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소개
▣ 출판사서평
인류 문화의 위대한 꿈 당시를 순수한 노랫가락으로 읽다!
당시에 녹아 있는 리듬을 눈으로 보여주고 귀로 들려줌으로써
그 흥감興感에 동참할 수 있도록 한 대가의 당시 번역서!
구순九旬의 한문학 원로 손종섭 선생은 젊은 시절 이태준의 《문장강화》에 심취했다. 지금도 우리말 문장에 대한 교본으로 꼽히는 《문장강화》는 산문으로 되어 있지만 우리말 가락과 장단의 묘미가 그대로 녹아 있다. 문장의 리듬에 대한 저자의 관심은 이 책 《노래로 읽는 당시》에서도 살아난다. 인류 문화의 위대한 유산이자 꿈인 당시唐詩를 초당初唐의 왕발과 낙빈왕에서 성당盛唐의 이백과 두보를 거쳐 만당晩唐의 두목과 허흔까지 180여 수의 시로 집대성한 이 책은 당시를 우리말의 리듬과 운율을 살려 번역함은 물론, 평설에서도 우리말의 가락을 살려 유려하게 해설해내고 있다. 또한 모든 번역 시를 리듬에 따라 줄 바꿈하여 그 흥감을 돋구고, 원문에서도 한자를 의미에 따라 나누었으며, 우리말 토를 달아 노랫가락으로 읽을 수 있도록 했다. 그리고 압운법과 평측율에 의해 정형적인 리듬이 짜여 있는 당시 악보(247쪽·317쪽)를 수록하여 독자들로 하여금 참 감동을 느낄 수 있도록 배려했다.
당시의 정형적인 리듬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두보의 〈강 마을(江村)〉을 꼽을 수 있다.
맑은 강 한 굽이가
마을을 안아 흐르나니,
긴 여름 강 마을은
일일이 그윽하다.
멋대로 드나듦은
마루 위의 제비요,
서로들 정답기는
물속의 갈매길다.
아내는 종이에 그려
바둑판을 만드는데,
어린놈은 바늘을 두들겨
낚시를 치고 있다.
병 많은 몸, 바라기야
약이나 얻었으면 할 뿐,
이 밖에야 다시 또
무엇을 원하리요?
淸江一曲이 抱村流 長夏江村事事幽라
自去自來는 堂上燕이요 相親相近은 水中鷗라
老妻는 畵紙爲碁局이요 稚子는 敲針作釣鉤라
多病所須唯藥物이니 微驅此外에 更何求아
〈강 마을〉은 두보가 49세 때의 작품이다. 두보는 성도의 완화계가에 터를 얻어 초가 한 채를 얽으니, 이른바 ‘완화초당’이다. 고난을 거듭해오던 오랜 동안의 떠돌이생활을 끝내고, 이제 안주할 수 있는 ‘내 집’을 가지게 된 데 대한, 그와 그 가족의 기쁨과 안도의 감정이 전편에 넘친다. “淸江一曲이 抱村流 長夏江村事事幽라”. 1연에는 치런치런한 풍운이 돈다. 이 느직하고도 넉넉한 흐름의 여유는, 이 시인의 느긋하고도 흐뭇한 가슴속의 여유이기도 하다. 이 시의 구성은 두괄식이요 연역적이어서, 2?3?4연은 다 1연의 ‘事事幽’의 내용을 사례별로 부연한 것이 된다. 제2연 “自去自來는 堂上燕이요 相親相近은 水中鷗라”. 처마 끝에 깃들인 제비는 제 마음 내키는 대로 자유로이 날아갔다 날아왔다 하늘을 드나들고, 물에 노니는 갈매기들은 뜨랑 잠기랑 서로 정다이 놀고 있다. 사랑으로 가득한, 이 자유로움과 평화로움! 그것은 곧, 작자의 심상에 어린, 그의 자연관이며 인생관이기도 하다.
