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소개
▣ 출판사서평
문자의 나라, 기록의 시대 조선에서
일기 없이는 나도 없고 가문도 없다고 여긴
12명 조선인의 삶의 궤적을 좇다
생의 끝머리에 들어선 이들을 돌보며 쓴 치병 일기
글씨 잘 쓴다고 서울로 뽑혀 올라간 영리들의 출장 기록
참혹한 전란의 와중에 사대부가 여인이 남긴 『병자일기』
사대부 경화사족이 지닌 문예취향의 진면목을 보여주는 『흠영』
양반 아닌 ‘상놈常漢’이 남긴 기록 『하재일기』
이국땅의 사건과 유배지의 민란을 기록한 『음청사』
규장각 교양총서 제8권 『일기로 본 조선』 출간
인생의 궤적軌跡, 일상의 기록-조선시대 일기와 소통하다
증자가 말했다. “나는 하루에 세 가지로 나 자신을 반성한다. 남을 위해 일을 꾀함에 충실히 하지 않았는가? 친구와 사귀는 데 신의가 없지 않았는가? 스승에게 배운 것을 열심히 익히지 않았는가?曾子曰 吾日三省吾身 爲人謀而不忠乎 與朋友交而不信乎 傳不習乎.”
일기를 쓴다는 것은 바람에 흩어지는 구름처럼 소소한 일상을 선명하게 바라보고 소중히 간직하는 일이다. 우리 모두는 한번쯤은 일기를 씀으로써 속내를 털어놓고 새로운 세상으로 첫발을 내디뎠던 경험이 있다. 어느 하루도 나와 똑같은 삶을 사는 이는 없으니 나의 일상은 유일무이한 것이다. 그러니 삶의 조각을 어딘가에 남기는 행위는 그것 자체로 의미가 있다.
일기가 빛을 발하는 때는 대중과 소통하는 순간이다. 일상의 기록이 사회적 소통의 주인공이 되려면 시간이라는 인내가 필요하다. 역사의 수레바퀴 속에서 몸과 마음으로 쓴 일기는 우리에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뿐 아니라 삶과 인간에 대한 새로운 질문을 던진다. 어느 면에서 일기에 기록된 사실보다 더 중요한 것은 그 사실을 바라본 당시 사람들의 마음이며, 이를 다시 기록으로 남긴 옛사람들의 뜻이다. 그래서 지금 우리에게 중요한 것은 그 마음을 있는 그대로 느껴보는 일이다.
규장각 교양총서 제8권으로 나온 『일기로 본 조선』에서 다룬 열두 편의 일기는 세 편을 제외하고는 개인의 일상생활 전반을 기록한 생활일기다. 일기를 쓴 기간은 짧게는 1년 여부터 68년에 이르고, 일기가 시작될 때의 연령은 10세부터 80여 세까지 각기 다르다. 우리는 열두 편의 일기가 지닌 독특한 맛과 향을 풀어내어 옛사람들과 소통하고자 한다.
예나 지금이나 질병과 죽음은 인생에서 피해갈 수 없는 운명이다. 치병일기는 조선 사람들의 병을 치료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과 애쓴 노고의 흔적을 우리에게 전해준다. 『정청일기』는 내의원 어의들이 고위 관료로 재직 중인 노수신을 치료한 일기이고, 『가대인시탕시일기』에는 왕진을 거절당하자 노모에게 단지혈斷指血을 드린 효자 하진태의 절절함이 배어 있다. 생의 끝에 선 이들의 모습을 담은 일기에서 질병의 고통과 이를 지켜보는 아픔은 마찬가지였으리라.
소현세자는 정묘호란이 일어나자 분조分朝를 이끌며 국정을 처리했고, 병자호란 때는 심양에 볼모로 끌려가 갖은 고초를 겪었다. 소현세자는 강학講學에서 배운 내용을 100번 이상 읽어 통달하도록 공부했다. 『소현동궁일기』에는 풀리지 않는 의문의 죽음과 비운의 생애를 살다 간 소현세자의 삶과 서연書筵활동이 기록되었다.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63세의 나이로 피란길에 오른 남평 조씨는 1년에 서른 번이 넘는 제사를 주관하고 농사를 경영하면서 심양에서 돌아올 남편을 기다렸다. 그녀는 내면 깊숙이 자리하고 있는 죽은 두 아들과 며느리들에 대한 그리움을 『병자일기』에 한글로 섬세하게 표현했다.
