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소개
▣ 출판사서평
한 편의 법정 드라마 같은 저널리즘 이야기
한 남자가 아내와 두 딸을 살해했다는 죄목으로 투옥됐다. 살인자는 범죄 사실을 끝내 부인했고, 한 르포 기자가 이 사건을 밀착 취재한 내용을 책으로 출간했다. 4년이 넘는 취재 기간에 기자는 살인자와 친구가 됐고, 살인자는 기자가 자신의 결백을 세상에 알려주리라 믿었다. 하지만 기자는 베스트셀러가 된 자기 책에서 그를 냉혹한 살인마로 묘사했다. 상처받은 살인자는 기자를 명예훼손죄로 고소했다.
영화와 TV 드라마로도 제작되는 등 흥미진진한 한 편의 법정 드라마 같은 내용을 담은 이 책 『기자와 살인자』에서 저자는 진실을 추적하는 과정에서 만난 인물들을 하나하나 인터뷰하며 기자의 윤리는 어떤 것인지, 사실과 ‘비사실’의 경계는 어디인지, ‘진실을 알린다’는 기사는 누구의 진실을 말하는지, 저널리즘을 심판대에 세우고 예리한 질문을 던진다. 특히, 저널리즘 글쓰기에 대한 저자의 탁월한 성찰은 교육적 가치도 풍부하다. 저널리즘의 고전으로 꼽히는 이 책은 미국에서 출간 당시 뜨거운 논쟁을 불러일으켰고, 2013년 프랑스에서 주요 저널리즘 저서에 수여하는 ‘아시스 상(Prix des Assises)’을 받았다.
사건 개요
군의관이었던 제프리 맥도널드는 아내와 두 딸을 살해했다는 혐의로 군사재판에 넘겨졌으나 증거불충분으로 무죄 판결을 받았다. 그로부터 9년 뒤, 군에서 제대하고 성공한 개업의로 일하던 그는 다시 기소되어 형사재판이 열렸고, 유죄 판결을 받아 투옥됐다. 르포 기자이자 논픽션 작가인 조 맥기니스는 그를 밀착 취재하여 책을 출간했고, 이 책이 베스트셀러가 되면서 사회적으로 큰 반향을 일으켰다. 그러나 문제는 맥기니스가 오랜 취재 기간 맥도널드에게서 정보를 얻기 위해 위선적인 친구 관계를 유지했고, 책에서는 본색을 드러내 맥도널드를 냉혹한 살인마로 묘사했다는 데 있었다. 처절하게 배반당한 맥도널드는 맥기니스를 명예훼손죄로 고소했다.
재닛 맬컴은 이 사건과 관련된 인물들을 모두 인터뷰하고 자료를 정리하여 ‘기자와 살인자’라는 제목으로 『뉴요커』에 기사를 게재하여 언론의 본질과 기자의 도덕성을 둘러싼 뜨거운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그리고 이 기사를 바탕으로 바로 이 책, 『기자와 살인자』를 출간했다.
기자에게 진실과 윤리는 무엇인가
한 편의 법정 드라마 같은 이 다큐멘터리를 읽는 재미는 무엇보다도 똑같은 사건을 전혀 다른 시각으로 바라볼 때 드러나는 ‘진실’의 입체성에 있다. 살인죄로 징역형을 살고 있는 맥도널드를 지지하는 변호사들과 친구들은 그를 사법제도의 희생자로 간주하고, 특히 이 사건을 계기로 베스트셀러를 출간하겠다는 의도로 접근하여 맥도널드와 거짓된 우정을 나누면서 모든 정보를 캐낸 기자 맥기니스를 더없이 파렴치한 인물로 묘사한다. 독자들 역시 그들의 증언과 진술을 읽으면서 맥기니스가 얼마나 야비한 기회주의자인지를 발견하고 흥분을 감출 수 없게 된다. 그러나 맥기니스를 지지하는 변호사, 작가, 관련 인물들의 진술을 읽고 나면 맥도널드가 주장하는 결백을 의심할 수밖에 없고, 그가 얼마나 잔인하고 냉혹하고 교활한 살인마인지를 깨닫고, 그런 자에게 ‘명예훼손’에 대한 배상금을 지급하라는 법원의 판결이 부당하다는 생각이 든다. 이처럼 기자가 진실을 추적하는 과정에서 만나는 모든 증언과 해석과 판단이 독자들을 끝없는 의문의 미로로 밀어 넣는다.