시의 리듬뿐만 아니라 시의 해석을 바로잡는 면에서도 저자의 노력은 투철하다. 두보의 시 〈등고登高〉는 그의 가장 역작이요, 고금古今 칠언율시의 압권으로 정평이 나 있는 명시 중의 명시이다. 그런 만큼 이 시는 우리나라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에 교재로 채택되어 물 흐르듯 유창한 《두시언해杜詩諺解》의 역시와 함께 회자되어왔다. 그런데 이상스럽게도 마지막 연인 “艱難苦恨繁霜?하니 ?倒新停濁酒杯라”만큼은 ‘새로이 술을 끊은 것’으로 잘못 해석되어왔다. 이것은 ‘탁주잔을 새로이 든 것’으로 해석하는 것이 옳다. 마지막 연 중 ‘정배停杯’란 ‘거배擧杯 → 정배停杯 → 함배銜杯 → 경배傾杯 → 건배乾杯’ 등 음주 동작의 여러 단계 중 하나로서, 술잔을 입으로 가져가기 전에 손에 멈추어 들고 잠시 뜸을 들이는 과정을 일컫는 용어다. 이백, 백거이, 이숭인 등 여러 시인들의 작품들에서도 역시 술잔을 든다는 의미로 쓰였으며, 시작詩作 당시 두보의 건강 상태, 그리고 무엇보다 〈등고〉에서 의미의 흐름을 볼 때 ‘술잔을 든 것’으로 해석할 수밖에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고금의 많은 해설가들이 똑같은 오류를 범해왔던 것이다. 이러한 오류가 되풀이돼온 이유는 과거 사람들의 해석에 반기를 들지 못하는 고루한 풍조가 큰 역할을 했고, 가장 중요하게는 시인의 마음속으로 들어가 그 감정을 느끼려는 노력이 부족했기 때문이다.
감동이란 ‘감정의 떨림’이다. 떨림을 가진 감정은 리듬에 의해서 나타낼 수 있고, 리듬에 의해 재생될 수 있다. 시를 감상함에 있어서 그 시에 내장되어 있는 리듬에 따라 노래로 나타냈을 때 가장 효과적으로 반응하여 독자의 가슴에 재생·재연될 수 있다. 시는 시대로 나는 나대로, 이편에서 저편을 바라보는 시는 구경하는 시일 뿐, 시신詩神에 접신하는 시가 되지 못한다. 아흔 살의 나이지만 홍안의 청년처럼 패기 넘치는 한문학 원로가 전하는 투명한 당시 가락에 함께 귀 기울여보자.
▣ 작가 소개
저 : 손종섭
1918년생으로, 연희전문학교(연세대학교 전신) 문과 3년을 졸업했다. 한학자인 선친 월은月隱 손병하孫秉河 선생에게서 시종 가학家學을 전수했다. 30여 년 교직에 있다가 지병으로 사직하고, 시난고난 어렵게 지내다가 70세를 넘기고 건강을 회복하자, 그동안 답쌓였던 말들을 쏟아내기 시작했다.
우리 선인들의, 우수 한시 250수를 우리의 국문학으로 환원한다는 정성으로 복원하고, 평설評說을 가한 『옛 시정을 더듬어』, 이 책의 자매편으로 한시의 본고장인 중국의 대표 시인인 이백과 두보의 시를 새로운 시각에서 평한 『이두시신평李杜詩新評』, 우리말의 성조聲調에 대한 난맥상을 바로잡겠다는, 젊었을 때부터의 숙제였던 평측平仄에 의한 고저高低의 법칙을 밝힌 『우리말의 고저장단』, 한양대학교 대학원 국문학과에 출강하면서, 역대 우수한 매화시(우리 한시) 136편을 뽑아 다시 꽃피워 본 『내 가슴에 매화 한 그루 심어놓고』, 『옛 시정을 더듬어』의 속편인 『다시 옛 시정을 더듬어』, 당시唐詩를 다루면서, 특히 운율을 중시한 『노래로 읽는 당시』, 우리 한시의 진수로서, 현대 정서와 긴밀한 216편을 뽑아 노래한 『손끝에 남은 향기』를 펴냈으며, 그 밖에 『국역 충의록』, 『청원시초淸苑詩抄』, 『송강가사정해松江歌辭精解』가 있다.