노상추는 혼인하던 해인 17세 때 아버지의 명을 받아 일기를 쓰기 시작해 68년간 지속했다. 그의 아버지는 장남이 사망하자 세상일에 흥미를 잃고 일기 쓰기를 노상추에게 맡긴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노상추일기』는 집안의 대표로서 쓴 일기였기에 주인공 노상추를 비롯해 그의 부모, 자식, 손자에 이르는 4대 가족의 생과 사를 입증할 수 있는 유일한 기록이 되었다.
조선의 관료제, 행정체제, 경제체제에 편입되어 있었던 인물의 일기는 조선 사회의 구조와 실상을 꾸밈없이 구체적으로 보여준다는 점에서 매우 귀중한 자료다. 조선의 17세기는 사림의 공론인 사론士論이 높은 권위와 영향력을 행사하던 시기인데, 김영의 『계암일록』에서는 이 시기 중앙 정계의 동향과 지방 유생들의 활동에대해 살펴볼 수 있다. 김영이 살던 시대는 성리학적 의리를 실천하는 사림들의 상소인 유소儒疏, 사림의 이름으로 행해지는 처벌인 유벌儒罰이 주요 활동으로 자리잡았다.
황사우는 경상감사의 수석보좌관 격인 도사都事로서 지낸 1년의 시간을 『재영남일기』에 상세하게 담았다. 도사는 감사 유고시에 감사의 직임을 대행하기 때문에 아감사亞監司로 불렸다. 감사는
도내 군현을 순력巡歷하면서 향교의 훈도와 유생에 대한 평가, 관리들의 근무 평정, 민원 해결 등을 처리했다. 당시는 감영監營에서 업무를 관할하는 유영留營 체제가 아닌 순력를 통한 행영行營 체제였기 때문에 지방 관료의 고단한 생활을 엿볼 수 있다.
정조가 명한 『오경백편』 선사 프로젝트에 참여한 경상감영의 영리 권계만은 규장각 출장에서의 견문을 『내각선사일록』으로 남겼다. 이 일기는 1797년 경상감영 선사영리들의 규장각 출장 배경과 감회, 『오경백편』의 선사 과정과 시상 등을 담고 있다. 『오경백편』을 목판으로 간인할 때 사자관寫字官이 아닌 영남서리의 글씨를 선택한 정조의 확고한 신념을 이 일기는 말해준다.
지규식은 궁중에 필요한 그릇을 만들어 사옹원에 조달하는 공인貢人이었기에 『하재일기』에는 그릇의 납품과 매매, 공가貢價의 수취 등에 관한 내용이 있다. 공인활동은 대동법 시행 이후 각 지역에서 중앙에 납부한 쌀이 공물을 상납한 공인에게 공가로 지급되는 체계에서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이 일기에는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의 사옹원 분원 운영의 변화와 서울의 금융 거래에 대한 정보도 자세하다. 『하재일기』는 양반이 아닌 미천한 신분의 보통 사람이 남긴 일기로서 희소가치가 있다.
같은 시기 외교와 정치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 김윤식을 세상에서는 ‘진개화眞開化’로 불렀는데, 그가 당시의 관습과 체면에 구애받지 않고 파격적인 행동을 한 내력은 『음청사』에서 찾아볼 수 있다. 1881년 학도들을 이끌고 무기제조법을 배우기 위해 중국을 찾은 영선사領選使로서의 경험이나 제주도로 유배되어 이재수의 난을 목격한 사건들은 소중한 자료가 된다. 특히 이재수의 난은 소설과 영화로 이어져 과거와 현재를 소통할 수 있게 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윤치호는 일본, 중국, 미국의 11년 유학생활에서 견문을 넓히고 세계사의 흐름인 제국주의의 약육강식 논리를 체득했다. 1895년 귀국한 윤치호는 한말 개화·자강운동의 핵심 인물로 독립협회, 만민공동회, 대한자강회를 이끌었다. 조선 최초의 근대적 지식인, 개화·자강운동의 대명사, 일제강점기 조선 기독교의 원로, 일제강점기 말 친일파의 대부로 살았던 그는 60년간의 영문 일기에 자신의 속내와 시대의 모습을 다각도로 기록했다.
18세기 조선의 학술과 문화 지형을 보여주듯 오직 자신의 학문적 열정과 예술 애호를 갈망하며 평생을 추구한 이들이 있었다. 『이재난고』를 남긴 황윤석은 십대 후반부터 천문역산학을 비롯한
과학기술과 관련된 서학서를 열람하기 위해 부단히 노력했다. 『이재난고』는 서학에서 천주교와 과학기술을 구분해 선택적으로 수용했던 황윤석의 세계관과 18세기 후반 서학서의 유통 현황을 보여준다.
