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소개
▣ 출판사서평
고사성어 인생을 배우다
우리가 살면서 배워야 할 지혜와 철학, 인생의 참다운 의미가 이 한 권에 모두 담겨 있으며 수능, 논술 및 면접, 취업도 함께 완벽하게 대비한다.
고사성어는 옛 이야기에서 유래된 함축적 언어지만 그 속에는 공자와 맹자, 순자와 노자 등 고대의 철학사상이 담겨 있을뿐 아니라 중원을 향해 말 달린 영웅들의 땀을 쥐는 이야기가 담겨 있다. 변화무쌍(變化無雙)한 시대에 고릿적 이야기다 생각할 수 있지만 단 4자에 너무도 많은 이야기와 역사가 담겨 있는데 어찌 고루하다 치부할 수 있을까? 항우가 유방과 대적하며 중원을 놓고 겨룰 때 그의 나이 겨우 20대였고 유비가 제갈 량에게 삼고초려를 청할 때 그의 나이 27세였던 것을 생각하면 낡은 이야기라 단정 짓는 것보다 그속에서 배움을 찾는 것이 더 큰 재산이 될 것이라 믿어 의심치 않는다.
옛 성인(聖人)의 기개(氣槪)를 본받아 어려운 고비를 잘 넘긴다면 비 온 뒤에 땅이 더욱 단단해지듯이 무사평안(無事平安)한 때가 꼭 올 것이다.
▣ 작가 소개
유화정
TV 황금알 - 기묘한 이야기편에 출현
TV 황금알 - 욕구 불만의 법칙편에 출현
TV 신세계 - 아버지의 마지막 소원편에 출현
TV 황금알 - 신 부부별곡편에 출현
충남 홍성 출생
경희대학교 민속연구학 수료
아메리칸 선종대학
서울분교 삼장대학원 졸업
무불 선학 대학원 졸업
미국 미조리 단칸대학교 철학박사 학위 취득
스리랑카 국제대학교 심리학박사 학위 취득
법왕대학교 철학교수(현재)
사단법인 동양철학 교육 강사
사단법인 대한불교 삼장 법우회 회장
유화정철학원 원장(현재)
▣ 주요 목차
1. 교육
001 단기지교(斷機之敎)
002 독서백편의자현(�j書百遍義自見)
003 문일지십(聞一知十)
004 백문불여일견(百聞�j如一�w)
005 사숙(私淑)
006 양약고어구(�拌롓흐博�
007 위편삼절(韋編三絶)
008 청출어람(靑出於藍)
009 타산지석(他山之石)
010 하학이상달(下學而上達)
011 맹모삼천(孟母三遷)
012 이심전심(以心傳心)
2. 처세
013 경원(敬遠)
014 유능제강(柔能制剛)
015 부화뇌동(附和�哺�
016 입향순속(入鄕循俗)
017 과유불급(過猶�j及)
3. 인격형성
018 구화지문(口禍之門)
019 극기복례(克己復��
020 대기만성(大器晩成)
021 등용문(登龍門)
022 청운지지(靑雲之志)
023 환골탈태(換骨奪胎)
024 실사구시(實事求是)
025 일각천금(一刻千金)
026 전전긍긍(戰戰兢兢)
027 격물치지(格物致知)
4. 노력
028 괄목상대(刮目相對)
029 계구우후(鷄口牛後)
030 부득요령(不得要��
031 논공행상(�潮藏솬�
032 일거수일투족(一擧手一投足)
033 형설지공(螢雪之功)
5. 용기
034 건곤일척(乾坤一擲)
035 권토중래(捲土重來)
036 독안용(獨眼龍)
037 방약무인(傍若無人)
038 석권(席卷)
039 불입호혈부득호자(�j入虎穴不得虎子)
040 와신상담(臥薪嘗膽)
041 발본색원(拔本塞源)
6. 정치
042 도탄지고(塗炭之苦)
043 무위이화(無爲而化)
044 만전지책(萬全之策)
045 법삼장(法三章)
046 읍참마속(泣斬馬謖)
047 비방지목(誹謗之木)
