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만화 -100년 전 조선 만화가 되다-

고객평점
저자한일비교문화세미나
출판사항어문학사, 발행일:2012/07/31
형태사항p.229 국판:23
매장위치사회과학부(B1) , 재고문의 : 051-816-9500
ISBN9788961842693 [소득공제]
판매가격 14,000원   12,600원  (인터넷할인가:10%)
포인트 630점
배송비결제주문시 결제
  • 주문수량 

총 금액 : 0원

책 소개

▣ 출판사서평

풍자와 해학 그 익살스러움 속에 감춰진 식민자의 시선

야만과 미개의 땅 조선, 만화 속 조선의 모습은 그러했다.
그들의 눈에 비친 조선인은 무능, 불결, 저능, 무사태평하며
개화하지 못한 비문명국의 국민이었다.
이 만화는 일본인들이 식민지화 과정 속에서
조선인에 대한 차별적 이미지를 과장과 폄훼 속에 만들어내어
자신들의 행위를 정당화하는 데 이용되었다.

한일비교문화세미나팀은 4년 전부터 식민지 조선에서 가장 장수한 잡지 『조선』(1908년 창간, 1911년 이후 『조선급만주』로 개명)을 읽기 시작했다. 당시 일본인들이 조선에 관한 지식을 저널리즘의 장(場)에서 어떻게 생산ㆍ분류ㆍ유통했는지에 대해 연구하고 있던 중에 그 잡지에 수록된 만화 컷들이 주목을 끌었는데, 그 만화들을 그린 사람이 도리고에 세이키라는 인물이며, 또 그가 『조선만화』라는 단행본을 출간했다는 것을 알게 되면서, 이러한 사실들을 바탕으로 이번 『조선만화(부제: 100년 전 조선, 만화가 되다)』는 탄생하게 되었다. 『조선만화』는 만화라는 장르가 흔치 않았던 당대에도 매우 희귀한 텍스트로서, 신선한 재미가 가미된 시각적 장르를 통해 조선의 풍물과 사람들, 생활 풍습과 지리 등을 재조일본인(우스다 잔운, 도리고에 세이키)의 생생한 시각으로 소개하고 있어 당시 조선에 머물며 조선인들을 대하던 일본인들의 생각의 단면들을 엿볼 수 있다. 『조선만화』는 만화와 글, 하이쿠로 이루어진 다소 복합적인 구성방식으로 이뤄져 있는 서적으로서, 소재 등에 있어서는 다양하나, 그 비웃음의 시선은 한국 독자들의 공분이 예상될 정도로 매우 자극적이다. 조선인들을 폄하하고 왜곡하는 시선은 곧바로 내지의 일본으로 전해졌다. 일본에서 조선을 미개의 국가로 비하하고, 당시 일본의 식민정책에 적잖은 영향을 끼쳐, 『조선만화』 속 조선은 불결, 천하태평, 무신경, 무능, 여성성으로 비치며, 일본인들이 식민지화 과정 속에서 조선인에 대한 차별적 이미지를 만들어내고 재생산함으로써 자신들의 행위를 정당화하는 데 그 이미지를 이용했다.

100여 년 전 조선, 만화로 재현하다!