자식이 없던 유만주에게 분신과도 같았던 『흠영』은 18세기 서울에 거주한 양반 가문의 예술 취향과 서화가들의 활동 등을 담고 있다. 서화애호가 유만주는 중국에서 유입된 서화에 관한 저서와
기록을 통해 역대 서화가와 그들 작품에 대한 지식을 탐색하면서 여러 경로로 서화를 축적해나갔다. 유만주는 『흠영』에서 “일기는 가까운 일을 상세하게 하고 멀어진 일은 잊지 않게 하는 자신의 역사이니 소홀히 할 수 없다”며 일기 쓰는 이유를 밝히기도 했다.
필진 소개
구만옥
경희대 사학과 교수. 저서 『朝鮮後期 科學思想史 硏究 Ⅰ-朱子學的 宇宙論의 變動』, 공저 『韓國實學思想硏究 4-科學技術篇』 『韓國儒學思想大系-科學技術思想編』 외 다수.
김남기
안동대 한문학과 교수. 역서 『역주소현동궁일기』 『역주심양일기』, 논문 「三淵 金昌翕의 詩文學 硏究」 「동궁일기를 통해 본 17세기 세자의 교육」 외 다수.
김상태
서울대학교병원 교수. 저서 『제중원 이야기』, 공저 『한국의학인물사』 『사진과 함께 보는 한국 근현대 의료문화사』 『예술 속의 의학』 외 다수.
김 호
경인교대 사회교육과 교수. 저서 『허준의 동의보감 연구』 『조선 과학인물열전』, 논문 「조선시대의 ‘學’: 자연과 인간의 총섭總攝」 외 다수.
문숙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연구교수. 저서 『조선시대 재산상속과 가족』 『68년의 나날들, 조선의 일상사: 무관 노상추의 일기와 조선후기의 삶』, 논문 「17~18세기초 해남윤씨가의 노비 매입 양상: 노비 매입 목적과 流入 노비의 성격에 대한 추론」 외 다수.
박현순
규장각한국학연구원 HK교수. 공저 『서양인이 만든 근대전기 한국이미지 2 : 코리안의 일상』 『고문서에게 물은 조선 시대 사람들의 삶』, 논문 「16~17세기 예안현 사족사회 연구」 외 다수.
이숙인
서울대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책임연구원. 저서 『동아시아 고대의 여성사상』, 역서 『여사서』 『열녀전』, 논문 「儒仙들의 풍류와 소통: 『需雲雜方』을 통해 본 16세기 한 사족의 문화정치학」 외 다수.
정호훈
서울대 규장각한국학연구원 HK교수. 저서 『조선후기 정치사상 연구』 『경민편-교화와 형벌의 이중주로 보는 조선 사회』, 공역 『朱書百選』 『朱子封事』, 논문 「16·7세기 《소학집주》의 성립과 간행」 외 다수.
조계영
서울대 규장각한국학연구원 HK연구교수. 공저 『조선 사람의 세계여행』, 공역 『망우동지·주자동지』, 논문 「조선후기 선원각의 왕실 기록물 보존체계」 외 다수.
조영준
서울대 규장각한국학연구원 HK연구교수. 공저 『조선후기 재정과 시장』, 논문 「조선시대 문헌의 신장 정보와 척도 문제」 「『부역실총』의 잡세 통계에 대한 비판적 고찰」 외 다수.
황재문
서울대 규장각한국학연구원 HK교수. 저서 『안중근평전』, 논문 「‘환구음초’의 성격과 표현방식」 「전통적 지식인의 망국 인식」 외 다수.
황정연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 학예연구사. 저서 『조선시대 서화수장 연구』, 공저 『조선왕실의 미술문화』 『조선 궁궐의 그림』, 논문 「『흠영』을 통해 본 유만주의 서화 감상과 수집 활동」 외 다수.
▣ 작가 소개
편자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규장각은 조선의 22대왕 정조가 즉위한 해(1776)에 처음으로 도서관이자 왕립학술기관으로 만들어져 135년간 기록문화와 지식의 보고寶庫로서 그 역할을 다 해왔다. 그러나 1910년 왕조의 멸망으로 폐지된 이후 그저 고문헌 도서관으로서만 수십여 년을 지탱해왔다. 1990년대부터 서울대학교 부속기관인 규장각으로서 자료 정리와 연구 사업이 본격적으로 이루어지게 되었고, 창설 230년이 되는 지난 2006년에 규장각은 한국문화연구소와의 통합을 통해 학술 연구기관으로서의 기능을 되살려 규장각한국학연구원으로 다시 태어났다.