048 조령모개(朝�з뵙�
049 중구난방(衆口難防)
050 주지육림(酒池肉��)
051 위군난위신불이(爲君難爲臣�j易)
052 창업이수성난(創業易守成難)
7. 우정
053 간담상조(肝膽相照)
054 관포지교(管鮑之交)
055 교칠지심(膠漆之心)
056 도원결의(桃園結義)
057 죽마지우(竹馬之友)
8. 살기 좋은 사회
058 금상첨화(錦上添花)
059 소국과민(小國寡民)
060 화서지몽(華胥之夢)
061 대의멸친(大義滅親)
9. 전략
062 계륵(鷄肋)
063 교토삼굴(狡兎三窟)
064 미봉(彌縫)
065 배수지진(背水之陣)
066 사면초가(四面楚歌)
067 삼십육계주위상책(三十六計走爲上策)
068 선즉제인(先則制人)
069 일패도지(一敗塗地)
070 천재일우(千載一遇)
071 신출귀몰(神出鬼沒)
072 앙천대소(仰天大笑)
073 일거양득(一擧兩得)
074 파죽지세(破竹之勢)
10. 군자
075 군자삼락(君子三��
076 명경지수(明鏡止水)
077 삼고지례(三顧之��
078 자승자강(自勝者强)
079 양상군자(梁上君子)
080 청천백일(靑天白日)
081 거재두량(�翹게��
082 살신성인(�栒彰擺�
083 온고지신(溫故知新)
084 지자요수 인자요산(知者樂水仁者樂山)
11. 미인
085 가인박명(佳人薄命)
086 경국지색(傾國之色)
087 침어낙안(沈魚�R雁)
088 해어화(解語花)
12. 부부
089 금슬상화(琴瑟相和)
090 조강지처(糟糠之妻)
091 월하빙인(月下氷人)
092 파경(破鏡)
093 해로동혈(偕老同穴)
13. 부정직
094 개과천선(改過遷善)
095 곡학아세(曲學阿世)
096 권선징악(勸善懲�)
097 남취(�c吹)
098 조삼모사(朝三暮四)
14. 탁월
099 군계일학(群鷄一鶴)
100 국사무쌍(國士無雙)
101 백미(白眉)
102 백발백중(百發百中)
103 붕정만리(鵬程萬��)
104 사자후(獅子吼)
105 교각살우(矯角�珣�
106 촌철살인(寸鐵�筍�
107 파천황(破天荒)
108 다다익선(多多益善)
109 천리안(千��眼)
110 태산북두(泰山北斗)
111 화룡점정(畵�l點睛)
15. 허탈
112 공중누각(空中�愰�
113 구상유취(口尙乳臭)
114 기우(杞憂)
115 남풍불경(南風�j競)
116 노이무공(�斐쁑雀�
117 사이비(似而非)
118 사족(蛇足)
119 세월부대인(歲月不待人)
120 수석침류(漱石枕�o)
121 연목구어(緣木求魚)
122 남가일몽(南柯一夢)
123 백년하청(百�林즛�
124 검려지기(黔驢之技)
125 와우각상지쟁(蝸牛角上之爭)
126 용두사미(龍頭蛇尾)
127 철면피(鐵面皮)
128 필부지용(匹夫之勇)
129 교토사양구팽(狡兎死良狗烹)
16. 계략
130 교언영색(巧言令色)
131 고침안면(高枕安眠)
132 분서갱유(焚書坑儒)
133 수서양단(首鼠兩端)
134 식언(食言)
135 일망타진(一網打盡)
17. 경계
136 내우외환(內憂外患)
137 마이동풍(馬耳東風)
138 암중모색(暗中摸索)
139 은감불원(殷鑑�j遠)
140 청천벽력(靑天霹靂)
141 초미지급(焦眉之急)
142 어부지리(漁夫之��)
18. 선견
143 노마지지(�熄⑾憙�
144 등태소천(登泰小天)
145 새옹지마(�堰비胸�
19. 신세
146 고성낙일(孤城�R日)
147 사해형제(四海兄弟)
148 춘래불사춘(春來�j似春)