한일비교문화세미나팀은 4년 전부터 식민지 조선에서 가장 장수한 잡지 『조선』(1908년 창간, 1911년 이후 『조선급만주』로 개명)을 읽기 시작했다. 당시 일본인들이 조선에 관한 지식을 저널리즘의 장(場)에서 어떻게 생산ㆍ분류ㆍ유통했는지에 대해 연구하고 있던 중에 그 잡지에 수록된 만화 컷들이 주목을 끌었는데, 그 만화들을 그린 사람이 도리고에 세이키(鳥越?岐)라는 인물이며, 또 그가 『조선만화』라는 단행본을 출간했다는 것을 알게 되면서, 이러한 사실들을 바탕으로 이번 『조선만화(부제: 100년 전 조선, 만화가 되다)』는 탄생하게 되었다.
이미 『일본잡지 모던일본과 조선 1939』 『일본잡지 모던일본과 조선 1940』 등 일제강점기에 조선에서 출간된 잡지를 복간하여 그 시대를 살아간 조선인들의 모습과 일본인들의 시선을 포착해낸 서적들이 이미 독자들에게 선보여 화제가 된 바 있다. 광복 이후 수십 년의 시간이 흘렀어도 이 자료물들은 당대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로서 활용되고, 또한 대중들에게 민족의 암흑기로 불리던 그 시대에도 조선인은 면면히 그들의 생활을 이어오고 있었음을 인식시켰다.
일본인들은 ‘한일합방’ 이전부터 이미 조선을 여행하거나 거주하며 조선사정에 관해 많은 기록물들을 남겼다. 일찍이 근대 일본 민권운동의 결사 중 하나인 민유샤(民友社)의 일원이었던 혼마 규스케(本間久助)의 ‘조선정탐물’이라는 『조선잡기(朝鮮雜記)』(1894)를 비롯해 가쿠치 겐조의 『조선왕국(朝鮮王國)』(民友社, 1896)이나 법학자 신노부 준페이(信夫淳平)의 『한반도(韓半島)』(東京堂書店, 1901) 등이 그것이다.
이번 『조선만화』는 그 연장선에서 생각해볼 수 있는 희귀한 텍스트로서, 만화라는 신선한 재미가 가미된 시각적 장르로 조선의 풍물과 사람들, 생활 풍습과 지리 등을 재조일본인의 생생한 시각으로 소개하고 있어 당시 조선에 머물며 조선인들을 대하던 일본인들의 생각의 단면들을 엿볼 수 있다. 당시 식민지 시절 일본인들의 조선 인식은 ‘금강산’‘기생’ 등 천편일률적이었으며 매우 편협되었는데, 이후에는 이러한 편협된 조선 인식을 비판하며 더욱 폭넓은 조선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기 위해 일본인 독자들을 대상으로 기획된 출간물이 다수 나오기도 하였다.
『조선만화』는 만화와 글, 하이쿠로 이루어진 다소 복합적인 구성방식으로 이뤄져 있는 서적으로서, 소재 등에 있어서는 다양하나, 그 비웃음의 시선은 한국 독자들의 공분이 예상될 정도로 매우 자극적이다. 조선인들을 폄하하고 왜곡하는 시선은 곧바로 내지의 일본으로 전해졌다. 일본에서 조선을 미개의 국가로 비하하고, 당시 일본의 식민정책에 적잖은 영향을 끼쳐, 『조선만화』 속 조선은 불결, 천하태평, 무신경, 무능, 여성성으로 비치며, 일본인들이 식민지화 과정 속에서 조선인에 대한 차별적 이미지를 만들어내고 재생산함으로써 자신들의 행위를 정당화하는 데 그 이미지를 이용했다.

1. 구성방식

이 책은 크게 네 개의 장으로 나눠져 있다. 우선 Ⅰ장에서는 『조선만화』라는 텍스트의 구성과 기획의도, 그리고 그 특성과 의미를 살피고, 그것을 어떠한 방식으로 읽어야 하는가를 중심으로 다루었다. Ⅱ장에서는 100여 년 전 일본인들의 눈에 비친 조선 모습의 재현에 충실하고자 한다. 『조선만화』라는 텍스트의 번역 작업이 바로 그것이다. Ⅱ장의 번역은 결과적으로 보면 만화의 해설 부분만을 번역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조선만화』라는 텍스트가 만화와 만화의 해설, 그리고 100수의 하이쿠로 이뤄진 독특한 구성을 하고 있기 때문에 만화를 ‘읽는다’ 혹은 ‘번역한다’는 관점에 근거해서 텍스트 번역에 임했다. 그를 위해 『조선만화』에 수록된 만화 이외에 다른 매체에 수록된 만화 작품들도 병행하여 읽어갔다. 그 작업의 결과물이 바로 Ⅲ장의 ‘만화로 읽는 조선과 조선 知’이다. 여기에서는 만화라는 장르를 통해 이뤄진 조선에 관한 지식의 다양한 유형을 살폈다. 도리고에라는 화가가 잡지 『조선』뿐만 아니라 또 다른 자신의 저서에서 보여준 만화의 유형을 제시하고, Ⅱ장의 『조선만화』에 수록된 만화들과 비교하여 살폈다. 마지막으로 Ⅳ장에서는 ‘국민문화사’ 기술의 욕망, 즉 내셔널(national)한 상상력의 산물인 듯 보이는 『일본만화사』의 근저에, 실은 국경을 넘어 만화로 그려낸 조선에 대한 문화번역의 경험이 관통하고 있음을 논하였다.

