce que p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양보관계가 등장하는데 bien que p, q가 표준적인 형태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리하여 이 글의 전체적인 모습은 다음과 같습니다.
제1장에서, 우리는 언어의 기술에 행위(acte)의 개념을 도입할 당위성과 텍스트(texte)까지 문법의 영역을 확장할 필요성을 개진할 것입니다. 그 이유는, 문장은 언어의 문법과 의미적 구성에 부합해야 할 뿐만 아니라, 문장을 감싸는 언어내외적 맥락과 상황에도 다소간 조화롭게 맞추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제2장에서, 문장 간 연결어는 텍스트의 정합성을 위한 결정적 요인이기에, 텍스트 언어학 혹은 텍스트 문법을 옹호하면서, 우리는 정합성(cohrence)과 응집성(connexion)의 개념을 정의할 것입니다. 이어서 우리는 텍스트 문법에서 가져온 이 개념들을 R. Martin이 계발한 가능세계와 인지세계의 개념을 동원하여 더욱 풍요롭게 만들 것입니다.
이어서 우리는 제3장에서 연접관계를, 제4장에서 이접관계를, 제5장에서 조건관계를 그리고 마지막 제6장에서 양보관계를 순서대로 다루겠습니다.
이 글에서 문장 간 연결어의 논리의미적 특성화에 대한 고찰은, 많은 부분, 한 편으로, R. Martin이 그의 핵심적인 두 저서, Infrence, Antonymie et Paraphrase (IAP), Pour une logique du sens (PLS)에서 계발한 의미이론과, 다른 한 편으로, T. A. Van Dijk이 그의 중요한 저작, 특히 Some Aspects of Text Grammar, Connectives in Text Grammar and Text Logic 그리고 Text and Context에서 공들여 만든 텍스트 언어학의 이론에 힘입었습니다. 그중에서도 특히 R. Martin이 제시한 가능세계(mondes possibles)와 인지세계(univers de croyance)의 개념들과 T. A. Van Dijk이 설명하는 인식적 접근 가능성(accessibilit pistmique)과 담화의 주제(topique de discours)의 개념들의 도움을 빌어, 우리는 이 연결어들에 대한 의미적 기술을 더욱 알차게 할 수 있었고 한국어학에 새로운 접근 방법을 가져오게 되었습니다. 이런 점에서 볼 때, 이 글은, 간접적이긴 하지만, 이 두 언어학자들에 의해 계발된 개념들의 보편성을 또한 보여주는 계기가 될 수 있기도 합니다. 이렇게 여기에서 말할 수 있는 것은, 이들이, 프랑스어로부터, 따라서, 유럽의 제언어들로부터 유형적으로나 지리적으로 거의 대척점에 있다고 볼 수 있는 한국어에 적용된다는 점 때문입니다.
이 글에서 예문으로 인용된 발화체들은 그 대부분이 사전, 일간지 그리고 현대문학의 저작들에서 발췌한 것입니다. 한국어 예문으로 인용된 작품의 출처를 확인하고 싶어 하는 프랑어권 독자들의 고충을 덜어드리기 위해, 한국어 문학작품의 선택은 의도적으로 프랑스어로 번역되었거나 프랑스에서 출간된 작가들로 한정했습니다. 실제적이고 검정 가능한 예문들을 제시하려는 우리의 강력한 의지에도 불구하고, 사용 가능한 자료체가 부족해, 몇몇 예문은 이 글에서 지키고자 하는 가설들의 관여성을 해칠 위험을 무릅쓰고 우리 스스로 만들 수밖에 없었음을 밝힙니다.
▣ 작가 소개
장승일
1954년 부산 출생. 1979년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불어교육과 졸업.
1979년~1981년 프랑스 프로방스 대학교 언어학과 석사과정 수료.
1981년~1982년 프랑스 파리4대학 언어학과 석사.
1982년~1985년 프랑스 파리4대학 언어학과 박사.
1986년~1995년 서강대학교 불어불문학과 재직.
1995년~현재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불어교육과 교수.
