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소개
▣ 출판사서평
2002년 제7차 교육과정에 따라 한국 근현대사 교과서가 새롭게 도입되었다. 그러나 2004년부터 교과 내용에 대한 논란이 시작되었고 아직까지도 잦아들지 않고 지속되고 있다. 교과서가 곧 입시와 연결된 한국에서 교과서 내용의 논란은 학생들에게 혼란과 부담을 가중시킨다. 논란을 종식하기 위해서는 역사적 사실에 대한 해석이 다양할수록 각각의 해석을 뒷받침할 수 있는 균형잡힌 자료가 중요하다. 지금이라도 학생들이 균형잡힌 시각으로 역사적 사실에 접근할 수 있도록 어른들의 노력이 절실하게 필요하다.
우리가 우리 근현대사에 대하여 관심을 가지고 책을 출간하기 시작한 것은 오래된 일이 아니다. 해방 전에는 식민사학에 물들어 있었고, 해방 후에도 그 여파로 근현대사에 대한 책을 구하기 어려웠다. 그 후 1960년 4·19혁명을 계기로 민주화를 외치는 소리가 사회 구석구석까지 전달되면서 근현대사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졌고, 1980년대에 드디어 현대사 연구가 붐을 이루어 ‘한국근현대사’라는 연구 분야가 자리를 잡았다.
이 책은 한국근현대사 분야의 거목이자 우리나라 독립운동사를 개척한 1세대 대표학자인 조동걸 교수가 50년 동안 연구한 내용을 바탕으로 한국 근현대사를 새롭게 정리한 것이다. 정치·경제·사회·문화 각 방면에서 변화가 나타나고 개혁이 일어난 1860년대를 한국 근대의 기점으로 삼고 오늘날까지 3단계로 구분지어 서술하고 있다. 1단계는 근대적 사회변동과 자주개혁의 추진(1860~1910), 2단계는 일제의 강점과 독립운동의 전개(1910~1945), 3단계는 해방과 분단 정국의 혼돈과 현대사의 전개(1945~현재)이다. 각 단계별 시기적 특징과 역사 사실을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고 있어 교과서의 참고도서로 유용하다. 그리고 그동안 수집한 방대한 자료를 다양한 표로 그려냄으로써 당시 실상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으며, 책 말미에 수록한 한국근현대사 연표는 연도별 · 사건별로 정리하여 근현대사의 전체적인 흐름을 읽는 데 도움을 준다. 더불어 이 시대를 겪은 저자이기에 자신의 경험담이나 강의에서 학생들이 질문한 내용도 담겨 있어 재미를 더해 준다.
3·1운동은 3·1혁명이다
역사연구는 역사적 사실을 고증하고 미래지향적 성격을 분석하는 평론으로 이루어진다. 이 책은 평론을 중시한 개론으로 역사를 서술하면서 3·1운동을 ‘3·1혁명’이라고 표현하였다. 3·1혁명으로 주장하는 이유는 1919년 정치·경제·사회·문화의 지배자인 일본제국주의를 물리치고 조선 스스로 만든 역사를 요구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1910년대 독립운동의 이념이 복벽주의, 보황주의, 공화주의로 나타나고 있었는데, 3·1혁명에서 그것을 모두 청산하고 주권재민의 공화주의를 지향했기 때문이다.
혁명이라면 정권을 인수하거나 새로운 정권을 세워야 하는데, 임시정부에서 정식 정부를 세우지 못했기 때문에 ‘미완의 혁명’이라는 정치 논리의 주장도 있다. 그러나 3·1혁명은 일반적 민족혁명이 아니라 제국주의 식민 지배에 맞선 혁명이다.