진실은 어디 있을까?
모든 것이 의문투성이다. 전형적인 중상류층 의사 맥도널드는 자신이 주장하듯이 아내와 두 딸의 목숨을 괴한들에게 빼앗기고도 억울하게 누명을 쓴 희생자일까? 아니면 맥기니스가 주장하듯이 선한 양의 탈을 쓴 끔찍하고 교활한 살인마일까? 그가 살인을 저지른 것은 당시 복용하던 약물 때문에 이성을 잃었기 때문일까? 아니면 그가 증언했듯이 폭도들에 의한 우발적인 살인으로 가족을 잃었던 것일까? 양측 변호인들의 주장을 듣고 평결을 내리는 배심원들의 판단은 과연 편견 없이 옳다고 믿을 수 있을까? 기자는 진실을 밝힌다는 명목으로 취재 대상에게 접근해서 본심을 숨기면서 정보들을 캐내고, 마지막 순간에 표변하여 취재 대상을 궁지로 몰아넣는 행동을 해도 그것이 진실을 밝히기 위한 수단이었다면 도덕적으로 문제없는 것일까? 그리고 그가 밝혔다는 진실은 과연 누구나 인정할 수밖에 없는 진실일까? 사실을 말해주지 않아서 상대가 거짓을 진실로 믿고 있도록 내버려두는 것과 처음부터 상대를 속일 마음으로 거짓을 말하는 것 사이에는 도덕적으로 얼마나 큰 차이가 있을까?
독자들은 이 책을 읽으면서 언론이 말하는 진실에 대해, 그리고 언론의 윤리와 대중에게 공개하는 글의 책임에 대해 다시 한 번 생각하게 된다.
기자의 글쓰기
이 책이 저널리즘의 고전이 된 데에는 기자인 저자가 사건과 관련된 인물들을 한 사람, 한 사람 인터뷰하면서 전개하는 취재 과정이 극적이고 입체적이라는 사실이 주효했겠지만, 취재하는 사건과 인터뷰 대상에 대한 자기 판단을 끝없이 반추하고, 선입견과 편견에서 벗어나려는 기자의 진지한 자세를 귀감으로 삼을 만하다는 사실 또한 간과할 수 없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이 책의 탁월성은 저자가 저널리즘 글쓰기에 대해 기울이는 성찰적인 노력에 있다. 후기에서 저자는 논픽션 글쓰기가 소설적 글쓰기와 어떻게 다른지 뛰어난 문체로 변별력 있게 분석하고, 특히 인터뷰 대상이 구어로 전한 내용을 기자가 문어로 전환하는 ‘편집’ 과정에서 일어나는 ‘현실 속의 사실’과 ‘글로 편집된 사실’ 사이의 괴리에 주목한다. 독자는 기자의 글이 ‘사실’을 그대로 옮겼다고 믿으며 읽지만, 필연적으로 그 글은 기자의 머릿속에서 이미 ‘편집된’ 글일 수밖에 없다. 따라서 저자는 묻는다. 기자의 글이 말하는 진실은 사건과 취재 대상의 진실인가, 아니면 그것들을 자기 글로 고착한 기자의 진실인가.