▣ 주요 목차
서론
덧붙이는 말
인용 출처
기호 표
한국어-프랑스어 용어대조표
1. 언어 기술의 근본적인 두 가설
I. 첫째 가설: 언어행위
II. 둘째 가설: 텍스트
2. 정합성과 연계관계
I. 정합성
II. 가능세계와 인지세계
III. 텍스트의 정합성을 위한 메타 규칙
A. 반복의 메타 규칙 (MR 1)
B. 진행의 메타 규칙 (MR II)
C. 비모순의 메타 규칙 (MR III)
D. 관계의 메타 규칙 (MR IV)
IV. 연계관계 (혹은 연계성)
3. 연접관계
I. 연접관계의 성립과 의미
II. 세 가지 주요 제한
A. 시간공간적 제한
B. 관계적 해석의 제한
C. 조건적 틀의 준비를 위한 제한
III. 한국어의 연접관계
4. 이접관계
I. 두 가지 이접관계
II. 인식적 접근 불가능성
III. 강한 이접관계와 약한 이접관계
IV. 치환 가능성: 대칭과 비대칭
V. 한국어의 이접관계
5. 조건관계
I. 관여적 함의관계
II. 실재적 조건관계
III. 가능성과 인과성
IV. 자연언어에서 실재적 조건관계와 해석의 문제
V. 가설적 조건관계
VI. 한국어에서 가설적 조건관계와 해석의 문제
VII. 한국어에서 작용자 SI의 논리의미적 해석
6. 양보관계
I. 양보의 개념: 정의와 해석
II. 명제적 양보관계
III. 복합적 양보관계
A. 외연적 양보절
B. 계단식 양보절
C. 가설적 양보절
IV. 선택적 양보관계
V. 가설적 조건의 양보관계
VI. 제한적 양보관계
결론을 대신하여
참고문헌
한국어의 문장 간 연결어를 프랑스어의 문장 간 연결어와 비교분석하면서 논리의미적 관점에서 특징지을 가능성을 보여주고자 한 책이다. 자연언어의 연결어는 본질적으로 복합문에서뿐만 아니라 텍스트 안에서도 시퀀스를 형성하는 소사로, 이들을 논리의미적으로 특정하려면 이들을 중심으로 분절된 문장 혹은 명제 사이의 의존관계를 명시적으로 밝혀야 한다.
텍스트의 정합성은 모든 문장과 명제가 사슬 형상의 의미적 표현 아래 다양한 종속관계가 표출될 수 있도록 정돈될 때 나타난다. 이러한 종속관계는 시퀀스 차원뿐 아니라 텍스트 차원에서도 필수적으로 유지되어야 한다. 따라서 적합한 의미론이란, 문법적/의미적으로 적절한 두 문장 P1과 P2가 문장 간 연결어를 매개로 연결되어 전체적으로 정합적이고 해석 가능한 복합문을 형성하는가를 말하는 의미론일 것이다.
자연언어의 연결어는 어떤 조건 아래에서 명제들이 표현하는 사실들을 연결할까
각 명제들이 참이고 그 명제들이 연결된 문장도 참이려면 어떤 조건 아래에서 연결되어야 할까
문장 간 연결어의 논리의미적 특성화에 대한 고찰
참은 참이라고 말한 것이다는 한국어의 문장 간 연결어를 프랑스어의 문장 간 연결어와 비교분석하면서 논리의미적 관점에서 특징지을 가능성을 보여주고자 한 책이다. 자연언어의 연결어는 본질적으로 복합문에서뿐만 아니라 텍스트 안에서도 시퀀스를 형성하는 소사로, 이들을 논리의미적으로 특정하려면 이들을 중심으로 분절된 문장 혹은 명제 사이의 의존관계를 명시적으로 밝혀야 한다. 텍스트의 정합성은 모든 문장과 명제가 사슬 형상의 의미적 표현 아래 다양한 종속관계가 표출될 수 있도록 정돈될 때 나타난다. 이러한 종속관계는 시퀀스 차원뿐 아니라 텍스트 차원에서도 필수적으로 유지되어야 한다. 따라서 적합한 의미론이란, 문법적/의미적으로 적절한 두 문장 P1과 P2가 문장 간 연결어를 매개로 연결되어 전체적으로 정합적이고 해석 가능한 복합문을 형성하는가를 말하는 의미론일 것이다.
[서문]
이 글이 다루고자 하는 바는 소박합니다. 그것은, 한국어의 문장 간 연결어를 프랑스어의 문장 간 연결어와 비교 분석하면서, 이들을 논리의미적 관점에서 특징지을 “한 가지” 가능성을 보여주고자 하는 것입니다. 자연언어의 연결어들은 본질적으로 복합문에서뿐만 아니라 텍스트 안에서도 시퀀스를 형성하는 소사들로서, 이러한 연결어들을 논리의미적으로 특정하기 위해서는 이들을 중심으로 분절된 문장들 혹은 명제들 사이의 의존관계를 명시적으로 밝혀야 합니다.