▣ 주요 목차
개정판 서문
태학사판 서문
춘강화월야春江花月夜
옥중에서 매미소리를 들으며
역수에서의 송별
좌천되어가는 친구를 보내며
백발 늙은이
북망산
고향에 돌아와서
원씨의 별장에서
당신이 떠난 후론
달을 바라보며
거울을 바라보며
재상직을 그만두고
양주사
관작루에 올라
양주사
나그네 뱃길
연밤 따는 노래
서궁추원
봄 아침
전원의 즐거움
죽리관
장소부에게 답하여
향적사를 찾아
망천장에 돌아와서
비 갠 뒤
송별
집 생각
한강을 바라보며
숭산에 돌아와서
최처사의 임정에 들러
새소리 개울 소리
송별
목련화 핀 언덕
친구를 묻고 오며
반석 위에서
임을 보내며
봄을 보내며
산촌의 가을 저녁
망천별장을 떠나며
장성사 수
아미산의 달
옥계원
자야오가(가을)
자야오가(겨울)
봄바람에 누워
봄 시름
양반아
삼오칠언
혼자 마시다
술은 안 오고
달 아래 혼자 마시며
술잔 손에 들고
주거니 받거니
공산에 누우면
마주앉아 마시며
양양가
장진주
경정산을 바라보며
산중문답
여산폭포를 지나며
삼협을 지나며
신평루에 올라
봉황대에 올라
황학루에서 맹호연을 보내고
하지장을 그리워하며
금릉을 떠나면서
벗을 보내며
고요한 밤에
봄밤 피리 소리를 들으며
추포에서
여름날 산중에서
제야
황학루
강남곡
선원
눈 오는 밤
풍교 아래 밤배에서
강행
국사직을 보내며
아까워라!
달밤
위팔처사에게
못 믿을 봄빛
봄바람이 날 속여
늘그막의 봄맞이
가는 봄
창밖의 수양버들
강 마을
봄밤의 단비
강정
나그네 밤의 회포
친구를 맞아
밤배에서
병거행
신안리
석호리
동관리
신혼별
수로별
무가별
한스러운 이별
외기러기
등고
나그네의 밤
못 가는 고향
악양루에 올라
강촌(1)
강촌(2)
강촌(3)
제갈공명의 사당을 찾아
곡강에서
봄빛을 바라보며
또 만났구려
북정北征
봄꿈
고향 가는 벗을 보내고
안부나 전해주오
양원에서
동정호를 바라보며
춘사
친구를 보내며
가을 밤 벗에게
산에 살며
객지에서 옛 친구를 만나
강 마을에 돌아와서
춘원
유자의 노래
망부석
춘규
꺾여 나간 버들가지
농사일의 딱함
가을바람
낭도사사
꽃 보며 술 마시며
오의항
장한가長恨歌
비파행琵琶行
숯 파는 늙은이
태행로太行路
연꽃과 소녀
늙은 버드나무
다듬이 소리
죽지사
밥 먹고 나서
메밀꽃
황혼에 서서
원진을 생각하며
다 못 적은 사연
강에 내리는 눈
지는 꽃
아내의 여막에서
그대 좌천되다니?
이 산중에 있으련마는
상간수를 건너
장진주
감풍
소소소가
대제곡
임 기다리는 마음
장강을 내려가며
함양성 동루
봄은 온다만
홍안은 어딜 가고
강남의 봄
떠나는 마음
산길
금루의
권주
강루에서
비 오는 밤 아내에게
금슬
농서의 노래
금릉도
친구와 헤어지며
귀양 가는 길
찾아보기
원제 찾아보기
인류 문화의 위대한 꿈 당시를 순수한 노랫가락으로 읽다!