끝나지 않은 이야기
하지만 사건은 아직 끝나지 않았다. 맥기니스는 2014년 암으로 사망했지만, 제프리 맥도널드는 살아남았다. 여전히 무죄를 주장하고 있는 그는 수감된 상태로 2002년 어린이 연극학교 교장인 캐서린 쿠리크와 극적으로 결혼식을 올려 화제를 낳기도 했다. 캐서린 맥도널드는 일주일에 세 번 1,600여 킬로미터를 달려 감옥에 있는 남편을 만나러 간다고 한다. 맥도널드는 수차례 재심청구를 했으나 기각되었고, 2005년 5월 가석방을 신청했으나 유죄를 인정하지 않고 무죄를 주장함에 따라 이 요청 또한 기각되었다. 다음 가석방 심리는 2020년 5월에 열린다. 2015년 현재, 맥도널드는 메릴랜드 연방 감옥에 수감되어 있으며 여전히 무죄를 주장하고 있다. 그의 무죄를 입증해줄 수도 있었던 네 명의 폭도 중 한 명이 범죄 사실을 자백할 의사를 밝힌 적도 있었으나 그 역시 사망하여 판결이 뒤집힐 가능성은 없어 보인다. 그의 출소 만기는 2071년 4월로 그의 나이 127세일 때이다. 인터넷에서는 여전히 그의 유죄를 확신하는 사람들과 무죄를 믿는 사람들이 다양한 주장과 해석을 제시하고 있다.
위키피디아 : https://en.wikipedia.org/wiki/Jeffrey_R._MacDonald
맥도널드 웹사이트 : www.themacdonaldcase.org
▣ 작가 소개
재닛 맬컴
미국의 저널리스트·작가. 1934년 체코 프라하에서 태어났다. 미시간 대학교를 졸업하고 시사문화 주간지 『뉴요커(The New Yorker)』 기자로 활동했다. 신경정신과 전문의인 아버지의 영향을 받아 1970년대 말 상담치료 현장을 취재한 본격 저널리즘 저서 『정신분석: 불가능한 직업(Psychoanalysis: The Impossible Profession)』을 출간하여 정신분석학의 이론과 모순, 정신분석가의 일상, 치료자와 환자의 관계를 정확하고 명징하게 드러냈다는 평을 받았다.
1990년 오늘날 저널리즘의 고전으로 꼽히는 대표작 『기자와 살인자』를 출간하면서 기자들의 위선적 관행과 업계의 불문율을 가감 없이 드러내 출간 당시 뜨거운 논란을 불러일으켰고, 특히 2013년 프랑스에서 주요 저널리즘 저서에 수여하는 ‘아시스 상(Prix des
Assises)’을 받았다. 다층적이고 독창적인 성찰, 정교한 문장 구사로 독보적인 저널리즘 작가로 알려진 그의 작품들은 르포르타주 장르를 초월했다고 평가된다.
그 밖의 작품으로 소송 사건을 소재로 삼은 『프로이트 아카이브에서(In the Freud Archiv)』, 『포리스트 힐스의 이피게니아(Iphigenia in Forest Hills: Anatomy of a Murder Trial)』, 『실라 맥고프의 범죄(The Crime of Sheila McGough)』가 있고, 문학과 예술 분야의 전기 작
품 『말 없는 여인(The Silent Woman: Sylvia Plath and Ted Hughes)』, 2008년 펜(PEN) 전기문학상을 받은 『두 인생(Two Lives: Gertrude and Alice)』, 사진비평집 『다이애나와 니콘(Diana and Nikon)』, 작가론 『체호프 읽기(Reading Chekhov)』 등이 있다. 단행본 저술 외에도 사진, 미술, 문학 등 다양한 분야의 비평과 심층취재 기사를 『뉴요커』와 격월간지 『뉴욕 리뷰 오브 북스(The New York Review of Books)』 등에 게재했다. 2013년에는 서평과 예술비평 모음집 『41번의 시도(Forty-one False Starts)』를 발표하여 전미도서비평가협회 (NBCC)상 비평부문 최종 후보에 올랐다.