2. 만화와 글 그리고 하이쿠로 구성된 문화번역서

『조선만화』는 제목과 달리 만화로만 구성된 책이 아니다. 이 책은 당시 제국의 아카데미즘 바깥에서 저널리즘을 통해 이뤄진 다양한 조선 재현의 방법을 동원한 것이었다. 그 전체적인 구성의 대강을 보면 이렇다. 우선 당시 조선 사회의 계급과 계층, 음식과 놀이, 그리고 다양한 풍물 등을 다룬 50개의 제재를 설정하고, 이미 그려진 ‘만화’에 대해 우스다 잔운(薄田斬雲)이 부연 설명한 ‘해설’을 덧붙여 구성되어 있다. 50개 제재의 만화와 해설에는 각각 제목이 붙어 있는데, 대개는 만화 속의 제목을 해설의 제목이 따르고 있다.

대신(大臣)행렬 / 온돌의 독거(獨居) / 하이칼라 기생 / 우도(牛刀) / 종이연 날리기 / 갈보집 / 단단히 좋소(タンダニ, チヨツソよ, 가타카나-한국어) / 묘 앞의 통곡 / 묘 주변의 석상(石像) / 조선 장기 / 제게챤다(제기찬다チェㅡゲチャンダ, 가타카나-한국어) / 돈치기(錢擲, トンツキ라는 가타카나 부기) / 신선로 / 엿장수(飴?) / 점두(店頭)의 우두골(牛頭骨) / 한인의 떡방아 / 우동집 / 군밤 / 떡장수 / 한인집의 부엌 / 옛날의 큰 배(大船) / 옛날의 조선 관리(役人) / 옛날의 한선(韓船) / 옛날의 악기 / 조선말(馬) / 우하(牛下)의 낮잠 / 무동(舞童) / 요보의 싸움 / 석합전(石合戰) / 요보의 톱질(木挽) / 조선의 가마 / 조선의 인왕님 / 돈 계산 / 신문의 낭독 / 기생의 춤 / 요보의 주머니(巾着) / 변기 세척 / 한인의 우구(雨具) / 변기와 세면기 / 쌀찧기 / 유방의 노출 / 참외 / 매복(賣卜)선생 / 잔털뽑기 / 걸식 / 조선의 모자 / 조선 차부 / 부녀자 풍속 / 조선 신사 / 승려

3. 조선토산의 출판물이라 자부한 ‘우스다 잔운’과 ‘도리고에 세이키’