149 후생가외(後生可畏)
20. 생사
150 구사일생(九死一生)
151 구우일모(九牛一毛)
152 기사회생(起死回生)
153 수구초심(首丘初心)
154 철부지급(轍뭣之急)
155 표사유피인사유명(豹死留皮人死留名)
21. 막상막하
156 난형난제(難兄難弟)
157 대동소이(大同小異)
158 백중지세(伯仲之勢)
159 동병상련(同病相��
160 군맹평상(群盲評象)
161 승패병가상사(勝敗兵家常事)
162 오십보백보(五十步百步)
22. 관리
163 계포일락(季布一諾)
164 동호직필(董狐直筆)
165 문전성시(門前成市)
166 증죄부증인(憎罪不憎人)
167 유비무환(有備無患)
23. 고집불통
168 각주구검(刻舟求劍)
169 미생지신(尾生之信)
170 양포지구(楊布之狗)
171 정중지와(井中之蛙)
172 백면서생(白面書生)
173 선입견(先入�w)
24. 여성
174 거안제미(擧案齊眉)
175 내조지공(內助之功)
176 단장(斷腸)
177 미망인(未亡人)
178 천의무봉(天衣無縫)
179 식자우환(�字憂患)
25. 은원
180 결초보은(結草報恩)
181 오월동주(吳越同舟)
182 유음덕자필유양보(有陰德者必有陽報)
183 일모도원(日暮途遠)
26. 핑계
184 백안시(白眼視)
185 능서불택필(能書�j澤筆)
186 다기망양(多岐亡羊)
187 금의야행(錦衣夜行)
188 자포자기(自�自棄)
27. 망가망국
189 만사휴의(萬事休矣)
190 수청무대어(水淸無大魚)
191 사분오열(四分五裂)
192 유주망국(有酒亡國)
28. 자연적
193 남귤북지(南橘北枳)
194 상전벽해(桑田碧海)
195 의식족이지예절(衣食足而之禮節)
196 전전반측(輾轉反側)
197 지족자부(知足者富)
198 천고마비(天高馬肥)
29. 위험
199 누란지위(�A卵之危)
200 득롱망촉(得��妓�
201 모순(矛盾)
202 부중지어(釜中之魚)
203 삼인성호(三人成虎)
204 식소사번(食少事煩)
205 양두구육(羊頭狗肉)
206 앙급지어(殃及池魚)
207 오합지중(烏合之衆)
��빛��208 평지풍파(平地風波)
30. 기타
209 호접지몽(胡蝶之夢)
210 효시(嚆矢)
211 오리무중(五��霧中)
212 옥상가옥(屋上架屋)
213 옥석구분(玉石俱焚)
214 욕속부달욕교반졸(欲速不達欲巧反拙)
고사성어 인생을 배우다
우리가 살면서 배워야 할 지혜와 철학, 인생의 참다운 의미가 이 한 권에 모두 담겨 있으며 수능, 논술 및 면접, 취업도 함께 완벽하게 대비한다.
고사성어는 옛 이야기에서 유래된 함축적 언어지만 그 속에는 공자와 맹자, 순자와 노자 등 고대의 철학사상이 담겨 있을뿐 아니라 중원을 향해 말 달린 영웅들의 땀을 쥐는 이야기가 담겨 있다. 변화무쌍(變化無雙)한 시대에 고릿적 이야기다 생각할 수 있지만 단 4자에 너무도 많은 이야기와 역사가 담겨 있는데 어찌 고루하다 치부할 수 있을까? 항우가 유방과 대적하며 중원을 놓고 겨룰 때 그의 나이 겨우 20대였고 유비가 제갈 량에게 삼고초려를 청할 때 그의 나이 27세였던 것을 생각하면 낡은 이야기라 단정 짓는 것보다 그속에서 배움을 찾는 것이 더 큰 재산이 될 것이라 믿어 의심치 않는다.
옛 성인(聖人)의 기개(氣槪)를 본받아 어려운 고비를 잘 넘긴다면 비 온 뒤에 땅이 더욱 단단해지듯이 무사평안(無事平安)한 때가 꼭 올 것이다.