한 편의 법정 드라마 같은 저널리즘 이야기
한 남자가 아내와 두 딸을 살해했다는 죄목으로 투옥됐다. 살인자는 범죄 사실을 끝내 부인했고, 한 르포 기자가 이 사건을 밀착 취재한 내용을 책으로 출간했다. 4년이 넘는 취재 기간에 기자는 살인자와 친구가 됐고, 살인자는 기자가 자신의 결백을 세상에 알려주리라 믿었다. 하지만 기자는 베스트셀러가 된 자기 책에서 그를 냉혹한 살인마로 묘사했다. 상처받은 살인자는 기자를 명예훼손죄로 고소했다.
영화와 TV 드라마로도 제작되는 등 흥미진진한 한 편의 법정 드라마 같은 내용을 담은 이 책 『기자와 살인자』에서 저자는 진실을 추적하는 과정에서 만난 인물들을 하나하나 인터뷰하며 기자의 윤리는 어떤 것인지, 사실과 ‘비사실’의 경계는 어디인지, ‘진실을 알린다’는 기사는 누구의 진실을 말하는지, 저널리즘을 심판대에 세우고 예리한 질문을 던진다. 특히, 저널리즘 글쓰기에 대한 저자의 탁월한 성찰은 교육적 가치도 풍부하다. 저널리즘의 고전으로 꼽히는 이 책은 미국에서 출간 당시 뜨거운 논쟁을 불러일으켰고, 2013년 프랑스에서 주요 저널리즘 저서에 수여하는 ‘아시스 상(Prix des Assises)’을 받았다.
사건 개요
군의관이었던 제프리 맥도널드는 아내와 두 딸을 살해했다는 혐의로 군사재판에 넘겨졌으나 증거불충분으로 무죄 판결을 받았다. 그로부터 9년 뒤, 군에서 제대하고 성공한 개업의로 일하던 그는 다시 기소되어 형사재판이 열렸고, 유죄 판결을 받아 투옥됐다. 르포 기자이자 논픽션 작가인 조 맥기니스는 그를 밀착 취재하여 책을 출간했고, 이 책이 베스트셀러가 되면서 사회적으로 큰 반향을 일으켰다. 그러나 문제는 맥기니스가 오랜 취재 기간 맥도널드에게서 정보를 얻기 위해 위선적인 친구 관계를 유지했고, 책에서는 본색을 드러내 맥도널드를 냉혹한 살인마로 묘사했다는 데 있었다. 처절하게 배반당한 맥도널드는 맥기니스를 명예훼손죄로 고소했다.
재닛 맬컴은 이 사건과 관련된 인물들을 모두 인터뷰하고 자료를 정리하여 ‘기자와 살인자’라는 제목으로 『뉴요커』에 기사를 게재하여 언론의 본질과 기자의 도덕성을 둘러싼 뜨거운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그리고 이 기사를 바탕으로 바로 이 책, 『기자와 살인자』를 출간했다.
기자에게 진실과 윤리는 무엇인가
한 편의 법정 드라마 같은 이 다큐멘터리를 읽는 재미는 무엇보다도 똑같은 사건을 전혀 다른 시각으로 바라볼 때 드러나는 ‘진실’의 입체성에 있다. 살인죄로 징역형을 살고 있는 맥도널드를 지지하는 변호사들과 친구들은 그를 사법제도의 희생자로 간주하고, 특히 이 사건을 계기로 베스트셀러를 출간하겠다는 의도로 접근하여 맥도널드와 거짓된 우정을 나누면서 모든 정보를 캐낸 기자 맥기니스를 더없이 파렴치한 인물로 묘사한다. 독자들 역시 그들의 증언과 진술을 읽으면서 맥기니스가 얼마나 야비한 기회주의자인지를 발견하고 흥분을 감출 수 없게 된다. 그러나 맥기니스를 지지하는 변호사, 작가, 관련 인물들의 진술을 읽고 나면 맥도널드가 주장하는 결백을 의심할 수밖에 없고, 그가 얼마나 잔인하고 냉혹하고 교활한 살인마인지를 깨닫고, 그런 자에게 ‘명예훼손’에 대한 배상금을 지급하라는 법원의 판결이 부당하다는 생각이 든다. 이처럼 기자가 진실을 추적하는 과정에서 만나는 모든 증언과 해석과 판단이 독자들을 끝없는 의문의 미로로 밀어 넣는다.