2년여 남짓을 조선에서 체류하며 조선의 상황을 만화로 비평한 ‘만화저널리스트’ 도리고에 세이키(鳥越?岐). 『조선만화』의 해설 부분을 맡았던 소설가이자 저널리스트였던 우스다 잔운(薄田斬雲). “조선은 어떤 곳인가”라는 내지 일본인들의 궁금증에 대해 그들은 조선만화를 통해 답하고자 했다. “오랜 동안 경성에 거주”했다는 그들은 조선에 대해서는 누구보다도 잘 알고 있다는 자신들의 위치를 강조했다. 즉 재조일본인이라는 자의식에 근거한 이 기획을 두고, 그들은 ‘조선토산’의 출판물이라고 강조했던 것이다.
대신, 조선 양반, 기생, 백정, 아동, 부녀자 등 다양한 계층과 성별을 대상으로 하다가, 조선의 관습이나 음식과 풍물 쪽에도 소재거리를 찾는 등 조선토산의 특징을 꽤나 잘 구현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그 시선에는 역시 문명인이 미개인을 바라보는 편협된 시각이 내포되어 있는데, 그러한 면모를 가장 잘 엿볼 수 있는 부분이 조선어 소리를 번역하지 않고 그대로 일본 문자로 표기한 것이다.
예를 들어 그들은 조선인을 분류할 때는 ‘ヨボ’(요보), ‘チョンガ’(총가), ‘アヒ’(아히), ‘ヨンガミ’(영가미)라고 표기하여 조선어 소리를 사용했다. 대개 해설 부분에서 일본어 번역 없이 그대로 조선어 소리만을 적는 경우가 많았다. ‘アイゴㅡ’(아이고), ‘チㅡバリ’(치바리=제발) 등의 감탄사나 ‘ビンデ’(혹은 ‘ピンデ’, 빈대), ‘つるまき’(쓰루마키), ‘ウリ’(우리), ‘チヤンニム’(장님), ‘パンスㅡ’(판수), ‘ハンガチ’(한 가지)와 같은 말, 그리고 “ユンノンダ(윷논다)와 같은 간단한 표현은 조선어 소리 그대로 표기했다. 더 나아가서는 “アイゴ, オモニㅡ, エツエン”(‘아이고, 어머니, 어째’로 추측됨), “ヨダン, セイ, ヨツサリョウ”(엿당 있세이, 엿사려) 등과 같은 문장까지 일본어 번역을 거치치 않고 그대로 표기하고 있다. 혹은 “ヨンガミさん, 熱い日でガンスナ”(‘영감이상, 더운 날에 어디 가시나’의 뜻으로 추측됨)과 같이 일본어와 조선어를 섞어 표기하는 경우도 있었다. 이는 마치 그 저변에 ‘토인’의 언어에서 이국 취향의 정서를 느끼는 듯한 ‘문명인’의 우월감이 배어 있기에 가능했던 표현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당연히 일본어 화자들에게는 의미 불명의 기표에 불과한 것이다. 하지만 그 의미 불명의 기표는 조선의 미개를 뜻하기도 한다. 따라서 미지의 혹은 신비의 조선어 ‘소리’ 자체가 비하의 표현이 되는 것이다.

4. 문명과 야만의 이분법과 자기중심적 비교문화

『조선만화』의 만화들은 그 프레임의 안과 밖이 분명하다. 그 안에는 조선인과 그들의 생활만이 존재한다면 그 밖은 그것을 바라보는 일본인의 시선이 존재하는 것이다. 해설에서도 ‘방인(邦人)’이나 ‘아(我)’ 등으로 표시된 주체의 문화와의 비교를 통해 만들어낸 차이가 전제된 프레임 안의 존재들, 분명 그들에게 그것은 분류=번역 불가능한 ‘한인(韓人)’이다. 특히 만화에서는 조선인들도 계급과 계층, 직업과 신분, 세대와 성 등에 의한 차이가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결국 ‘한인’으로 전체화되어 그려진 존재일 수밖에 없었다.
예를 들어 20. 조선 가옥의 부엌에서는 여인의 상체만한 ‘커다란 손’과 ‘큰 그릇에 가득 담긴 밥’과 같이 과장을 통한 풍자의 기법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해설에서는 “이 그림은 일본풍의 당당한 부엌으로 그려져 있으나 그것은 알기 쉽게 그린 것으로, 실은 조선집의 부엌에 이런 훌륭한 것은 없다”고 하고, ‘침’‘코푼 손’‘파리’‘악취’ 등의 단어를 나열해 ‘불결’한 조선을 표상하는 데 치중하고 있다. 그리고 만화 42. 참외를 보면, 광주리 가득 담긴 참외 앞에서 그것을 먹는 조선인의 그림이 나온다. 해설에서는 이에 대해 “(한번에-인용자) 스무 개나 먹는다는데 놀랄 만한 폭식이다”라든가, “지독하게 식욕이 과해 궁하게 먹는다”고 하며 조선인의 과식, 폭식을 비판한다. “남양에서는 바나나를 주식으로 삼고 야자나무 열매즙을 마셔서 토인이 충분히 살아간다는데, 한인(韓人)도 여름에는 참외로 살아가는 것이다”라고 남양의 ‘토인’에 비유하기도 하면서 조선인의 폭식과 불결한 식문화를 야만시하는 결론에 도달한다.

▣ 작가 소개

저자 : 한일비교문화세미나
박광현
동국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부교수. 식민지 문단을 비롯한 지식사회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공부하고 있다. 역저서로는 『박물관의 정치학』(공역, 논형), 『이동하는 텍스트 횡단하는 제국』(편저, 동국대출판부) 『한국인문학의 형성-대학인문교육의 제도화 과정과 문제의식』(공저, 한길사) 등이 있다.