▣ 작가 소개
유화정
TV 황금알 - 기묘한 이야기편에 출현
TV 황금알 - 욕구 불만의 법칙편에 출현
TV 신세계 - 아버지의 마지막 소원편에 출현
TV 황금알 - 신 부부별곡편에 출현
충남 홍성 출생
경희대학교 민속연구학 수료
아메리칸 선종대학
서울분교 삼장대학원 졸업
무불 선학 대학원 졸업
미국 미조리 단칸대학교 철학박사 학위 취득
스리랑카 국제대학교 심리학박사 학위 취득
법왕대학교 철학교수(현재)
사단법인 동양철학 교육 강사
사단법인 대한불교 삼장 법우회 회장
유화정철학원 원장(현재)
▣ 주요 목차
1. 교육
001 단기지교(斷機之敎)
002 독서백편의자현(�j書百遍義自見)
003 문일지십(聞一知十)
004 백문불여일견(百聞�j如一�w)
005 사숙(私淑)
006 양약고어구(�拌롓흐博�
007 위편삼절(韋編三絶)
008 청출어람(靑出於藍)
009 타산지석(他山之石)
010 하학이상달(下學而上達)
011 맹모삼천(孟母三遷)
012 이심전심(以心傳心)
2. 처세
013 경원(敬遠)
014 유능제강(柔能制剛)
015 부화뇌동(附和�哺�
016 입향순속(入鄕循俗)
017 과유불급(過猶�j及)
3. 인격형성
018 구화지문(口禍之門)
019 극기복례(克己復��
020 대기만성(大器晩成)
021 등용문(登龍門)
022 청운지지(靑雲之志)
023 환골탈태(換骨奪胎)
024 실사구시(實事求是)
025 일각천금(一刻千金)
026 전전긍긍(戰戰兢兢)
027 격물치지(格物致知)
4. 노력
028 괄목상대(刮目相對)
029 계구우후(鷄口牛後)
030 부득요령(不得要��
031 논공행상(�潮藏솬�
032 일거수일투족(一擧手一投足)
033 형설지공(螢雪之功)
5. 용기
034 건곤일척(乾坤一擲)
035 권토중래(捲土重來)
036 독안용(獨眼龍)
037 방약무인(傍若無人)
038 석권(席卷)
039 불입호혈부득호자(�j入虎穴不得虎子)
040 와신상담(臥薪嘗膽)
041 발본색원(拔本塞源)
6. 정치
042 도탄지고(塗炭之苦)
043 무위이화(無爲而化)
044 만전지책(萬全之策)
045 법삼장(法三章)
046 읍참마속(泣斬馬謖)
047 비방지목(誹謗之木)
048 조령모개(朝�з뵙�
049 중구난방(衆口難防)
050 주지육림(酒池肉��)
051 위군난위신불이(爲君難爲臣�j易)
052 창업이수성난(創業易守成難)
7. 우정
053 간담상조(肝膽相照)
054 관포지교(管鮑之交)
055 교칠지심(膠漆之心)
056 도원결의(桃園結義)
057 죽마지우(竹馬之友)
8. 살기 좋은 사회
058 금상첨화(錦上添花)
059 소국과민(小國寡民)
060 화서지몽(華胥之夢)
061 대의멸친(大義滅親)
9. 전략
062 계륵(鷄肋)
063 교토삼굴(狡兎三窟)
064 미봉(彌縫)
065 배수지진(背水之陣)
066 사면초가(四面楚歌)
067 삼십육계주위상책(三十六計走爲上策)
068 선즉제인(先則制人)
069 일패도지(一敗塗地)
070 천재일우(千載一遇)
071 신출귀몰(神出鬼沒)
072 앙천대소(仰天大笑)
073 일거양득(一擧兩得)
074 파죽지세(破竹之勢)
10. 군자
075 군자삼락(君子三��
076 명경지수(明鏡止水)
077 삼고지례(三顧之��
078 자승자강(自勝者强)
079 양상군자(梁上君子)
080 청천백일(靑天白日)
081 거재두량(�翹게��
082 살신성인(�栒彰擺�
083 온고지신(溫故知新)
084 지자요수 인자요산(知者樂水仁者樂山)
11. 미인
085 가인박명(佳人薄命)
086 경국지색(傾國之色)
087 침어낙안(沈魚�R雁)
088 해어화(解語花)
12. 부부
089 금슬상화(琴瑟相和)
090 조강지처(糟糠之妻)
091 월하빙인(月下氷人)
092 파경(破鏡)
093 해로동혈(偕老同穴)
13. 부정직
094 개과천선(改過遷善)
095 곡학아세(曲學阿世)
096 권선징악(勸善懲�)
097 남취(�c吹)
098 조삼모사(朝三暮四)
14. 탁월
099 군계일학(群鷄一鶴)
100 국사무쌍(國士無雙)