진실은 어디 있을까?
모든 것이 의문투성이다. 전형적인 중상류층 의사 맥도널드는 자신이 주장하듯이 아내와 두 딸의 목숨을 괴한들에게 빼앗기고도 억울하게 누명을 쓴 희생자일까? 아니면 맥기니스가 주장하듯이 선한 양의 탈을 쓴 끔찍하고 교활한 살인마일까? 그가 살인을 저지른 것은 당시 복용하던 약물 때문에 이성을 잃었기 때문일까? 아니면 그가 증언했듯이 폭도들에 의한 우발적인 살인으로 가족을 잃었던 것일까? 양측 변호인들의 주장을 듣고 평결을 내리는 배심원들의 판단은 과연 편견 없이 옳다고 믿을 수 있을까? 기자는 진실을 밝힌다는 명목으로 취재 대상에게 접근해서 본심을 숨기면서 정보들을 캐내고, 마지막 순간에 표변하여 취재 대상을 궁지로 몰아넣는 행동을 해도 그것이 진실을 밝히기 위한 수단이었다면 도덕적으로 문제없는 것일까? 그리고 그가 밝혔다는 진실은 과연 누구나 인정할 수밖에 없는 진실일까? 사실을 말해주지 않아서 상대가 거짓을 진실로 믿고 있도록 내버려두는 것과 처음부터 상대를 속일 마음으로 거짓을 말하는 것 사이에는 도덕적으로 얼마나 큰 차이가 있을까?
독자들은 이 책을 읽으면서 언론이 말하는 진실에 대해, 그리고 언론의 윤리와 대중에게 공개하는 글의 책임에 대해 다시 한 번 생각하게 된다.
기자의 글쓰기
이 책이 저널리즘의 고전이 된 데에는 기자인 저자가 사건과 관련된 인물들을 한 사람, 한 사람 인터뷰하면서 전개하는 취재 과정이 극적이고 입체적이라는 사실이 주효했겠지만, 취재하는 사건과 인터뷰 대상에 대한 자기 판단을 끝없이 반추하고, 선입견과 편견에서 벗어나려는 기자의 진지한 자세를 귀감으로 삼을 만하다는 사실 또한 간과할 수 없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이 책의 탁월성은 저자가 저널리즘 글쓰기에 대해 기울이는 성찰적인 노력에 있다. 후기에서 저자는 논픽션 글쓰기가 소설적 글쓰기와 어떻게 다른지 뛰어난 문체로 변별력 있게 분석하고, 특히 인터뷰 대상이 구어로 전한 내용을 기자가 문어로 전환하는 ‘편집’ 과정에서 일어나는 ‘현실 속의 사실’과 ‘글로 편집된 사실’ 사이의 괴리에 주목한다. 독자는 기자의 글이 ‘사실’을 그대로 옮겼다고 믿으며 읽지만, 필연적으로 그 글은 기자의 머릿속에서 이미 ‘편집된’ 글일 수밖에 없다. 따라서 저자는 묻는다. 기자의 글이 말하는 진실은 사건과 취재 대상의 진실인가, 아니면 그것들을 자기 글로 고착한 기자의 진실인가.
