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소개
▣ 출판사서평
고려의 500년 도읍지로 유서 깊은 문물을 간직하고 있는 곳 개성. 조선의 사대부들은 이곳을 어떻게 보고 느꼈을까? 우리가 북한 금강산 유람을 간 기분일까? 문장으로 이름 높은 여러 선비들의 문집에서 개성 여행기만 뽑아 엮었다. 만경대, 선죽교, 박연폭포 등 개성의 여러 볼거리들을 코스별로 소개하는가 하면, 동경과 우월감, 호승심, 비판 정신 등 사람에 따라 같은 곳에 대한 감상과 표현도 가지각색이라 이를 비교해 보는 재미도 쏠쏠하다.
조선 전기에는 개경의 여러 지역을 두루 구경하는 경우가 두드러진다. 특히 채수나 유호인 등은 사가독서(賜暇讀書, 채수의 <유송도록>의 주4 참조)의 기회를 얻어 개경을 가는 경우였는데, 여행 기간도 길면서 이동 거리 역시 상당히 길게 나타난다. 조선의 개국을 앞장서서 이끌었던 사대부들이어서 그런지 이들의 글에는 벼슬아치로서의 자부심이나 여행의 즐거움이 작품 전체에 한껏 배어 있기도 하다.
이러한 흥겨운 여행 분위기가 고려 문화에 대해서는 상당히 비판적이면서 철저히 유학자적인 입장으로 바뀌는데, 그 대표적인 글이 바로 생육신의 한 사람이기도 한 추강 남효온의 글이다. 즉 남효온의 글에는 유학적 입장에서 보면 당연히 배제될 법한 괴력난신의 이야기나 남녀가 함께 어울려 노는 당시 풍속들이 그대로 드러나 있으면서도 그러한 풍습이나 이야기를 바라보는 태도는 아주 비판적이다. 한마디로 남효온의 글은 착한 모범생이 옳지 못한 장소에 갔을 때 자신의 도덕적 입장이 더 크게 드러나는 듯한 느낌을 준다. 이러한 글의 특징을 개인적인 성격의 탓으로 돌릴 수도 있겠지만, 크게 보면 조선 전기를 넘어서면서 성리학이 사대부들의 내면으로 서서히 침투해 들어가는 모습이라고 할 수 있다. 말하자면 조선의 산하와 풍속들에 대해 성리학적 입장에서 새판을 짜 가는 과정인 셈이다.
조선 중기에 이르러서 개경은 일종의 유학적 성지(聖地)로 부각된다. 이러한 변신은 조선조에 성리학이 발달하면서 나타난 일로 조선 중기 이후 개경의 기행문을 보면 포은 정몽주나 화담 서경덕의 흔적이 깃든 곳인 선죽교나 화담 등이 단골 메뉴처럼 등장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아마도 이 두 인물이 개경의 여행 코스에 자주 등장하게 된 직접적인 계기는 1573년(선조 6)에 이들을 모시기 위한 숭양서원(崧陽書院)의 건립인 것 같다.
그러나 조선의 전후기를 가릴 것 없이 빼어난 경치를 보기 위해서는 반드시 박연폭포를 찾았다는 것은 전혀 변함이 없다. 박연폭포를 필수 코스로 삼는 까닭으로 뛰어난 풍경 말고도 큰 힘 들이지 않고 찾아갈 수 있는 뛰어난 접근성을 꼽을 수 있다. 한마디로 개경 여행은 박연폭포 찾기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이 책에 실려 있는 글들은 ‘한국문집총간(韓國文集叢刊)’ 가운데 채수의 ≪나재집(懶齋集)≫ 권1, 유호인의 ≪뇌계집≫ 권7, 남효온의 ≪추강선생문집(秋江先生文集)≫ 권6, 조찬한의 ≪현주집(玄洲集)≫ 권15상, 김육의 ≪잠곡선생유고(潛谷先生遺稿)≫ 권14, 김창협의 ≪농암집(農巖集)≫ 권23, 오원의 ≪월곡집(月谷集)≫ 권10에서 뽑아서 번역한 것이다.