텍스트의 정합성이 보장되는 것은, 문제의 텍스트가 포용하고 있는 모든 문장 혹은 명제들이 사슬 같은 형상의 의미적 표현 아래 그 모습을 드러내면서, 문장 혹은 명제들 사이에 다양한 종속관계가 표출될 수 있도록 정돈될 때입니다. 그리고 이러한 관계들은 시퀀스의 차원에서뿐만 아니라 텍스트의 차원에서도, 다시 말해 선조적이면서 동시에 포괄적인 차원에서, 필수적으로 유지되어야 하는 것입니다.
여기에서 당연히 확인되는 것은, 문장 간 연결어들이 텍스트의 정합성에 있어, 특히 선조적 차원에서, 핵심적인 기능 가운데 하나를 수행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실제로 그들의 역할은 그들을 중심으로 분절되어 있는 문장이나 명제들 사이의 종속관계를 명시하는 것입니다.
처음 두 장에서 자세히 서술하겠지만, 이 글의 중심적인 생각은, 의미론의 중요한 기능 가운데 하나는 연속되는 문장들 사이의 의미적 상호 의존관계를 정의하는 것이고 이 관계는 문장 간 연결어에 의해 명시된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적합한 의미론이라고 한다면 그것은, 예를 들어 문법적으로 형식이 적절하고 의미적으로 해석 가능하다고 상정되는 두 개의 문장 P1과 P2가 문장 간 연결어를 매개로 하여 연결되어 전체적으로 정합적이고 해석 가능한 복합문을 형성하는가를 말해야 합니다. 여기에서 만약 P1(=Il faisait trs froid, 날씨가 매우 추웠다)이고, P2(=Les routes taient verglaces, 도로가 얼었다)라면 서로 연결되어 복합문이 될 수 있을 것입니다.
또한 적합한 이론이라면 그것은 다음의 경우 그 이유를 설명할 수 있어야 합니다. 두 개의 문장 P3(=Je prends mon pain dans cette boulangerie, 나는 이 집에서 빵을 산다)과 P4(=La lune est la satellite de la terre, 달은 지구의 위성이다)는, 역시 P1과 P2처럼 문법적으로 적형이면서 의미적으로 해석 가능하지만, 왜 연접적 연결어 et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없을까요 그리하여 적합한 의미론이라면 그것은, 각각 정합적이고 전체적으로 해석 가능한, 두 개의 연접관계의 문장 P와 Q에서, 표현된 종속관계가 동질적인지 아닌지를 설명해야만 합니다. 만약 P(=Il faisait trs froid et les routes taient verglaces, 날씨가 매우 추웠고 도로가 얼었다)이고, Q(=Les livres taient chers et je ne pouvais en acheter beaucoup, 책이 비싸서 많이 살 수 없었다)라면, 여기에서 표현된 종속관계는 동질적이라 할 수 있을 것입니다. 그러나 만약 P(=Tu as mis le verre au bord de la table et il est tomb, 잔을 식탁 가장자리에 놓아 떨어졌다)이고, Q(=Tu avais promis, et maintenant tu refuses, 넌 약속해놓고, 이젠 거절한다)라면, 표현된 종속관계가 반대로 동질적이지 않을 것입니다.
자연언어에서, 연결어에 의해 관계 지어진 연속되는 두 문장 사이에 나타나는 종속관계는, 대략적으로 보아, 네 가지 유형이 있습니다. 먼저 연접관계로서 p et q로 대표됩니다. 다음으로 이접관계인데 p ou q에 해당합니다. 그리고 조건관계를 들 수 있는데 si p, alors q 혹은 q parce que p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양보관계가 등장하는데 bien que p, q가 표준적인 형태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리하여 이 글의 전체적인 모습은 다음과 같습니다.
제1장에서, 우리는 언어의 기술에 행위(acte)의 개념을 도입할 당위성과 텍스트(texte)까지 문법의 영역을 확장할 필요성을 개진할 것입니다. 그 이유는, 문장은 언어의 문법과 의미적 구성에 부합해야 할 뿐만 아니라, 문장을 감싸는 언어내외적 맥락과 상황에도 다소간 조화롭게 맞추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제2장에서, 문장 간 연결어는 텍스트의 정합성을 위한 결정적 요인이기에, 텍스트 언어학 혹은 텍스트 문법을 옹호하면서, 우리는 정합성(cohrence)과 응집성(connexion)의 개념을 정의할 것입니다. 이어서 우리는 텍스트 문법에서 가져온 이 개념들을 R. Martin이 계발한 가능세계와 인지세계의 개념을 동원하여 더욱 풍요롭게 만들 것입니다.