한국인이 주인으로써 한국독립운동사를 중심으로 한 역사적 관점
저자는 독립운동사 연구를 시작으로 한국근대사 연구에 몸담은 이래, 50년 동안 우리 근현대사 연구에 매진하였다. 1965년부터는 교직생활과 독립편찬위원회 상임조사집필위원을 겸직하면서 매년 1000매 전후의 원고를 작성하였으며, 지금까지 52권의 저서와 450여 편의 논문과 논설문을 발표하는 열정을 보였다. 이 책에서 저자는 일제의 조선총독부를 중심으로 한 역사는 한국근대사가 아니라 일본근대사라고 말한다. 즉, 한국근대사는 한국인이 주인으로써 한국독립운동사를 중심으로 한 역사적 관점이 중요함을 일깨워주고 있다.
▣ 작가 소개
저자 : 조동걸
현재 국민대학교 명예교수, 역사문제연구소 고문, 평화와 통일을 위한 시민연대 고문, 백범 김구선생기념사업협회 고문, 임진란정신문화선양회 고문, 3·1혁명 100주년기념사업회 고문
. 주요경력
1932 경북 영양군 주곡리 출생
1957 경북대학교 역사학과 졸업, 동대학원 문학박사
1958~1965 강원도 고성고, 강릉농고, 춘천여중 교사
1965~1979 춘천교육대학교 교수, 교원연수원부원장, 민족교육
. 연구소장
1979~1981 안동대학교 교수, 박물관장
1981~1997 국민대학교 교수, 문과대학장, 박물관장, 대학원장
1990~1993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장
1994~1997 한국국학진흥원장
1997~현재 국민대학교 정년퇴임, 동대학교 명예교수
1998~2000 한국사학사연구학회장
2001~2004 한일역사공동연구위원회 위원장
. 수상
강원도문화상 학술상(1971), 국민훈장 동백장(1987), 한국출판문화상 저작상(1994), 성곡학술문화상(1999), 의암대상 학술상(2002), 독립기념관 학술상(2005), 용재학술상(2011) 수상
. 주요저서
『독립운동사』 전10권(1970~1978), 『太白의 歷史』(1973), 『횡성과 3·1운동』(1974), 『太白抗日史』(1976), 『日帝下韓國農民運... 動史』(1979), 『의병들의 항쟁』(1980), 『韓國近代史의 試鍊과 反省』(1989), 『한말의병전쟁』(1989),『韓國民族主義의 성립과 獨立運動
史硏究』(1989), 『韓國民族主義의 발전과 獨立運動史硏究』(1993),『한국의 역사가와 역사학 上·下』(공저, 1994), 『러시아의 한인과 민족운동』(공저, 1994), 『독립군의 길 따라 대륙을 가다』(1995), 『한국근대사의 서가』(1997), 『現代韓國史學史』(1998), 『韓國近現代史의 理解와 論理』(1998), 『韓國近現代史의 理想과 形象』(2001), 『그래도 역사의 힘을 믿는다』(2001), 『韓國近現代史의 探究』(2003),『한국독립운동의 이념과 방략』(2007), 『于史 趙東杰著述全集』 전20권(2010)
▣ 주요 목차
1장. 한국근대사 총론
[근대적 사회변동과 자주개혁]
1. 근대의 초기적 특징
2. 개항의 역사성과 사상계의 동향
3. 개혁과 열강의 각축
4. 동학농민전쟁과 갑오경장기의 사회문화
5. 대한제국의 성립과 시민운동의 대두
6. 영·미 지원을 받은 일본 제국주의
7. 반제국주의 독립운동의 전개
8. 자주개혁의 좌절과 대한제국의 멸망
[일본 제국주의의 한국 강점과 한국인의 독립운동]
1. 일제의 강점과 식민통치의 기조
2. 조선의 독립운동 전개와 의의
3. 일제강점기의 생활
2장. 조선의 자주개혁과 왕조의 동요
1. 1860년대의 변동과 개혁
2. 서양 제국주의의 아시아 침략과 조선에서 전개된 양요
3. 강화도조약과 열국과의 통상
4. 갑신정변과 갑오경장, 광무개혁
3장. 대한제국의 민중봉기
1. 동학농민전쟁과 폐정개혁안
2. 지계사업에 대한 정산농민의 항요
3. 광무농민운동의 전개와 중기의병의 궐기