▣ 작가 소개
저자 : 채수
조선 초기의 문신이다. 본관은 인천(仁川), 자(字)는 기지(耆之), 호(號)는 나재(懶齋)다. 1468년(세조 14) 생원시에 합격하고, 이듬해 문과에 장원해 사헌부감찰이 되었다. ≪세조실록≫, ≪예종실록≫의 편찬에 참여했다. 1703년(숙종 29) 함창의 사림들에 의해 임호서원(臨湖書院)이 건립되면서 표연말(表沿沫), 홍귀달(洪貴達) 등과 함께 그곳에 제향되었다. 문집으로 ≪나재집≫이 있다. 좌찬성에 추증되고, 시호는 양정(襄靖)이다. 그는 유교 경전뿐만 아니라 산경(山經), 지지(地誌), 패관소설(稗官小說)에까지 해박했고 음악에도 조예가 깊었다. 또한 산수를 좋아해 삼각산, 금강산, 지리산, 팔공산, 가야산, 비슬산, 황악산, 속리산 등의 정상을 두루 올랐다고 한다. 만년에는 서울의 남산 밑에 집을 짓고 인공으로 폭포를 만들어 놓고 눈과 귀, 입을 즐겁게 한다는 ‘폭포 삼락(瀑布三樂)’을 즐기기도 했다.
저자 : 유호인
조선 전기의 문신이다. 자는 극기(克己), 호는 뇌계다. 함양에서 태어나 김종직에게서 배웠고 1462년(세조 8) 생원시와 진사시에 합격했다. 1474년(성종 5)에 문과에 합격하고 승문원 정자가 되었다. ≪동국여지승람≫의 편찬에도 참여했다. 1487년 일흔이 넘은 늙은 어미와 어버이를 잃은 두 딸, 어미를 잃은 두 손자를 돌보기 위해서 사직하고 의성의 현감으로 내려갔다. 이때 성종은 “이시렴 부디 갈까? 아니 가든 못할쏘냐? 무단(無端)이 싫더냐 남의 말을 들었느냐? 그려도 하 애도래라 가는 뜻을 닐러라”라는 시조를 써 주면서 안타까움을 전하기도 했다. 장수의 창계서원(蒼溪書院), 함양의 남계서원(藍溪書院)에 제향되었다. 2007년 12월 함양읍 죽장 마을에는 그를 기려 뇌계공원이 세워지기도 했다.
저자 : 남효온
조선 단종 때의 문신으로 생육신(生六臣)의 한 사람이다. 본관은 의령. 자는 백공(伯恭), 호는 추강(秋江), 행우(杏雨), 최락당(最樂堂), 벽사(碧沙)다. 김종직(1431~1492)의 문인으로 김굉필(1454~1504), 정여창(1450~1504) 등과 함께 수학했다. 1478년(성종 9) 올린 상소에 소릉(昭陵)의 복위를 상주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어 당시 훈구파들로부터 미움을 샀다. 1480년 어머니의 명령에 따라 생원시에 응시해 합격하고 나서는 다시 과거에 나가지 않았다. 그 뒤 벼슬을 단념하고 신영희(1442~1511), 홍유손(1431~1529) 등과 죽림거사(竹林居士)를 자처하고 평생 전국의 명승지를 돌아다니면서 울분을 달랬다. 사후 갑자사화(1504) 때 소릉의 복위를 주장한 일로 부관참시당했다. 고양의 문봉서원(文峰書院), 장흥의 예양서원(汭陽書院), 함안의 서산서원(西山書院), 영월의 창절사(彰節祠), 의령의 향사(鄕祠) 등에 제향되었다. 시호는 문정(文貞)이다. 저서로는 ≪추강집≫, ≪추강냉화(秋江冷話)≫, 당시에는 큰 화를 당할 수도 있었던 사육신(死六臣)의 순절을 다룬 ≪육신전(六臣傳)≫ 등이 있다.