101 백미(白眉)
102 백발백중(百發百中)
103 붕정만리(鵬程萬��)
104 사자후(獅子吼)
105 교각살우(矯角�珣�
106 촌철살인(寸鐵�筍�
107 파천황(破天荒)
108 다다익선(多多益善)
109 천리안(千��眼)
110 태산북두(泰山北斗)
111 화룡점정(畵�l點睛)
15. 허탈
112 공중누각(空中�愰�
113 구상유취(口尙乳臭)
114 기우(杞憂)
115 남풍불경(南風�j競)
116 노이무공(�斐쁑雀�
117 사이비(似而非)
118 사족(蛇足)
119 세월부대인(歲月不待人)
120 수석침류(漱石枕�o)
121 연목구어(緣木求魚)
122 남가일몽(南柯一夢)
123 백년하청(百�林즛�
124 검려지기(黔驢之技)
125 와우각상지쟁(蝸牛角上之爭)
126 용두사미(龍頭蛇尾)
127 철면피(鐵面皮)
128 필부지용(匹夫之勇)
129 교토사양구팽(狡兎死良狗烹)
16. 계략
130 교언영색(巧言令色)
131 고침안면(高枕安眠)
132 분서갱유(焚書坑儒)
133 수서양단(首鼠兩端)
134 식언(食言)
135 일망타진(一網打盡)
17. 경계
136 내우외환(內憂外患)
137 마이동풍(馬耳東風)
138 암중모색(暗中摸索)
139 은감불원(殷鑑�j遠)
140 청천벽력(靑天霹靂)
141 초미지급(焦眉之急)
142 어부지리(漁夫之��)
18. 선견
143 노마지지(�熄⑾憙�
144 등태소천(登泰小天)
145 새옹지마(�堰비胸�
19. 신세
146 고성낙일(孤城�R日)
147 사해형제(四海兄弟)
148 춘래불사춘(春來�j似春)
149 후생가외(後生可畏)
20. 생사
150 구사일생(九死一生)
151 구우일모(九牛一毛)
152 기사회생(起死回生)
153 수구초심(首丘初心)
154 철부지급(轍뭣之急)
155 표사유피인사유명(豹死留皮人死留名)
21. 막상막하
156 난형난제(難兄難弟)
157 대동소이(大同小異)
158 백중지세(伯仲之勢)
159 동병상련(同病相��
160 군맹평상(群盲評象)
161 승패병가상사(勝敗兵家常事)
162 오십보백보(五十步百步)
22. 관리
163 계포일락(季布一諾)
164 동호직필(董狐直筆)
165 문전성시(門前成市)
166 증죄부증인(憎罪不憎人)
167 유비무환(有備無患)
23. 고집불통
168 각주구검(刻舟求劍)
169 미생지신(尾生之信)
170 양포지구(楊布之狗)
171 정중지와(井中之蛙)
172 백면서생(白面書生)
173 선입견(先入�w)
24. 여성
174 거안제미(擧案齊眉)
175 내조지공(內助之功)
176 단장(斷腸)
177 미망인(未亡人)
178 천의무봉(天衣無縫)
179 식자우환(�字憂患)
25. 은원
180 결초보은(結草報恩)
181 오월동주(吳越同舟)
182 유음덕자필유양보(有陰德者必有陽報)
183 일모도원(日暮途遠)
26. 핑계
184 백안시(白眼視)
185 능서불택필(能書�j澤筆)
186 다기망양(多岐亡羊)
187 금의야행(錦衣夜行)
188 자포자기(自�自棄)
27. 망가망국
189 만사휴의(萬事休矣)
190 수청무대어(水淸無大魚)
191 사분오열(四分五裂)
192 유주망국(有酒亡國)
28. 자연적
193 남귤북지(南橘北枳)
194 상전벽해(桑田碧海)
195 의식족이지예절(衣食足而之禮節)
196 전전반측(輾轉反側)
197 지족자부(知足者富)
198 천고마비(天高馬肥)
29. 위험
199 누란지위(�A卵之危)
200 득롱망촉(得��妓�
201 모순(矛盾)
202 부중지어(釜中之魚)
203 삼인성호(三人成虎)
204 식소사번(食少事煩)
205 양두구육(羊頭狗肉)
206 앙급지어(殃及池魚)
207 오합지중(烏合之衆)
��빛��208 평지풍파(平地風波)
30. 기타
209 호접지몽(胡蝶之夢)
210 효시(嚆矢)
211 오리무중(五��霧中)
212 옥상가옥(屋上架屋)
213 옥석구분(玉石俱焚)
214 욕속부달욕교반졸(欲速不達欲巧反拙)
01. 반품기한
- 단순 변심인 경우 : 상품 수령 후 7일 이내 신청