규장각은 조선왕조실록을 비롯해 국보 지정 고서적, 의궤와 같은 유네스코 지정 세계기록문화 유산, 그 외에도 고문서·고지도 등 다양한 기록물을 보유하고 있어서 아카이브 전체가 하나의 국가문화재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고문헌에 담긴 방대한 지식과 정보를 토대로 그동안 한국학 전문가들이 모여 최고 수준의 학술연구에 매진해왔다. 최근에는 지역학으로서의 한계를 넘어서 한국학의 세계화, 그리고 전문 연구자에 국한되지 않는 시민과 함께하는 한국학으로 변신을 꾀하고 있다. 학술지 『한국문화』 『규장각』, Seoul Journal of Korean Studies 등을 펴내고 있으며 <규장각 자료총서> <한국문화연구총서> <한국학 공동연구총서> <한국학 모노그래프> <한국학 연구총서> <한국학 자료총서> 등 900여 책을 펴냈다.
▣ 주요 목차
규장각 교양총서를 발간하며
머리글|인생의 궤적, 일상의 기록-조선시대 일기와 소통하다
1장 생의 끝자락에 선 이들의 모습을 담다
_조선의 치병 일기들 김호·경인교대 사회교육과 교수
2장 17세기 사림정치의 굴곡을 기록하다
_김영의『계암일록』박현순·규장각한국학연구원 HK교수
3장 왕세자의 일거수일투족을 좇다
_소현세자의 삶과 서연활동 김남기·안동대 한문학과 교수
4장 피란 중 써내려간 사대부 여성의 삶
_남평 조씨의『병자일기』이숙인·서울대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책임연구원
5장 “흠영이 없으면 나도 없다”
_서화애호가 유만주의『흠영』황정연·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 학예연구사
6장 16세기 초, 경상도 도사로 보낸 1년의 시간
_황사우의『재영남일기』정호훈·서울대 규장각한국학연구원 HK교수
7장 서학을 좇는 한 지식인의 기록
_황윤석의『이재난고』구만옥·경희대 사학과 교수
8장 글씨 잘 쓴 경상감영 영리들, 규장각 출장길에 오르다
_권계만의의 기록『내각선사일록』조계영·서울대 규장각한국학연구원 HK연구교수
9장 무관이 남긴 68년의 생애사
_노상추 일기 문숙자·한국학중앙연구원 연구교수
10장 미천한 보통 사람이 남긴 일기와 경제생활
_『하재일기』를 통해 본 공인의 일상 조영준·서울대 규장각한국학연구원 HK연구교수
11장 이국땅의 사건과 유배지의 민란을 기록하다
_김윤식의『음청사』황재문·서울대 규장각한국학연구원 HK교수
12장 일제강점기 한 지식인의 내면일기
_윤치호의 일기 김상태·서울대학교병원 교수
참고문헌 및 더 읽어볼 책들
지은이
문자의 나라, 기록의 시대 조선에서
일기 없이는 나도 없고 가문도 없다고 여긴
12명 조선인의 삶의 궤적을 좇다
생의 끝머리에 들어선 이들을 돌보며 쓴 치병 일기
글씨 잘 쓴다고 서울로 뽑혀 올라간 영리들의 출장 기록
참혹한 전란의 와중에 사대부가 여인이 남긴 『병자일기』
사대부 경화사족이 지닌 문예취향의 진면목을 보여주는 『흠영』
양반 아닌 ‘상놈常漢’이 남긴 기록 『하재일기』
이국땅의 사건과 유배지의 민란을 기록한 『음청사』
규장각 교양총서 제8권 『일기로 본 조선』 출간
인생의 궤적軌跡, 일상의 기록-조선시대 일기와 소통하다
증자가 말했다. “나는 하루에 세 가지로 나 자신을 반성한다. 남을 위해 일을 꾀함에 충실히 하지 않았는가? 친구와 사귀는 데 신의가 없지 않았는가? 스승에게 배운 것을 열심히 익히지 않았는가?曾子曰 吾日三省吾身 爲人謀而不忠乎 與朋友交而不信乎 傳不習乎.”
일기를 쓴다는 것은 바람에 흩어지는 구름처럼 소소한 일상을 선명하게 바라보고 소중히 간직하는 일이다. 우리 모두는 한번쯤은 일기를 씀으로써 속내를 털어놓고 새로운 세상으로 첫발을 내디뎠던 경험이 있다. 어느 하루도 나와 똑같은 삶을 사는 이는 없으니 나의 일상은 유일무이한 것이다. 그러니 삶의 조각을 어딘가에 남기는 행위는 그것 자체로 의미가 있다.