저자 : 조찬한
조선 중기의 문신이다. 본관은 한양, 자는 선술(善述), 호는 현주(玄洲)다. 1601년(선조 34) 생원이 되고 1605년 정시(庭試)에서 장원을 했는데, 선조가 그의 글이 기이하다 해서 어필로 비점을 주고 특별히 전시(殿試)를 보도록 허락했다.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했다. 1618년(광해군 10) 4월 형인 위한(緯韓)과 함께 지리산을 여행하고 <유두류산록(遊頭流山錄)>을 지었다. 그는 특히 사륙변려문에 뛰어났다. 또한 글씨는 종요(鍾繇)와 왕희지의 경지에 이르렀다고 평가받아 사람들이 그의 글씨를 얻으면 귀중히 간직했고, 그와 교유한 권필(權?, 1569~1612), 이안눌(李安訥, 1571~1637), 임숙영(任叔英, 1576~1623) 등은 그를 예원(藝苑)의 거장으로 뽑기를 주저하지 않았다. 그의 후진으로는 이경석(李景奭, 1595~1671), 오숙(1602~1675), 신천익(申天翊, 1592~1661) 등이 있다. 장성 추산사(秋山祠)에 제향되었다. 저서로 ≪현주집≫이 있다. 그는 박연폭포를 장편으로 노래한 60줄짜리 7언 고시인 <박연가(朴淵歌)>를 남기기도 했다.
저자 : 김육
조선 후기의 문신이다. 본관은 청풍(淸風), 자는 백후(伯厚), 호는 잠곡(潛谷), 회정당(晦靜堂)이다. 1605년(선조 38)에 사마회시에 합격해 성균관으로 들어갔다. 1609년(광해군 1)에 성균관 유생들과 함께 김굉필, 정여창, 조광조, 이언적, 이황 등을 문묘에 향사할 것을 건의하는 상소를 올린 것 때문에 문과에 응시할 자격을 박탈당하고 가평 잠곡에 은거했다. 1623년 인조반정 이후 증광문과에 장원으로 급제했다.대동법을 건의해 충청도에 시행하도록 했고, 중국에 두 차례 다녀와서 화폐의 주조와 유통, 수레의 제조와 보급, 시헌력(時憲曆)의 제정과 시행에 노력했다. 저술로는 문집인 ≪잠곡유고≫, 우리나라 최초의 백과사전인 ≪유원총보≫, 흉년에 대처하는 방도를 적은 ≪구황촬요≫ 등이 있다. 미원서원(迷源書院)과 봉강서원(鳳岡書院), 계몽서원(啓蒙書院), 숭양서원(崧陽書院) 등에 배향되고, 1704년(숙종 30)에 잠곡서원(潛谷書院)에 독향(獨享)되었다. 시호는 문정(文貞)이다.
▣ 주요 목차
유송도록(遊松都錄) ···············1
유송도록(遊松都錄) ···············23
송경록(松京錄) ·················61
유천마성거양산기(遊天磨聖居兩山記) ·······103
천성일록(天聖日錄) ···············123
유송경기(遊松京記) ···············145
서유일기(西遊日記) ···············167
해설 ······················195
옮긴이에 대해 ··················202
고려의 500년 도읍지로 유서 깊은 문물을 간직하고 있는 곳 개성. 조선의 사대부들은 이곳을 어떻게 보고 느꼈을까? 우리가 북한 금강산 유람을 간 기분일까? 문장으로 이름 높은 여러 선비들의 문집에서 개성 여행기만 뽑아 엮었다. 만경대, 선죽교, 박연폭포 등 개성의 여러 볼거리들을 코스별로 소개하는가 하면, 동경과 우월감, 호승심, 비판 정신 등 사람에 따라 같은 곳에 대한 감상과 표현도 가지각색이라 이를 비교해 보는 재미도 쏠쏠하다.