당시에 녹아 있는 리듬을 눈으로 보여주고 귀로 들려줌으로써
그 흥감興感에 동참할 수 있도록 한 대가의 당시 번역서!
구순九旬의 한문학 원로 손종섭 선생은 젊은 시절 이태준의 《문장강화》에 심취했다. 지금도 우리말 문장에 대한 교본으로 꼽히는 《문장강화》는 산문으로 되어 있지만 우리말 가락과 장단의 묘미가 그대로 녹아 있다. 문장의 리듬에 대한 저자의 관심은 이 책 《노래로 읽는 당시》에서도 살아난다. 인류 문화의 위대한 유산이자 꿈인 당시唐詩를 초당初唐의 왕발과 낙빈왕에서 성당盛唐의 이백과 두보를 거쳐 만당晩唐의 두목과 허흔까지 180여 수의 시로 집대성한 이 책은 당시를 우리말의 리듬과 운율을 살려 번역함은 물론, 평설에서도 우리말의 가락을 살려 유려하게 해설해내고 있다. 또한 모든 번역 시를 리듬에 따라 줄 바꿈하여 그 흥감을 돋구고, 원문에서도 한자를 의미에 따라 나누었으며, 우리말 토를 달아 노랫가락으로 읽을 수 있도록 했다. 그리고 압운법과 평측율에 의해 정형적인 리듬이 짜여 있는 당시 악보(247쪽·317쪽)를 수록하여 독자들로 하여금 참 감동을 느낄 수 있도록 배려했다.
당시의 정형적인 리듬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두보의 〈강 마을(江村)〉을 꼽을 수 있다.
맑은 강 한 굽이가
마을을 안아 흐르나니,
긴 여름 강 마을은
일일이 그윽하다.
멋대로 드나듦은
마루 위의 제비요,
서로들 정답기는
물속의 갈매길다.
아내는 종이에 그려
바둑판을 만드는데,
어린놈은 바늘을 두들겨
낚시를 치고 있다.
병 많은 몸, 바라기야
약이나 얻었으면 할 뿐,
이 밖에야 다시 또
무엇을 원하리요?
淸江一曲이 抱村流 長夏江村事事幽라
自去自來는 堂上燕이요 相親相近은 水中鷗라
老妻는 畵紙爲碁局이요 稚子는 敲針作釣鉤라
多病所須唯藥物이니 微驅此外에 更何求아
〈강 마을〉은 두보가 49세 때의 작품이다. 두보는 성도의 완화계가에 터를 얻어 초가 한 채를 얽으니, 이른바 ‘완화초당’이다. 고난을 거듭해오던 오랜 동안의 떠돌이생활을 끝내고, 이제 안주할 수 있는 ‘내 집’을 가지게 된 데 대한, 그와 그 가족의 기쁨과 안도의 감정이 전편에 넘친다. “淸江一曲이 抱村流 長夏江村事事幽라”. 1연에는 치런치런한 풍운이 돈다. 이 느직하고도 넉넉한 흐름의 여유는, 이 시인의 느긋하고도 흐뭇한 가슴속의 여유이기도 하다. 이 시의 구성은 두괄식이요 연역적이어서, 2?3?4연은 다 1연의 ‘事事幽’의 내용을 사례별로 부연한 것이 된다. 제2연 “自去自來는 堂上燕이요 相親相近은 水中鷗라”. 처마 끝에 깃들인 제비는 제 마음 내키는 대로 자유로이 날아갔다 날아왔다 하늘을 드나들고, 물에 노니는 갈매기들은 뜨랑 잠기랑 서로 정다이 놀고 있다. 사랑으로 가득한, 이 자유로움과 평화로움! 그것은 곧, 작자의 심상에 어린, 그의 자연관이며 인생관이기도 하다.