4장. 일본 제국주의의 침략과 대한제국의 종말
1. 영·미의 책략과 일본 제국주의
2. 근대화개혁의 차질과 대한제국의 쇠퇴
3. 일제의 대한제국 국토 잠식
5장 일제의 강제병합과 강점기의 사회
1. 일제 강제조약의 불법성과 무효론
2. 식민통치의 시기별 특징
3. 일제강점기의 식민지 생활
6장. 독립운동의 전개와 특징
1. 한국독립운동의 특징
2. 한국독립운동의 반성
7장. 한국현대사 총론
1. 민족의 해방, 분단과 혼돈의 현대 초기
2. 분단정부의 수립과 농지개혁
3. 6·25전쟁과 정전 60년
4. 남북한의 문화적 업적과 문화재 정비
8장. 4·19혁명과 민족주의의 고양
1. 4·19혁명의 민주주의와 민족주의
2. 5·16쿠데타와 민주주의의 파탄
3. 군부독재와 민주화운동
4. 세계적 네오 내셔널리즘과 남북한 대응
5. 유신체제와 새마을운동
6. 1970년대 남북화해구도와 7·4남북공동성명
9장. 10·26 사태와 신군부의 등장
1. 부마민중항쟁과 10·26사태
2. 12·12쿠데타와 신군부의 등장
3. 1980년의 광주민주화운동
10장. 민주주의 개혁과 통일시대의 개막
1. 민간 정치인의 집권과 민주주의 개혁
2. IMF 신탁의 경제위기
3. 우주개발과 남북한의 인공위성
4. 지리와 환경변화에 따른 생활개혁
5. 한국 과학과 예술의 국제적 기여
6. 남북정상회담과 6·15공동선언
[부록] 한국근현대사 연표
2002년 제7차 교육과정에 따라 한국 근현대사 교과서가 새롭게 도입되었다. 그러나 2004년부터 교과 내용에 대한 논란이 시작되었고 아직까지도 잦아들지 않고 지속되고 있다. 교과서가 곧 입시와 연결된 한국에서 교과서 내용의 논란은 학생들에게 혼란과 부담을 가중시킨다. 논란을 종식하기 위해서는 역사적 사실에 대한 해석이 다양할수록 각각의 해석을 뒷받침할 수 있는 균형잡힌 자료가 중요하다. 지금이라도 학생들이 균형잡힌 시각으로 역사적 사실에 접근할 수 있도록 어른들의 노력이 절실하게 필요하다.
우리가 우리 근현대사에 대하여 관심을 가지고 책을 출간하기 시작한 것은 오래된 일이 아니다. 해방 전에는 식민사학에 물들어 있었고, 해방 후에도 그 여파로 근현대사에 대한 책을 구하기 어려웠다. 그 후 1960년 4·19혁명을 계기로 민주화를 외치는 소리가 사회 구석구석까지 전달되면서 근현대사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졌고, 1980년대에 드디어 현대사 연구가 붐을 이루어 ‘한국근현대사’라는 연구 분야가 자리를 잡았다.
이 책은 한국근현대사 분야의 거목이자 우리나라 독립운동사를 개척한 1세대 대표학자인 조동걸 교수가 50년 동안 연구한 내용을 바탕으로 한국 근현대사를 새롭게 정리한 것이다. 정치·경제·사회·문화 각 방면에서 변화가 나타나고 개혁이 일어난 1860년대를 한국 근대의 기점으로 삼고 오늘날까지 3단계로 구분지어 서술하고 있다. 1단계는 근대적 사회변동과 자주개혁의 추진(1860~1910), 2단계는 일제의 강점과 독립운동의 전개(1910~1945), 3단계는 해방과 분단 정국의 혼돈과 현대사의 전개(1945~현재)이다. 각 단계별 시기적 특징과 역사 사실을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고 있어 교과서의 참고도서로 유용하다. 그리고 그동안 수집한 방대한 자료를 다양한 표로 그려냄으로써 당시 실상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으며, 책 말미에 수록한 한국근현대사 연표는 연도별 · 사건별로 정리하여 근현대사의 전체적인 흐름을 읽는 데 도움을 준다. 더불어 이 시대를 겪은 저자이기에 자신의 경험담이나 강의에서 학생들이 질문한 내용도 담겨 있어 재미를 더해 준다.