박용재
동국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과정 수료. 해방기의 언어, 제도, 매체, 사상이 문학과 관련 맺고 있는 양상 및 자서전을 비롯한 한국형 자기서사의 형성과 원류를 찾는 데 고심하고 있다. 현재는 비주얼서사 영역으로 연구 범위를 확장하고 있다. 저역서로는 『고향의 창조와 재발견』(공저, 역락), 『식민지 근대의 뜨거운 만화경』(공저, 성균관대학교출판부), 『고향이라는 이야기』(공역, 동국대학교출판부)가 있다.

정종현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 연구교수. 일본 제국의 사상사와 식민지 문학의 관련, 지식사 및 표상연구, 대중서사 등에 관한 연구를 진행해왔다. 저서로는 『동양론과 식민지 조선문학』(창비, 2011), 논문으로는 「Shifts in Korea’s Intellectual Community and Academia in the Early Years...of Nation-Building」 등이 있다.

조은애
동국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과정 수료. ‘제국/식민지’의 특수하고도 복잡한 체계를 만들어 낸 인종과 언어의 ‘이동성’에 관심을 가지고 공부 중이다. 논문으로는 『이광수의 언어공동체 인식과 「조선문단」의 에크리튀르』, 『1920년대 초반 「조선공론」 문예란의 재편과 식민의 ‘조선문단’ 구상』이 있다.

▣ 주요 목차

서문 4

Ⅰ. 『조선만화』 읽기

1. 『조선만화』의 구성 15
2. 광고를 통해 본 『조선만화』의 기획 의도 22
3. 『조선만화』에서 무엇을 읽을 것인가? 32

Ⅱ. 『조선만화』

1. 대신(大臣) 행렬 46
2. 온돌의 독거(獨居) 49
3. 하이칼라 기생 52
4. 우도(牛刀) 55
5. 종이연 날리기 58
6. 갈보집 61
7. 단단히 좋소 64
8. 묘 앞의 통곡 67
9. 묘 주변의 석상(石像) 69
10. 조선 장기 71
11. 제게 챤다 74
12. 돈치기(錢擲) 77
13. 신선로 79
14. 엿장수(飴賣) 81
15. 점두(店頭)의 우두골(牛頭骨) 83
16. 한인의 떡방아 85
17. 우동집 87
18. 군밤 89
19. 떡장사 91
20. 조선가옥의 부엌 93
21. 옛날의 큰 배 95
22. 옛날의 조선 관리[役人] 97
23. 옛날의 한선(韓船) 100
24. 옛날 악기 102
25. 조선말(馬) 105
26. 우하(牛下)의 낮잠 107
27. 무동(舞童) 109
28. 요보의 싸움 111
29. 석합전(石合戰) 113
30. 요보의 톱질 115
31. 조선의 가마 117
32. 조선의 인왕님 120
33. 돈 계산 123
34. 신문의 낭독 125
35. 기생의 춤 128
36. 요보의 주머니[巾着] 130
37. 변기 세척 132
38. 한인의 우구(雨具) 135
39. 변기와 세면기 137
40. 쌀 찧기 139
41. 유방의 노출 141
42. 참외 144
43. 매복(賣卜)선생 147
44. 잔털 뽑기 150
45. 걸식 152
46. 조선의 모자 154
47. 조선 차부 156
48. 부녀자 풍속 159
49. 조선 신사(紳士) 162
50. 승려 165

Ⅲ. ‘만화’로 읽는 조선과 ‘조선 知’

1. 저널리즘 ‘조선 知’의 기원 171
2. 동시기 일한서방(日韓書房)의 간행서들 176
3. ‘만화’로 보는 조선 189
3.1.『요보기(ヨボ記)』의 삽화 189

요보국(老?國) 191
남산등림(南山登臨) 193
봉아(鳳兒) 195
딸 에후의 귀국 197
나의 조선 정월 198
경성의 일 년 200
경성잡기(京城雜記) 202
도한(渡韓) 204
진분한화(珍粉韓話) 206