시의 리듬뿐만 아니라 시의 해석을 바로잡는 면에서도 저자의 노력은 투철하다. 두보의 시 〈등고登高〉는 그의 가장 역작이요, 고금古今 칠언율시의 압권으로 정평이 나 있는 명시 중의 명시이다. 그런 만큼 이 시는 우리나라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에 교재로 채택되어 물 흐르듯 유창한 《두시언해杜詩諺解》의 역시와 함께 회자되어왔다. 그런데 이상스럽게도 마지막 연인 “艱難苦恨繁霜?하니 ?倒新停濁酒杯라”만큼은 ‘새로이 술을 끊은 것’으로 잘못 해석되어왔다. 이것은 ‘탁주잔을 새로이 든 것’으로 해석하는 것이 옳다. 마지막 연 중 ‘정배停杯’란 ‘거배擧杯 → 정배停杯 → 함배銜杯 → 경배傾杯 → 건배乾杯’ 등 음주 동작의 여러 단계 중 하나로서, 술잔을 입으로 가져가기 전에 손에 멈추어 들고 잠시 뜸을 들이는 과정을 일컫는 용어다. 이백, 백거이, 이숭인 등 여러 시인들의 작품들에서도 역시 술잔을 든다는 의미로 쓰였으며, 시작詩作 당시 두보의 건강 상태, 그리고 무엇보다 〈등고〉에서 의미의 흐름을 볼 때 ‘술잔을 든 것’으로 해석할 수밖에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고금의 많은 해설가들이 똑같은 오류를 범해왔던 것이다. 이러한 오류가 되풀이돼온 이유는 과거 사람들의 해석에 반기를 들지 못하는 고루한 풍조가 큰 역할을 했고, 가장 중요하게는 시인의 마음속으로 들어가 그 감정을 느끼려는 노력이 부족했기 때문이다.
감동이란 ‘감정의 떨림’이다. 떨림을 가진 감정은 리듬에 의해서 나타낼 수 있고, 리듬에 의해 재생될 수 있다. 시를 감상함에 있어서 그 시에 내장되어 있는 리듬에 따라 노래로 나타냈을 때 가장 효과적으로 반응하여 독자의 가슴에 재생·재연될 수 있다. 시는 시대로 나는 나대로, 이편에서 저편을 바라보는 시는 구경하는 시일 뿐, 시신詩神에 접신하는 시가 되지 못한다. 아흔 살의 나이지만 홍안의 청년처럼 패기 넘치는 한문학 원로가 전하는 투명한 당시 가락에 함께 귀 기울여보자.
▣ 작가 소개
저 : 손종섭
1918년생으로, 연희전문학교(연세대학교 전신) 문과 3년을 졸업했다. 한학자인 선친 월은月隱 손병하孫秉河 선생에게서 시종 가학家學을 전수했다. 30여 년 교직에 있다가 지병으로 사직하고, 시난고난 어렵게 지내다가 70세를 넘기고 건강을 회복하자, 그동안 답쌓였던 말들을 쏟아내기 시작했다.
우리 선인들의, 우수 한시 250수를 우리의 국문학으로 환원한다는 정성으로 복원하고, 평설評說을 가한 『옛 시정을 더듬어』, 이 책의 자매편으로 한시의 본고장인 중국의 대표 시인인 이백과 두보의 시를 새로운 시각에서 평한 『이두시신평李杜詩新評』, 우리말의 성조聲調에 대한 난맥상을 바로잡겠다는, 젊었을 때부터의 숙제였던 평측平仄에 의한 고저高低의 법칙을 밝힌 『우리말의 고저장단』, 한양대학교 대학원 국문학과에 출강하면서, 역대 우수한 매화시(우리 한시) 136편을 뽑아 다시 꽃피워 본 『내 가슴에 매화 한 그루 심어놓고』, 『옛 시정을 더듬어』의 속편인 『다시 옛 시정을 더듬어』, 당시唐詩를 다루면서, 특히 운율을 중시한 『노래로 읽는 당시』, 우리 한시의 진수로서, 현대 정서와 긴밀한 216편을 뽑아 노래한 『손끝에 남은 향기』를 펴냈으며, 그 밖에 『국역 충의록』, 『청원시초淸苑詩抄』, 『송강가사정해松江歌辭精解』가 있다.