- 상품 불량/오배송인 경우 : 상품 수령 후 3개월 이내, 혹은 그 사실을 알게 된 이후 30일 이내 반품 신청 가능
02. 반품 배송비
반품사유 | 반품 배송비 부담자 |
---|---|
단순변심 | 고객 부담이며, 최초 배송비를 포함해 왕복 배송비가 발생합니다. 또한, 도서/산간지역이거나 설치 상품을 반품하는 경우에는 배송비가 추가될 수 있습니다. |
고객 부담이 아닙니다. |
03. 배송상태에 따른 환불안내
진행 상태 | 결제완료 | 상품준비중 | 배송지시/배송중/배송완료 |
---|---|---|---|
어떤 상태 | 주문 내역 확인 전 | 상품 발송 준비 중 | 상품이 택배사로 이미 발송 됨 |
환불 | 즉시환불 | 구매취소 의사전달 → 발송중지 → 환불 | 반품회수 → 반품상품 확인 → 환불 |
04. 취소방법
- 결제완료 또는 배송상품은 1:1 문의에 취소신청해 주셔야 합니다.
- 특정 상품의 경우 취소 수수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05. 환불시점
결제수단 | 환불시점 | 환불방법 |
---|---|---|
신용카드 | 취소완료 후, 3~5일 내 카드사 승인취소(영업일 기준) | 신용카드 승인취소 |
계좌이체 |
실시간 계좌이체 또는 무통장입금 취소완료 후, 입력하신 환불계좌로 1~2일 내 환불금액 입금(영업일 기준) |
계좌입금 |
휴대폰 결제 |
당일 구매내역 취소시 취소 완료 후, 6시간 이내 승인취소 전월 구매내역 취소시 취소 완료 후, 1~2일 내 환불계좌로 입금(영업일 기준) |
당일취소 : 휴대폰 결제 승인취소 익월취소 : 계좌입금 |
포인트 | 취소 완료 후, 당일 포인트 적립 | 환불 포인트 적립 |
06. 취소반품 불가 사유
- 단순변심으로 인한 반품 시, 배송 완료 후 7일이 지나면 취소/반품 신청이 접수되지 않습니다.
- 주문/제작 상품의 경우, 상품의 제작이 이미 진행된 경우에는 취소가 불가합니다.
- 구성품을 분실하였거나 취급 부주의로 인한 파손/고장/오염된 경우에는 취소/반품이 제한됩니다.
- 제조사의 사정 (신모델 출시 등) 및 부품 가격변동 등에 의해 가격이 변동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반품 및 가격보상은 불가합니다.
- 뷰티 상품 이용 시 트러블(알러지, 붉은 반점, 가려움, 따가움)이 발생하는 경우 진료 확인서 및 소견서 등을 증빙하면 환불이 가능하지만 이 경우, 제반 비용은 고객님께서 부담하셔야 합니다.
- 각 상품별로 아래와 같은 사유로 취소/반품이 제한 될 수 있습니다.
상품군 | 취소/반품 불가사유 |
---|---|
의류/잡화/수입명품 | 상품의 택(TAG) 제거/라벨 및 상품 훼손으로 상품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된 경우 |
계절상품/식품/화장품 | 고객님의 사용, 시간경과, 일부 소비에 의하여 상품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
가전/설치상품 | 전자제품 특성 상, 정품 스티커가 제거되었거나 설치 또는 사용 이후에 단순변심인 경우, 액정화면이 부착된 상품의 전원을 켠 경우 (상품불량으로 인한 교환/반품은 AS센터의 불량 판정을 받아야 합니다.) |
자동차용품 | 상품을 개봉하여 장착한 이후 단순변심의 경우 |
CD/DVD/GAME/BOOK등 | 복제가 가능한 상품의 포장 등을 훼손한 경우 |
상품의 시리얼 넘버 유출로 내장된 소프트웨어의 가치가 감소한 경우 | |
노트북, 테스크탑 PC 등 | 홀로그램 등을 분리, 분실, 훼손하여 상품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하여 재판매가 불가할 경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