끝나지 않은 이야기
하지만 사건은 아직 끝나지 않았다. 맥기니스는 2014년 암으로 사망했지만, 제프리 맥도널드는 살아남았다. 여전히 무죄를 주장하고 있는 그는 수감된 상태로 2002년 어린이 연극학교 교장인 캐서린 쿠리크와 극적으로 결혼식을 올려 화제를 낳기도 했다. 캐서린 맥도널드는 일주일에 세 번 1,600여 킬로미터를 달려 감옥에 있는 남편을 만나러 간다고 한다. 맥도널드는 수차례 재심청구를 했으나 기각되었고, 2005년 5월 가석방을 신청했으나 유죄를 인정하지 않고 무죄를 주장함에 따라 이 요청 또한 기각되었다. 다음 가석방 심리는 2020년 5월에 열린다. 2015년 현재, 맥도널드는 메릴랜드 연방 감옥에 수감되어 있으며 여전히 무죄를 주장하고 있다. 그의 무죄를 입증해줄 수도 있었던 네 명의 폭도 중 한 명이 범죄 사실을 자백할 의사를 밝힌 적도 있었으나 그 역시 사망하여 판결이 뒤집힐 가능성은 없어 보인다. 그의 출소 만기는 2071년 4월로 그의 나이 127세일 때이다. 인터넷에서는 여전히 그의 유죄를 확신하는 사람들과 무죄를 믿는 사람들이 다양한 주장과 해석을 제시하고 있다.
위키피디아 : https://en.wikipedia.org/wiki/Jeffrey_R._MacDonald
맥도널드 웹사이트 : www.themacdonaldcase.org
▣ 작가 소개
재닛 맬컴
미국의 저널리스트·작가. 1934년 체코 프라하에서 태어났다. 미시간 대학교를 졸업하고 시사문화 주간지 『뉴요커(The New Yorker)』 기자로 활동했다. 신경정신과 전문의인 아버지의 영향을 받아 1970년대 말 상담치료 현장을 취재한 본격 저널리즘 저서 『정신분석: 불가능한 직업(Psychoanalysis: The Impossible Profession)』을 출간하여 정신분석학의 이론과 모순, 정신분석가의 일상, 치료자와 환자의 관계를 정확하고 명징하게 드러냈다는 평을 받았다.
1990년 오늘날 저널리즘의 고전으로 꼽히는 대표작 『기자와 살인자』를 출간하면서 기자들의 위선적 관행과 업계의 불문율을 가감 없이 드러내 출간 당시 뜨거운 논란을 불러일으켰고, 특히 2013년 프랑스에서 주요 저널리즘 저서에 수여하는 ‘아시스 상(Prix des
Assises)’을 받았다. 다층적이고 독창적인 성찰, 정교한 문장 구사로 독보적인 저널리즘 작가로 알려진 그의 작품들은 르포르타주 장르를 초월했다고 평가된다.
그 밖의 작품으로 소송 사건을 소재로 삼은 『프로이트 아카이브에서(In the Freud Archiv)』, 『포리스트 힐스의 이피게니아(Iphigenia in Forest Hills: Anatomy of a Murder Trial)』, 『실라 맥고프의 범죄(The Crime of Sheila McGough)』가 있고, 문학과 예술 분야의 전기 작
품 『말 없는 여인(The Silent Woman: Sylvia Plath and Ted Hughes)』, 2008년 펜(PEN) 전기문학상을 받은 『두 인생(Two Lives: Gertrude and Alice)』, 사진비평집 『다이애나와 니콘(Diana and Nikon)』, 작가론 『체호프 읽기(Reading Chekhov)』 등이 있다. 단행본 저술 외에도 사진, 미술, 문학 등 다양한 분야의 비평과 심층취재 기사를 『뉴요커』와 격월간지 『뉴욕 리뷰 오브 북스(The New York Review of Books)』 등에 게재했다. 2013년에는 서평과 예술비평 모음집 『41번의 시도(Forty-one False Starts)』를 발표하여 전미도서비평가협회 (NBCC)상 비평부문 최종 후보에 올랐다.