3·1운동은 3·1혁명이다
역사연구는 역사적 사실을 고증하고 미래지향적 성격을 분석하는 평론으로 이루어진다. 이 책은 평론을 중시한 개론으로 역사를 서술하면서 3·1운동을 ‘3·1혁명’이라고 표현하였다. 3·1혁명으로 주장하는 이유는 1919년 정치·경제·사회·문화의 지배자인 일본제국주의를 물리치고 조선 스스로 만든 역사를 요구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1910년대 독립운동의 이념이 복벽주의, 보황주의, 공화주의로 나타나고 있었는데, 3·1혁명에서 그것을 모두 청산하고 주권재민의 공화주의를 지향했기 때문이다.
혁명이라면 정권을 인수하거나 새로운 정권을 세워야 하는데, 임시정부에서 정식 정부를 세우지 못했기 때문에 ‘미완의 혁명’이라는 정치 논리의 주장도 있다. 그러나 3·1혁명은 일반적 민족혁명이 아니라 제국주의 식민 지배에 맞선 혁명이다.
한국인이 주인으로써 한국독립운동사를 중심으로 한 역사적 관점
저자는 독립운동사 연구를 시작으로 한국근대사 연구에 몸담은 이래, 50년 동안 우리 근현대사 연구에 매진하였다. 1965년부터는 교직생활과 독립편찬위원회 상임조사집필위원을 겸직하면서 매년 1000매 전후의 원고를 작성하였으며, 지금까지 52권의 저서와 450여 편의 논문과 논설문을 발표하는 열정을 보였다. 이 책에서 저자는 일제의 조선총독부를 중심으로 한 역사는 한국근대사가 아니라 일본근대사라고 말한다. 즉, 한국근대사는 한국인이 주인으로써 한국독립운동사를 중심으로 한 역사적 관점이 중요함을 일깨워주고 있다.
▣ 작가 소개
저자 : 조동걸
현재 국민대학교 명예교수, 역사문제연구소 고문, 평화와 통일을 위한 시민연대 고문, 백범 김구선생기념사업협회 고문, 임진란정신문화선양회 고문, 3·1혁명 100주년기념사업회 고문
. 주요경력
1932 경북 영양군 주곡리 출생
1957 경북대학교 역사학과 졸업, 동대학원 문학박사
1958~1965 강원도 고성고, 강릉농고, 춘천여중 교사
1965~1979 춘천교육대학교 교수, 교원연수원부원장, 민족교육
. 연구소장
1979~1981 안동대학교 교수, 박물관장
1981~1997 국민대학교 교수, 문과대학장, 박물관장, 대학원장
1990~1993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장
1994~1997 한국국학진흥원장
1997~현재 국민대학교 정년퇴임, 동대학교 명예교수
1998~2000 한국사학사연구학회장
2001~2004 한일역사공동연구위원회 위원장
. 수상
강원도문화상 학술상(1971), 국민훈장 동백장(1987), 한국출판문화상 저작상(1994), 성곡학술문화상(1999), 의암대상 학술상(2002), 독립기념관 학술상(2005), 용재학술상(2011) 수상
. 주요저서
『독립운동사』 전10권(1970~1978), 『太白의 歷史』(1973), 『횡성과 3·1운동』(1974), 『太白抗日史』(1976), 『日帝下韓國農民運... 動史』(1979), 『의병들의 항쟁』(1980), 『韓國近代史의 試鍊과 反省』(1989), 『한말의병전쟁』(1989),『韓國民族主義의 성립과 獨立運動
史硏究』(1989), 『韓國民族主義의 발전과 獨立運動史硏究』(1993),『한국의 역사가와 역사학 上·下』(공저, 1994), 『러시아의 한인과 민족운동』(공저, 1994), 『독립군의 길 따라 대륙을 가다』(1995), 『한국근대사의 서가』(1997), 『現代韓國史學史』(1998), 『韓國近現代史의 理解와 論理』(1998), 『韓國近現代史의 理想과 形象』(2001), 『그래도 역사의 힘을 믿는다』(2001), 『韓國近現代史의 探究』(2003),『한국독립운동의 이념과 방략』(2007), 『于史 趙東杰著述全集』 전20권(2010)