3.2. 잡지 『조선』에 실린 도리고에의 만화 208

Ⅳ. 국민문화사에의 욕망-일본 최초의 만화사

찾아보기 230

작가 소개

목 차

역자 소개

01. 반품기한
  • 단순 변심인 경우 : 상품 수령 후 7일 이내 신청
  • 상품 불량/오배송인 경우 : 상품 수령 후 3개월 이내, 혹은 그 사실을 알게 된 이후 30일 이내 반품 신청 가능
02. 반품 배송비
반품 배송비
반품사유 반품 배송비 부담자
단순변심 고객 부담이며, 최초 배송비를 포함해 왕복 배송비가 발생합니다. 또한, 도서/산간지역이거나 설치 상품을 반품하는 경우에는 배송비가 추가될 수 있습니다.
상품의 불량 또는 오배송 고객 부담이 아닙니다.
03. 배송상태에 따른 환불안내
환불안내
진행 상태 결제완료 상품준비중 배송지시/배송중/배송완료
어떤 상태 주문 내역 확인 전 상품 발송 준비 중 상품이 택배사로 이미 발송 됨
환불 즉시환불 구매취소 의사전달 → 발송중지 → 환불 반품회수 → 반품상품 확인 → 환불
04. 취소방법
  • 결제완료 또는 배송상품은 1:1 문의에 취소신청해 주셔야 합니다.
  • 특정 상품의 경우 취소 수수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05. 환불시점
환불시점
결제수단 환불시점 환불방법
신용카드 취소완료 후, 3~5일 내 카드사 승인취소(영업일 기준) 신용카드 승인취소
계좌이체 실시간 계좌이체 또는 무통장입금
취소완료 후, 입력하신 환불계좌로 1~2일 내 환불금액 입금(영업일 기준)
계좌입금
휴대폰 결제 당일 구매내역 취소시 취소 완료 후, 6시간 이내 승인취소
전월 구매내역 취소시 취소 완료 후, 1~2일 내 환불계좌로 입금(영업일 기준)
당일취소 : 휴대폰 결제 승인취소
익월취소 : 계좌입금
포인트 취소 완료 후, 당일 포인트 적립 환불 포인트 적립
06. 취소반품 불가 사유
  • 단순변심으로 인한 반품 시, 배송 완료 후 7일이 지나면 취소/반품 신청이 접수되지 않습니다.
  • 주문/제작 상품의 경우, 상품의 제작이 이미 진행된 경우에는 취소가 불가합니다.
  • 구성품을 분실하였거나 취급 부주의로 인한 파손/고장/오염된 경우에는 취소/반품이 제한됩니다.
  • 제조사의 사정 (신모델 출시 등) 및 부품 가격변동 등에 의해 가격이 변동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반품 및 가격보상은 불가합니다.
  • 뷰티 상품 이용 시 트러블(알러지, 붉은 반점, 가려움, 따가움)이 발생하는 경우 진료 확인서 및 소견서 등을 증빙하면 환불이 가능하지만 이 경우, 제반 비용은 고객님께서 부담하셔야 합니다.
  • 각 상품별로 아래와 같은 사유로 취소/반품이 제한 될 수 있습니다.

환불불가
상품군 취소/반품 불가사유
의류/잡화/수입명품 상품의 택(TAG) 제거/라벨 및 상품 훼손으로 상품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된 경우
계절상품/식품/화장품 고객님의 사용, 시간경과, 일부 소비에 의하여 상품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가전/설치상품 전자제품 특성 상, 정품 스티커가 제거되었거나 설치 또는 사용 이후에 단순변심인 경우, 액정화면이 부착된 상품의 전원을 켠 경우 (상품불량으로 인한 교환/반품은 AS센터의 불량 판정을 받아야 합니다.)
자동차용품 상품을 개봉하여 장착한 이후 단순변심의 경우
CD/DVD/GAME/BOOK등 복제가 가능한 상품의 포장 등을 훼손한 경우
내비게이션, OS시리얼이 적힌 PMP 상품의 시리얼 넘버 유출로 내장된 소프트웨어의 가치가 감소한 경우
노트북, 테스크탑 PC 등 홀로그램 등을 분리, 분실, 훼손하여 상품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하여 재판매가 불가할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