일기가 빛을 발하는 때는 대중과 소통하는 순간이다. 일상의 기록이 사회적 소통의 주인공이 되려면 시간이라는 인내가 필요하다. 역사의 수레바퀴 속에서 몸과 마음으로 쓴 일기는 우리에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뿐 아니라 삶과 인간에 대한 새로운 질문을 던진다. 어느 면에서 일기에 기록된 사실보다 더 중요한 것은 그 사실을 바라본 당시 사람들의 마음이며, 이를 다시 기록으로 남긴 옛사람들의 뜻이다. 그래서 지금 우리에게 중요한 것은 그 마음을 있는 그대로 느껴보는 일이다.
규장각 교양총서 제8권으로 나온 『일기로 본 조선』에서 다룬 열두 편의 일기는 세 편을 제외하고는 개인의 일상생활 전반을 기록한 생활일기다. 일기를 쓴 기간은 짧게는 1년 여부터 68년에 이르고, 일기가 시작될 때의 연령은 10세부터 80여 세까지 각기 다르다. 우리는 열두 편의 일기가 지닌 독특한 맛과 향을 풀어내어 옛사람들과 소통하고자 한다.
예나 지금이나 질병과 죽음은 인생에서 피해갈 수 없는 운명이다. 치병일기는 조선 사람들의 병을 치료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과 애쓴 노고의 흔적을 우리에게 전해준다. 『정청일기』는 내의원 어의들이 고위 관료로 재직 중인 노수신을 치료한 일기이고, 『가대인시탕시일기』에는 왕진을 거절당하자 노모에게 단지혈斷指血을 드린 효자 하진태의 절절함이 배어 있다. 생의 끝에 선 이들의 모습을 담은 일기에서 질병의 고통과 이를 지켜보는 아픔은 마찬가지였으리라.
소현세자는 정묘호란이 일어나자 분조分朝를 이끌며 국정을 처리했고, 병자호란 때는 심양에 볼모로 끌려가 갖은 고초를 겪었다. 소현세자는 강학講學에서 배운 내용을 100번 이상 읽어 통달하도록 공부했다. 『소현동궁일기』에는 풀리지 않는 의문의 죽음과 비운의 생애를 살다 간 소현세자의 삶과 서연書筵활동이 기록되었다.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63세의 나이로 피란길에 오른 남평 조씨는 1년에 서른 번이 넘는 제사를 주관하고 농사를 경영하면서 심양에서 돌아올 남편을 기다렸다. 그녀는 내면 깊숙이 자리하고 있는 죽은 두 아들과 며느리들에 대한 그리움을 『병자일기』에 한글로 섬세하게 표현했다.
노상추는 혼인하던 해인 17세 때 아버지의 명을 받아 일기를 쓰기 시작해 68년간 지속했다. 그의 아버지는 장남이 사망하자 세상일에 흥미를 잃고 일기 쓰기를 노상추에게 맡긴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노상추일기』는 집안의 대표로서 쓴 일기였기에 주인공 노상추를 비롯해 그의 부모, 자식, 손자에 이르는 4대 가족의 생과 사를 입증할 수 있는 유일한 기록이 되었다.
조선의 관료제, 행정체제, 경제체제에 편입되어 있었던 인물의 일기는 조선 사회의 구조와 실상을 꾸밈없이 구체적으로 보여준다는 점에서 매우 귀중한 자료다. 조선의 17세기는 사림의 공론인 사론士論이 높은 권위와 영향력을 행사하던 시기인데, 김영의 『계암일록』에서는 이 시기 중앙 정계의 동향과 지방 유생들의 활동에대해 살펴볼 수 있다. 김영이 살던 시대는 성리학적 의리를 실천하는 사림들의 상소인 유소儒疏, 사림의 이름으로 행해지는 처벌인 유벌儒罰이 주요 활동으로 자리잡았다.
황사우는 경상감사의 수석보좌관 격인 도사都事로서 지낸 1년의 시간을 『재영남일기』에 상세하게 담았다. 도사는 감사 유고시에 감사의 직임을 대행하기 때문에 아감사亞監司로 불렸다. 감사는
도내 군현을 순력巡歷하면서 향교의 훈도와 유생에 대한 평가, 관리들의 근무 평정, 민원 해결 등을 처리했다. 당시는 감영監營에서 업무를 관할하는 유영留營 체제가 아닌 순력를 통한 행영行營 체제였기 때문에 지방 관료의 고단한 생활을 엿볼 수 있다.
정조가 명한 『오경백편』 선사 프로젝트에 참여한 경상감영의 영리 권계만은 규장각 출장에서의 견문을 『내각선사일록』으로 남겼다. 이 일기는 1797년 경상감영 선사영리들의 규장각 출장 배경과 감회, 『오경백편』의 선사 과정과 시상 등을 담고 있다. 『오경백편』을 목판으로 간인할 때 사자관寫字官이 아닌 영남서리의 글씨를 선택한 정조의 확고한 신념을 이 일기는 말해준다.