▣ 주요 목차
개정판 서문
태학사판 서문
춘강화월야春江花月夜
옥중에서 매미소리를 들으며
역수에서의 송별
좌천되어가는 친구를 보내며
백발 늙은이
북망산
고향에 돌아와서
원씨의 별장에서
당신이 떠난 후론
달을 바라보며
거울을 바라보며
재상직을 그만두고
양주사
관작루에 올라
양주사
나그네 뱃길
연밤 따는 노래
서궁추원
봄 아침
전원의 즐거움
죽리관
장소부에게 답하여
향적사를 찾아
망천장에 돌아와서
비 갠 뒤
송별
집 생각
한강을 바라보며
숭산에 돌아와서
최처사의 임정에 들러
새소리 개울 소리
송별
목련화 핀 언덕
친구를 묻고 오며
반석 위에서
임을 보내며
봄을 보내며
산촌의 가을 저녁
망천별장을 떠나며
장성사 수
아미산의 달
옥계원
자야오가(가을)
자야오가(겨울)
봄바람에 누워
봄 시름
양반아
삼오칠언
혼자 마시다
술은 안 오고
달 아래 혼자 마시며
술잔 손에 들고
주거니 받거니
공산에 누우면
마주앉아 마시며
양양가
장진주
경정산을 바라보며
산중문답
여산폭포를 지나며
삼협을 지나며
신평루에 올라
봉황대에 올라
황학루에서 맹호연을 보내고
하지장을 그리워하며
금릉을 떠나면서
벗을 보내며
고요한 밤에
봄밤 피리 소리를 들으며
추포에서
여름날 산중에서
제야
황학루
강남곡
선원
눈 오는 밤
풍교 아래 밤배에서
강행
국사직을 보내며
아까워라!
달밤
위팔처사에게
못 믿을 봄빛
봄바람이 날 속여
늘그막의 봄맞이
가는 봄
창밖의 수양버들
강 마을
봄밤의 단비
강정
나그네 밤의 회포
친구를 맞아
밤배에서
병거행
신안리
석호리
동관리
신혼별
수로별
무가별
한스러운 이별
외기러기
등고
나그네의 밤
못 가는 고향
악양루에 올라
강촌(1)
강촌(2)
강촌(3)
제갈공명의 사당을 찾아
곡강에서
봄빛을 바라보며
또 만났구려
북정北征
봄꿈
고향 가는 벗을 보내고
안부나 전해주오
양원에서
동정호를 바라보며
춘사
친구를 보내며
가을 밤 벗에게
산에 살며
객지에서 옛 친구를 만나
강 마을에 돌아와서
춘원
유자의 노래
망부석
춘규
꺾여 나간 버들가지
농사일의 딱함
가을바람
낭도사사
꽃 보며 술 마시며
오의항
장한가長恨歌
비파행琵琶行
숯 파는 늙은이
태행로太行路
연꽃과 소녀
늙은 버드나무
다듬이 소리
죽지사
밥 먹고 나서
메밀꽃
황혼에 서서
원진을 생각하며
다 못 적은 사연
강에 내리는 눈
지는 꽃
아내의 여막에서
그대 좌천되다니?