01. 반품기한
- 단순 변심인 경우 : 상품 수령 후 7일 이내 신청
- 상품 불량/오배송인 경우 : 상품 수령 후 3개월 이내, 혹은 그 사실을 알게 된 이후 30일 이내 반품 신청 가능
02. 반품 배송비
반품사유 | 반품 배송비 부담자 |
---|---|
단순변심 | 고객 부담이며, 최초 배송비를 포함해 왕복 배송비가 발생합니다. 또한, 도서/산간지역이거나 설치 상품을 반품하는 경우에는 배송비가 추가될 수 있습니다. |
고객 부담이 아닙니다. |
03. 배송상태에 따른 환불안내
진행 상태 | 결제완료 | 상품준비중 | 배송지시/배송중/배송완료 |
---|---|---|---|
어떤 상태 | 주문 내역 확인 전 | 상품 발송 준비 중 | 상품이 택배사로 이미 발송 됨 |
환불 | 즉시환불 | 구매취소 의사전달 → 발송중지 → 환불 | 반품회수 → 반품상품 확인 → 환불 |
04. 취소방법
- 결제완료 또는 배송상품은 1:1 문의에 취소신청해 주셔야 합니다.
- 특정 상품의 경우 취소 수수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05. 환불시점
결제수단 | 환불시점 | 환불방법 |
---|---|---|
신용카드 | 취소완료 후, 3~5일 내 카드사 승인취소(영업일 기준) | 신용카드 승인취소 |
계좌이체 |
실시간 계좌이체 또는 무통장입금 취소완료 후, 입력하신 환불계좌로 1~2일 내 환불금액 입금(영업일 기준) |
계좌입금 |
휴대폰 결제 |
당일 구매내역 취소시 취소 완료 후, 6시간 이내 승인취소 전월 구매내역 취소시 취소 완료 후, 1~2일 내 환불계좌로 입금(영업일 기준) |
당일취소 : 휴대폰 결제 승인취소 익월취소 : 계좌입금 |
포인트 | 취소 완료 후, 당일 포인트 적립 | 환불 포인트 적립 |
06. 취소반품 불가 사유
- 단순변심으로 인한 반품 시, 배송 완료 후 7일이 지나면 취소/반품 신청이 접수되지 않습니다.
- 주문/제작 상품의 경우, 상품의 제작이 이미 진행된 경우에는 취소가 불가합니다.
- 구성품을 분실하였거나 취급 부주의로 인한 파손/고장/오염된 경우에는 취소/반품이 제한됩니다.
- 제조사의 사정 (신모델 출시 등) 및 부품 가격변동 등에 의해 가격이 변동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반품 및 가격보상은 불가합니다.
- 뷰티 상품 이용 시 트러블(알러지, 붉은 반점, 가려움, 따가움)이 발생하는 경우 진료 확인서 및 소견서 등을 증빙하면 환불이 가능하지만 이 경우, 제반 비용은 고객님께서 부담하셔야 합니다.
- 각 상품별로 아래와 같은 사유로 취소/반품이 제한 될 수 있습니다.
상품군 | 취소/반품 불가사유 |
---|---|
의류/잡화/수입명품 | 상품의 택(TAG) 제거/라벨 및 상품 훼손으로 상품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된 경우 |
계절상품/식품/화장품 | 고객님의 사용, 시간경과, 일부 소비에 의하여 상품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
가전/설치상품 | 전자제품 특성 상, 정품 스티커가 제거되었거나 설치 또는 사용 이후에 단순변심인 경우, 액정화면이 부착된 상품의 전원을 켠 경우 (상품불량으로 인한 교환/반품은 AS센터의 불량 판정을 받아야 합니다.) |
자동차용품 | 상품을 개봉하여 장착한 이후 단순변심의 경우 |
CD/DVD/GAME/BOOK등 | 복제가 가능한 상품의 포장 등을 훼손한 경우 |
상품의 시리얼 넘버 유출로 내장된 소프트웨어의 가치가 감소한 경우 | |
노트북, 테스크탑 PC 등 | 홀로그램 등을 분리, 분실, 훼손하여 상품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하여 재판매가 불가할 경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