지규식은 궁중에 필요한 그릇을 만들어 사옹원에 조달하는 공인貢人이었기에 『하재일기』에는 그릇의 납품과 매매, 공가貢價의 수취 등에 관한 내용이 있다. 공인활동은 대동법 시행 이후 각 지역에서 중앙에 납부한 쌀이 공물을 상납한 공인에게 공가로 지급되는 체계에서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이 일기에는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의 사옹원 분원 운영의 변화와 서울의 금융 거래에 대한 정보도 자세하다. 『하재일기』는 양반이 아닌 미천한 신분의 보통 사람이 남긴 일기로서 희소가치가 있다.
같은 시기 외교와 정치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 김윤식을 세상에서는 ‘진개화眞開化’로 불렀는데, 그가 당시의 관습과 체면에 구애받지 않고 파격적인 행동을 한 내력은 『음청사』에서 찾아볼 수 있다. 1881년 학도들을 이끌고 무기제조법을 배우기 위해 중국을 찾은 영선사領選使로서의 경험이나 제주도로 유배되어 이재수의 난을 목격한 사건들은 소중한 자료가 된다. 특히 이재수의 난은 소설과 영화로 이어져 과거와 현재를 소통할 수 있게 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윤치호는 일본, 중국, 미국의 11년 유학생활에서 견문을 넓히고 세계사의 흐름인 제국주의의 약육강식 논리를 체득했다. 1895년 귀국한 윤치호는 한말 개화·자강운동의 핵심 인물로 독립협회, 만민공동회, 대한자강회를 이끌었다. 조선 최초의 근대적 지식인, 개화·자강운동의 대명사, 일제강점기 조선 기독교의 원로, 일제강점기 말 친일파의 대부로 살았던 그는 60년간의 영문 일기에 자신의 속내와 시대의 모습을 다각도로 기록했다.
18세기 조선의 학술과 문화 지형을 보여주듯 오직 자신의 학문적 열정과 예술 애호를 갈망하며 평생을 추구한 이들이 있었다. 『이재난고』를 남긴 황윤석은 십대 후반부터 천문역산학을 비롯한
과학기술과 관련된 서학서를 열람하기 위해 부단히 노력했다. 『이재난고』는 서학에서 천주교와 과학기술을 구분해 선택적으로 수용했던 황윤석의 세계관과 18세기 후반 서학서의 유통 현황을 보여준다.
자식이 없던 유만주에게 분신과도 같았던 『흠영』은 18세기 서울에 거주한 양반 가문의 예술 취향과 서화가들의 활동 등을 담고 있다. 서화애호가 유만주는 중국에서 유입된 서화에 관한 저서와
기록을 통해 역대 서화가와 그들 작품에 대한 지식을 탐색하면서 여러 경로로 서화를 축적해나갔다. 유만주는 『흠영』에서 “일기는 가까운 일을 상세하게 하고 멀어진 일은 잊지 않게 하는 자신의 역사이니 소홀히 할 수 없다”며 일기 쓰는 이유를 밝히기도 했다.
필진 소개
구만옥
경희대 사학과 교수. 저서 『朝鮮後期 科學思想史 硏究 Ⅰ-朱子學的 宇宙論의 變動』, 공저 『韓國實學思想硏究 4-科學技術篇』 『韓國儒學思想大系-科學技術思想編』 외 다수.
김남기
안동대 한문학과 교수. 역서 『역주소현동궁일기』 『역주심양일기』, 논문 「三淵 金昌翕의 詩文學 硏究」 「동궁일기를 통해 본 17세기 세자의 교육」 외 다수.
김상태
서울대학교병원 교수. 저서 『제중원 이야기』, 공저 『한국의학인물사』 『사진과 함께 보는 한국 근현대 의료문화사』 『예술 속의 의학』 외 다수.
김 호
경인교대 사회교육과 교수. 저서 『허준의 동의보감 연구』 『조선 과학인물열전』, 논문 「조선시대의 ‘學’: 자연과 인간의 총섭總攝」 외 다수.
문숙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연구교수. 저서 『조선시대 재산상속과 가족』 『68년의 나날들, 조선의 일상사: 무관 노상추의 일기와 조선후기의 삶』, 논문 「17~18세기초 해남윤씨가의 노비 매입 양상: 노비 매입 목적과 流入 노비의 성격에 대한 추론」 외 다수.
박현순
규장각한국학연구원 HK교수. 공저 『서양인이 만든 근대전기 한국이미지 2 : 코리안의 일상』 『고문서에게 물은 조선 시대 사람들의 삶』, 논문 「16~17세기 예안현 사족사회 연구」 외 다수.