이 산중에 있으련마는
상간수를 건너
장진주
감풍
소소소가
대제곡
임 기다리는 마음
장강을 내려가며
함양성 동루
봄은 온다만
홍안은 어딜 가고
강남의 봄
떠나는 마음
산길
금루의
권주
강루에서
비 오는 밤 아내에게
금슬
농서의 노래
금릉도
친구와 헤어지며
귀양 가는 길
찾아보기
원제 찾아보기
01. 반품기한
- 단순 변심인 경우 : 상품 수령 후 7일 이내 신청
- 상품 불량/오배송인 경우 : 상품 수령 후 3개월 이내, 혹은 그 사실을 알게 된 이후 30일 이내 반품 신청 가능
02. 반품 배송비
반품사유 | 반품 배송비 부담자 |
---|---|
단순변심 | 고객 부담이며, 최초 배송비를 포함해 왕복 배송비가 발생합니다. 또한, 도서/산간지역이거나 설치 상품을 반품하는 경우에는 배송비가 추가될 수 있습니다. |
고객 부담이 아닙니다. |
03. 배송상태에 따른 환불안내
진행 상태 | 결제완료 | 상품준비중 | 배송지시/배송중/배송완료 |
---|---|---|---|
어떤 상태 | 주문 내역 확인 전 | 상품 발송 준비 중 | 상품이 택배사로 이미 발송 됨 |
환불 | 즉시환불 | 구매취소 의사전달 → 발송중지 → 환불 | 반품회수 → 반품상품 확인 → 환불 |
04. 취소방법
- 결제완료 또는 배송상품은 1:1 문의에 취소신청해 주셔야 합니다.
- 특정 상품의 경우 취소 수수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05. 환불시점
결제수단 | 환불시점 | 환불방법 |
---|---|---|
신용카드 | 취소완료 후, 3~5일 내 카드사 승인취소(영업일 기준) | 신용카드 승인취소 |
계좌이체 |
실시간 계좌이체 또는 무통장입금 취소완료 후, 입력하신 환불계좌로 1~2일 내 환불금액 입금(영업일 기준) |
계좌입금 |
휴대폰 결제 |
당일 구매내역 취소시 취소 완료 후, 6시간 이내 승인취소 전월 구매내역 취소시 취소 완료 후, 1~2일 내 환불계좌로 입금(영업일 기준) |
당일취소 : 휴대폰 결제 승인취소 익월취소 : 계좌입금 |
포인트 | 취소 완료 후, 당일 포인트 적립 | 환불 포인트 적립 |
06. 취소반품 불가 사유
- 단순변심으로 인한 반품 시, 배송 완료 후 7일이 지나면 취소/반품 신청이 접수되지 않습니다.
- 주문/제작 상품의 경우, 상품의 제작이 이미 진행된 경우에는 취소가 불가합니다.
- 구성품을 분실하였거나 취급 부주의로 인한 파손/고장/오염된 경우에는 취소/반품이 제한됩니다.
- 제조사의 사정 (신모델 출시 등) 및 부품 가격변동 등에 의해 가격이 변동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반품 및 가격보상은 불가합니다.
- 뷰티 상품 이용 시 트러블(알러지, 붉은 반점, 가려움, 따가움)이 발생하는 경우 진료 확인서 및 소견서 등을 증빙하면 환불이 가능하지만 이 경우, 제반 비용은 고객님께서 부담하셔야 합니다.
- 각 상품별로 아래와 같은 사유로 취소/반품이 제한 될 수 있습니다.
상품군 | 취소/반품 불가사유 |
---|---|
의류/잡화/수입명품 | 상품의 택(TAG) 제거/라벨 및 상품 훼손으로 상품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된 경우 |
계절상품/식품/화장품 | 고객님의 사용, 시간경과, 일부 소비에 의하여 상품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
가전/설치상품 | 전자제품 특성 상, 정품 스티커가 제거되었거나 설치 또는 사용 이후에 단순변심인 경우, 액정화면이 부착된 상품의 전원을 켠 경우 (상품불량으로 인한 교환/반품은 AS센터의 불량 판정을 받아야 합니다.) |
자동차용품 | 상품을 개봉하여 장착한 이후 단순변심의 경우 |
CD/DVD/GAME/BOOK등 | 복제가 가능한 상품의 포장 등을 훼손한 경우 |
상품의 시리얼 넘버 유출로 내장된 소프트웨어의 가치가 감소한 경우 | |
노트북, 테스크탑 PC 등 | 홀로그램 등을 분리, 분실, 훼손하여 상품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하여 재판매가 불가할 경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