이어서 우리는 제3장에서 연접관계를, 제4장에서 이접관계를, 제5장에서 조건관계를 그리고 마지막 제6장에서 양보관계를 순서대로 다루겠습니다.
이 글에서 문장 간 연결어의 논리의미적 특성화에 대한 고찰은, 많은 부분, 한 편으로, R. Martin이 그의 핵심적인 두 저서, Infrence, Antonymie et Paraphrase (IAP), Pour une logique du sens (PLS)에서 계발한 의미이론과, 다른 한 편으로, T. A. Van Dijk이 그의 중요한 저작, 특히 Some Aspects of Text Grammar, Connectives in Text Grammar and Text Logic 그리고 Text and Context에서 공들여 만든 텍스트 언어학의 이론에 힘입었습니다. 그중에서도 특히 R. Martin이 제시한 가능세계(mondes possibles)와 인지세계(univers de croyance)의 개념들과 T. A. Van Dijk이 설명하는 인식적 접근 가능성(accessibilit pistmique)과 담화의 주제(topique de discours)의 개념들의 도움을 빌어, 우리는 이 연결어들에 대한 의미적 기술을 더욱 알차게 할 수 있었고 한국어학에 새로운 접근 방법을 가져오게 되었습니다. 이런 점에서 볼 때, 이 글은, 간접적이긴 하지만, 이 두 언어학자들에 의해 계발된 개념들의 보편성을 또한 보여주는 계기가 될 수 있기도 합니다. 이렇게 여기에서 말할 수 있는 것은, 이들이, 프랑스어로부터, 따라서, 유럽의 제언어들로부터 유형적으로나 지리적으로 거의 대척점에 있다고 볼 수 있는 한국어에 적용된다는 점 때문입니다.
이 글에서 예문으로 인용된 발화체들은 그 대부분이 사전, 일간지 그리고 현대문학의 저작들에서 발췌한 것입니다. 한국어 예문으로 인용된 작품의 출처를 확인하고 싶어 하는 프랑어권 독자들의 고충을 덜어드리기 위해, 한국어 문학작품의 선택은 의도적으로 프랑스어로 번역되었거나 프랑스에서 출간된 작가들로 한정했습니다. 실제적이고 검정 가능한 예문들을 제시하려는 우리의 강력한 의지에도 불구하고, 사용 가능한 자료체가 부족해, 몇몇 예문은 이 글에서 지키고자 하는 가설들의 관여성을 해칠 위험을 무릅쓰고 우리 스스로 만들 수밖에 없었음을 밝힙니다.
▣ 작가 소개
장승일
1954년 부산 출생. 1979년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불어교육과 졸업.
1979년~1981년 프랑스 프로방스 대학교 언어학과 석사과정 수료.
1981년~1982년 프랑스 파리4대학 언어학과 석사.
1982년~1985년 프랑스 파리4대학 언어학과 박사.
1986년~1995년 서강대학교 불어불문학과 재직.
1995년~현재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불어교육과 교수.
▣ 주요 목차
서론
덧붙이는 말
인용 출처
기호 표
한국어-프랑스어 용어대조표
1. 언어 기술의 근본적인 두 가설
I. 첫째 가설: 언어행위
II. 둘째 가설: 텍스트
2. 정합성과 연계관계
I. 정합성
II. 가능세계와 인지세계
III. 텍스트의 정합성을 위한 메타 규칙
A. 반복의 메타 규칙 (MR 1)
B. 진행의 메타 규칙 (MR II)
C. 비모순의 메타 규칙 (MR III)
D. 관계의 메타 규칙 (MR IV)
IV. 연계관계 (혹은 연계성)
3. 연접관계
I. 연접관계의 성립과 의미
II. 세 가지 주요 제한
A. 시간공간적 제한
B. 관계적 해석의 제한
C. 조건적 틀의 준비를 위한 제한
III. 한국어의 연접관계
4. 이접관계
I. 두 가지 이접관계
II. 인식적 접근 불가능성
III. 강한 이접관계와 약한 이접관계
IV. 치환 가능성: 대칭과 비대칭
V. 한국어의 이접관계
5. 조건관계
I. 관여적 함의관계
II. 실재적 조건관계
III. 가능성과 인과성
IV. 자연언어에서 실재적 조건관계와 해석의 문제
V. 가설적 조건관계
VI. 한국어에서 가설적 조건관계와 해석의 문제
VII. 한국어에서 작용자 SI의 논리의미적 해석
6. 양보관계
I. 양보의 개념: 정의와 해석
II. 명제적 양보관계