▣ 주요 목차
1장. 한국근대사 총론
[근대적 사회변동과 자주개혁]
1. 근대의 초기적 특징
2. 개항의 역사성과 사상계의 동향
3. 개혁과 열강의 각축
4. 동학농민전쟁과 갑오경장기의 사회문화
5. 대한제국의 성립과 시민운동의 대두
6. 영·미 지원을 받은 일본 제국주의
7. 반제국주의 독립운동의 전개
8. 자주개혁의 좌절과 대한제국의 멸망
[일본 제국주의의 한국 강점과 한국인의 독립운동]
1. 일제의 강점과 식민통치의 기조
2. 조선의 독립운동 전개와 의의
3. 일제강점기의 생활
2장. 조선의 자주개혁과 왕조의 동요
1. 1860년대의 변동과 개혁
2. 서양 제국주의의 아시아 침략과 조선에서 전개된 양요
3. 강화도조약과 열국과의 통상
4. 갑신정변과 갑오경장, 광무개혁
3장. 대한제국의 민중봉기
1. 동학농민전쟁과 폐정개혁안
2. 지계사업에 대한 정산농민의 항요
3. 광무농민운동의 전개와 중기의병의 궐기
4장. 일본 제국주의의 침략과 대한제국의 종말
1. 영·미의 책략과 일본 제국주의
2. 근대화개혁의 차질과 대한제국의 쇠퇴
3. 일제의 대한제국 국토 잠식
5장 일제의 강제병합과 강점기의 사회
1. 일제 강제조약의 불법성과 무효론
2. 식민통치의 시기별 특징
3. 일제강점기의 식민지 생활
6장. 독립운동의 전개와 특징
1. 한국독립운동의 특징
2. 한국독립운동의 반성
7장. 한국현대사 총론
1. 민족의 해방, 분단과 혼돈의 현대 초기
2. 분단정부의 수립과 농지개혁
3. 6·25전쟁과 정전 60년
4. 남북한의 문화적 업적과 문화재 정비
8장. 4·19혁명과 민족주의의 고양
1. 4·19혁명의 민주주의와 민족주의
2. 5·16쿠데타와 민주주의의 파탄
3. 군부독재와 민주화운동
4. 세계적 네오 내셔널리즘과 남북한 대응
5. 유신체제와 새마을운동
6. 1970년대 남북화해구도와 7·4남북공동성명
9장. 10·26 사태와 신군부의 등장
1. 부마민중항쟁과 10·26사태
2. 12·12쿠데타와 신군부의 등장
3. 1980년의 광주민주화운동
10장. 민주주의 개혁과 통일시대의 개막
1. 민간 정치인의 집권과 민주주의 개혁
2. IMF 신탁의 경제위기
3. 우주개발과 남북한의 인공위성
4. 지리와 환경변화에 따른 생활개혁
5. 한국 과학과 예술의 국제적 기여
6. 남북정상회담과 6·15공동선언
[부록] 한국근현대사 연표
01. 반품기한
- 단순 변심인 경우 : 상품 수령 후 7일 이내 신청
- 상품 불량/오배송인 경우 : 상품 수령 후 3개월 이내, 혹은 그 사실을 알게 된 이후 30일 이내 반품 신청 가능
02. 반품 배송비
반품사유 | 반품 배송비 부담자 |
---|---|
단순변심 | 고객 부담이며, 최초 배송비를 포함해 왕복 배송비가 발생합니다. 또한, 도서/산간지역이거나 설치 상품을 반품하는 경우에는 배송비가 추가될 수 있습니다. |
고객 부담이 아닙니다. |
03. 배송상태에 따른 환불안내
진행 상태 | 결제완료 | 상품준비중 | 배송지시/배송중/배송완료 |
---|---|---|---|
어떤 상태 | 주문 내역 확인 전 | 상품 발송 준비 중 | 상품이 택배사로 이미 발송 됨 |
환불 | 즉시환불 | 구매취소 의사전달 → 발송중지 → 환불 | 반품회수 → 반품상품 확인 → 환불 |
04. 취소방법
- 결제완료 또는 배송상품은 1:1 문의에 취소신청해 주셔야 합니다.