이숙인
서울대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책임연구원. 저서 『동아시아 고대의 여성사상』, 역서 『여사서』 『열녀전』, 논문 「儒仙들의 풍류와 소통: 『需雲雜方』을 통해 본 16세기 한 사족의 문화정치학」 외 다수.
정호훈
서울대 규장각한국학연구원 HK교수. 저서 『조선후기 정치사상 연구』 『경민편-교화와 형벌의 이중주로 보는 조선 사회』, 공역 『朱書百選』 『朱子封事』, 논문 「16·7세기 《소학집주》의 성립과 간행」 외 다수.
조계영
서울대 규장각한국학연구원 HK연구교수. 공저 『조선 사람의 세계여행』, 공역 『망우동지·주자동지』, 논문 「조선후기 선원각의 왕실 기록물 보존체계」 외 다수.
조영준
서울대 규장각한국학연구원 HK연구교수. 공저 『조선후기 재정과 시장』, 논문 「조선시대 문헌의 신장 정보와 척도 문제」 「『부역실총』의 잡세 통계에 대한 비판적 고찰」 외 다수.
황재문
서울대 규장각한국학연구원 HK교수. 저서 『안중근평전』, 논문 「‘환구음초’의 성격과 표현방식」 「전통적 지식인의 망국 인식」 외 다수.
황정연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 학예연구사. 저서 『조선시대 서화수장 연구』, 공저 『조선왕실의 미술문화』 『조선 궁궐의 그림』, 논문 「『흠영』을 통해 본 유만주의 서화 감상과 수집 활동」 외 다수.
▣ 작가 소개
편자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규장각은 조선의 22대왕 정조가 즉위한 해(1776)에 처음으로 도서관이자 왕립학술기관으로 만들어져 135년간 기록문화와 지식의 보고寶庫로서 그 역할을 다 해왔다. 그러나 1910년 왕조의 멸망으로 폐지된 이후 그저 고문헌 도서관으로서만 수십여 년을 지탱해왔다. 1990년대부터 서울대학교 부속기관인 규장각으로서 자료 정리와 연구 사업이 본격적으로 이루어지게 되었고, 창설 230년이 되는 지난 2006년에 규장각은 한국문화연구소와의 통합을 통해 학술 연구기관으로서의 기능을 되살려 규장각한국학연구원으로 다시 태어났다.
규장각은 조선왕조실록을 비롯해 국보 지정 고서적, 의궤와 같은 유네스코 지정 세계기록문화 유산, 그 외에도 고문서·고지도 등 다양한 기록물을 보유하고 있어서 아카이브 전체가 하나의 국가문화재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고문헌에 담긴 방대한 지식과 정보를 토대로 그동안 한국학 전문가들이 모여 최고 수준의 학술연구에 매진해왔다. 최근에는 지역학으로서의 한계를 넘어서 한국학의 세계화, 그리고 전문 연구자에 국한되지 않는 시민과 함께하는 한국학으로 변신을 꾀하고 있다. 학술지 『한국문화』 『규장각』, Seoul Journal of Korean Studies 등을 펴내고 있으며 <규장각 자료총서> <한국문화연구총서> <한국학 공동연구총서> <한국학 모노그래프> <한국학 연구총서> <한국학 자료총서> 등 900여 책을 펴냈다.