III. 복합적 양보관계
A. 외연적 양보절
B. 계단식 양보절
C. 가설적 양보절
IV. 선택적 양보관계
V. 가설적 조건의 양보관계
VI. 제한적 양보관계
결론을 대신하여
참고문헌
01. 반품기한
- 단순 변심인 경우 : 상품 수령 후 7일 이내 신청
- 상품 불량/오배송인 경우 : 상품 수령 후 3개월 이내, 혹은 그 사실을 알게 된 이후 30일 이내 반품 신청 가능
02. 반품 배송비
반품사유 | 반품 배송비 부담자 |
---|---|
단순변심 | 고객 부담이며, 최초 배송비를 포함해 왕복 배송비가 발생합니다. 또한, 도서/산간지역이거나 설치 상품을 반품하는 경우에는 배송비가 추가될 수 있습니다. |
고객 부담이 아닙니다. |
03. 배송상태에 따른 환불안내
진행 상태 | 결제완료 | 상품준비중 | 배송지시/배송중/배송완료 |
---|---|---|---|
어떤 상태 | 주문 내역 확인 전 | 상품 발송 준비 중 | 상품이 택배사로 이미 발송 됨 |
환불 | 즉시환불 | 구매취소 의사전달 → 발송중지 → 환불 | 반품회수 → 반품상품 확인 → 환불 |
04. 취소방법
- 결제완료 또는 배송상품은 1:1 문의에 취소신청해 주셔야 합니다.
- 특정 상품의 경우 취소 수수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05. 환불시점
결제수단 | 환불시점 | 환불방법 |
---|---|---|
신용카드 | 취소완료 후, 3~5일 내 카드사 승인취소(영업일 기준) | 신용카드 승인취소 |
계좌이체 |
실시간 계좌이체 또는 무통장입금 취소완료 후, 입력하신 환불계좌로 1~2일 내 환불금액 입금(영업일 기준) |
계좌입금 |
휴대폰 결제 |
당일 구매내역 취소시 취소 완료 후, 6시간 이내 승인취소 전월 구매내역 취소시 취소 완료 후, 1~2일 내 환불계좌로 입금(영업일 기준) |
당일취소 : 휴대폰 결제 승인취소 익월취소 : 계좌입금 |
포인트 | 취소 완료 후, 당일 포인트 적립 | 환불 포인트 적립 |
06. 취소반품 불가 사유
- 단순변심으로 인한 반품 시, 배송 완료 후 7일이 지나면 취소/반품 신청이 접수되지 않습니다.
- 주문/제작 상품의 경우, 상품의 제작이 이미 진행된 경우에는 취소가 불가합니다.
- 구성품을 분실하였거나 취급 부주의로 인한 파손/고장/오염된 경우에는 취소/반품이 제한됩니다.
- 제조사의 사정 (신모델 출시 등) 및 부품 가격변동 등에 의해 가격이 변동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반품 및 가격보상은 불가합니다.
- 뷰티 상품 이용 시 트러블(알러지, 붉은 반점, 가려움, 따가움)이 발생하는 경우 진료 확인서 및 소견서 등을 증빙하면 환불이 가능하지만 이 경우, 제반 비용은 고객님께서 부담하셔야 합니다.
- 각 상품별로 아래와 같은 사유로 취소/반품이 제한 될 수 있습니다.
상품군 | 취소/반품 불가사유 |
---|---|
의류/잡화/수입명품 | 상품의 택(TAG) 제거/라벨 및 상품 훼손으로 상품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된 경우 |
계절상품/식품/화장품 | 고객님의 사용, 시간경과, 일부 소비에 의하여 상품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
가전/설치상품 | 전자제품 특성 상, 정품 스티커가 제거되었거나 설치 또는 사용 이후에 단순변심인 경우, 액정화면이 부착된 상품의 전원을 켠 경우 (상품불량으로 인한 교환/반품은 AS센터의 불량 판정을 받아야 합니다.) |
자동차용품 | 상품을 개봉하여 장착한 이후 단순변심의 경우 |
CD/DVD/GAME/BOOK등 | 복제가 가능한 상품의 포장 등을 훼손한 경우 |
상품의 시리얼 넘버 유출로 내장된 소프트웨어의 가치가 감소한 경우 | |
노트북, 테스크탑 PC 등 | 홀로그램 등을 분리, 분실, 훼손하여 상품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하여 재판매가 불가할 경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