- 특정 상품의 경우 취소 수수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05. 환불시점
결제수단 | 환불시점 | 환불방법 |
---|---|---|
신용카드 | 취소완료 후, 3~5일 내 카드사 승인취소(영업일 기준) | 신용카드 승인취소 |
계좌이체 |
실시간 계좌이체 또는 무통장입금 취소완료 후, 입력하신 환불계좌로 1~2일 내 환불금액 입금(영업일 기준) |
계좌입금 |
휴대폰 결제 |
당일 구매내역 취소시 취소 완료 후, 6시간 이내 승인취소 전월 구매내역 취소시 취소 완료 후, 1~2일 내 환불계좌로 입금(영업일 기준) |
당일취소 : 휴대폰 결제 승인취소 익월취소 : 계좌입금 |
포인트 | 취소 완료 후, 당일 포인트 적립 | 환불 포인트 적립 |
06. 취소반품 불가 사유
- 단순변심으로 인한 반품 시, 배송 완료 후 7일이 지나면 취소/반품 신청이 접수되지 않습니다.
- 주문/제작 상품의 경우, 상품의 제작이 이미 진행된 경우에는 취소가 불가합니다.
- 구성품을 분실하였거나 취급 부주의로 인한 파손/고장/오염된 경우에는 취소/반품이 제한됩니다.
- 제조사의 사정 (신모델 출시 등) 및 부품 가격변동 등에 의해 가격이 변동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반품 및 가격보상은 불가합니다.
- 뷰티 상품 이용 시 트러블(알러지, 붉은 반점, 가려움, 따가움)이 발생하는 경우 진료 확인서 및 소견서 등을 증빙하면 환불이 가능하지만 이 경우, 제반 비용은 고객님께서 부담하셔야 합니다.
- 각 상품별로 아래와 같은 사유로 취소/반품이 제한 될 수 있습니다.
상품군 | 취소/반품 불가사유 |
---|---|
의류/잡화/수입명품 | 상품의 택(TAG) 제거/라벨 및 상품 훼손으로 상품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된 경우 |
계절상품/식품/화장품 | 고객님의 사용, 시간경과, 일부 소비에 의하여 상품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
가전/설치상품 | 전자제품 특성 상, 정품 스티커가 제거되었거나 설치 또는 사용 이후에 단순변심인 경우, 액정화면이 부착된 상품의 전원을 켠 경우 (상품불량으로 인한 교환/반품은 AS센터의 불량 판정을 받아야 합니다.) |
자동차용품 | 상품을 개봉하여 장착한 이후 단순변심의 경우 |
CD/DVD/GAME/BOOK등 | 복제가 가능한 상품의 포장 등을 훼손한 경우 |
상품의 시리얼 넘버 유출로 내장된 소프트웨어의 가치가 감소한 경우 | |
노트북, 테스크탑 PC 등 | 홀로그램 등을 분리, 분실, 훼손하여 상품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하여 재판매가 불가할 경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