▣ 주요 목차
규장각 교양총서를 발간하며
머리글|인생의 궤적, 일상의 기록-조선시대 일기와 소통하다
1장 생의 끝자락에 선 이들의 모습을 담다
_조선의 치병 일기들 김호·경인교대 사회교육과 교수
2장 17세기 사림정치의 굴곡을 기록하다
_김영의『계암일록』박현순·규장각한국학연구원 HK교수
3장 왕세자의 일거수일투족을 좇다
_소현세자의 삶과 서연활동 김남기·안동대 한문학과 교수
4장 피란 중 써내려간 사대부 여성의 삶
_남평 조씨의『병자일기』이숙인·서울대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책임연구원
5장 “흠영이 없으면 나도 없다”
_서화애호가 유만주의『흠영』황정연·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 학예연구사
6장 16세기 초, 경상도 도사로 보낸 1년의 시간
_황사우의『재영남일기』정호훈·서울대 규장각한국학연구원 HK교수
7장 서학을 좇는 한 지식인의 기록
_황윤석의『이재난고』구만옥·경희대 사학과 교수
8장 글씨 잘 쓴 경상감영 영리들, 규장각 출장길에 오르다
_권계만의의 기록『내각선사일록』조계영·서울대 규장각한국학연구원 HK연구교수
9장 무관이 남긴 68년의 생애사
_노상추 일기 문숙자·한국학중앙연구원 연구교수
10장 미천한 보통 사람이 남긴 일기와 경제생활
_『하재일기』를 통해 본 공인의 일상 조영준·서울대 규장각한국학연구원 HK연구교수
11장 이국땅의 사건과 유배지의 민란을 기록하다
_김윤식의『음청사』황재문·서울대 규장각한국학연구원 HK교수
12장 일제강점기 한 지식인의 내면일기
_윤치호의 일기 김상태·서울대학교병원 교수
참고문헌 및 더 읽어볼 책들
지은이
01. 반품기한
- 단순 변심인 경우 : 상품 수령 후 7일 이내 신청
- 상품 불량/오배송인 경우 : 상품 수령 후 3개월 이내, 혹은 그 사실을 알게 된 이후 30일 이내 반품 신청 가능
02. 반품 배송비
반품사유 | 반품 배송비 부담자 |
---|---|
단순변심 | 고객 부담이며, 최초 배송비를 포함해 왕복 배송비가 발생합니다. 또한, 도서/산간지역이거나 설치 상품을 반품하는 경우에는 배송비가 추가될 수 있습니다. |
고객 부담이 아닙니다. |
03. 배송상태에 따른 환불안내
진행 상태 | 결제완료 | 상품준비중 | 배송지시/배송중/배송완료 |
---|---|---|---|
어떤 상태 | 주문 내역 확인 전 | 상품 발송 준비 중 | 상품이 택배사로 이미 발송 됨 |
환불 | 즉시환불 | 구매취소 의사전달 → 발송중지 → 환불 | 반품회수 → 반품상품 확인 → 환불 |
04. 취소방법
- 결제완료 또는 배송상품은 1:1 문의에 취소신청해 주셔야 합니다.
- 특정 상품의 경우 취소 수수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05. 환불시점
결제수단 | 환불시점 | 환불방법 |
---|---|---|
신용카드 | 취소완료 후, 3~5일 내 카드사 승인취소(영업일 기준) | 신용카드 승인취소 |
계좌이체 |
실시간 계좌이체 또는 무통장입금 취소완료 후, 입력하신 환불계좌로 1~2일 내 환불금액 입금(영업일 기준) |
계좌입금 |
휴대폰 결제 |
당일 구매내역 취소시 취소 완료 후, 6시간 이내 승인취소 전월 구매내역 취소시 취소 완료 후, 1~2일 내 환불계좌로 입금(영업일 기준) |
당일취소 : 휴대폰 결제 승인취소 익월취소 : 계좌입금 |
포인트 | 취소 완료 후, 당일 포인트 적립 | 환불 포인트 적립 |
06. 취소반품 불가 사유
- 단순변심으로 인한 반품 시, 배송 완료 후 7일이 지나면 취소/반품 신청이 접수되지 않습니다.
- 주문/제작 상품의 경우, 상품의 제작이 이미 진행된 경우에는 취소가 불가합니다.
- 구성품을 분실하였거나 취급 부주의로 인한 파손/고장/오염된 경우에는 취소/반품이 제한됩니다.
- 제조사의 사정 (신모델 출시 등) 및 부품 가격변동 등에 의해 가격이 변동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반품 및 가격보상은 불가합니다.
- 뷰티 상품 이용 시 트러블(알러지, 붉은 반점, 가려움, 따가움)이 발생하는 경우 진료 확인서 및 소견서 등을 증빙하면 환불이 가능하지만 이 경우, 제반 비용은 고객님께서 부담하셔야 합니다.
- 각 상품별로 아래와 같은 사유로 취소/반품이 제한 될 수 있습니다.
상품군 | 취소/반품 불가사유 |
---|---|
의류/잡화/수입명품 | 상품의 택(TAG) 제거/라벨 및 상품 훼손으로 상품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된 경우 |
계절상품/식품/화장품 | 고객님의 사용, 시간경과, 일부 소비에 의하여 상품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
가전/설치상품 | 전자제품 특성 상, 정품 스티커가 제거되었거나 설치 또는 사용 이후에 단순변심인 경우, 액정화면이 부착된 상품의 전원을 켠 경우 (상품불량으로 인한 교환/반품은 AS센터의 불량 판정을 받아야 합니다.) |
자동차용품 | 상품을 개봉하여 장착한 이후 단순변심의 경우 |
CD/DVD/GAME/BOOK등 | 복제가 가능한 상품의 포장 등을 훼손한 경우 |
상품의 시리얼 넘버 유출로 내장된 소프트웨어의 가치가 감소한 경우 | |
노트북, 테스크탑 PC 등 | 홀로그램 등을 분리, 분실, 훼손하여 상품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하여 재판매가 불가할 경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