조선 전기에는 개경의 여러 지역을 두루 구경하는 경우가 두드러진다. 특히 채수나 유호인 등은 사가독서(賜暇讀書, 채수의 <유송도록>의 주4 참조)의 기회를 얻어 개경을 가는 경우였는데, 여행 기간도 길면서 이동 거리 역시 상당히 길게 나타난다. 조선의 개국을 앞장서서 이끌었던 사대부들이어서 그런지 이들의 글에는 벼슬아치로서의 자부심이나 여행의 즐거움이 작품 전체에 한껏 배어 있기도 하다.
이러한 흥겨운 여행 분위기가 고려 문화에 대해서는 상당히 비판적이면서 철저히 유학자적인 입장으로 바뀌는데, 그 대표적인 글이 바로 생육신의 한 사람이기도 한 추강 남효온의 글이다. 즉 남효온의 글에는 유학적 입장에서 보면 당연히 배제될 법한 괴력난신의 이야기나 남녀가 함께 어울려 노는 당시 풍속들이 그대로 드러나 있으면서도 그러한 풍습이나 이야기를 바라보는 태도는 아주 비판적이다. 한마디로 남효온의 글은 착한 모범생이 옳지 못한 장소에 갔을 때 자신의 도덕적 입장이 더 크게 드러나는 듯한 느낌을 준다. 이러한 글의 특징을 개인적인 성격의 탓으로 돌릴 수도 있겠지만, 크게 보면 조선 전기를 넘어서면서 성리학이 사대부들의 내면으로 서서히 침투해 들어가는 모습이라고 할 수 있다. 말하자면 조선의 산하와 풍속들에 대해 성리학적 입장에서 새판을 짜 가는 과정인 셈이다.
조선 중기에 이르러서 개경은 일종의 유학적 성지(聖地)로 부각된다. 이러한 변신은 조선조에 성리학이 발달하면서 나타난 일로 조선 중기 이후 개경의 기행문을 보면 포은 정몽주나 화담 서경덕의 흔적이 깃든 곳인 선죽교나 화담 등이 단골 메뉴처럼 등장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아마도 이 두 인물이 개경의 여행 코스에 자주 등장하게 된 직접적인 계기는 1573년(선조 6)에 이들을 모시기 위한 숭양서원(崧陽書院)의 건립인 것 같다.
그러나 조선의 전후기를 가릴 것 없이 빼어난 경치를 보기 위해서는 반드시 박연폭포를 찾았다는 것은 전혀 변함이 없다. 박연폭포를 필수 코스로 삼는 까닭으로 뛰어난 풍경 말고도 큰 힘 들이지 않고 찾아갈 수 있는 뛰어난 접근성을 꼽을 수 있다. 한마디로 개경 여행은 박연폭포 찾기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이 책에 실려 있는 글들은 ‘한국문집총간(韓國文集叢刊)’ 가운데 채수의 ≪나재집(懶齋集)≫ 권1, 유호인의 ≪뇌계집≫ 권7, 남효온의 ≪추강선생문집(秋江先生文集)≫ 권6, 조찬한의 ≪현주집(玄洲集)≫ 권15상, 김육의 ≪잠곡선생유고(潛谷先生遺稿)≫ 권14, 김창협의 ≪농암집(農巖集)≫ 권23, 오원의 ≪월곡집(月谷集)≫ 권10에서 뽑아서 번역한 것이다.
▣ 작가 소개
저자 : 채수
조선 초기의 문신이다. 본관은 인천(仁川), 자(字)는 기지(耆之), 호(號)는 나재(懶齋)다. 1468년(세조 14) 생원시에 합격하고, 이듬해 문과에 장원해 사헌부감찰이 되었다. ≪세조실록≫, ≪예종실록≫의 편찬에 참여했다. 1703년(숙종 29) 함창의 사림들에 의해 임호서원(臨湖書院)이 건립되면서 표연말(表沿沫), 홍귀달(洪貴達) 등과 함께 그곳에 제향되었다. 문집으로 ≪나재집≫이 있다. 좌찬성에 추증되고, 시호는 양정(襄靖)이다. 그는 유교 경전뿐만 아니라 산경(山經), 지지(地誌), 패관소설(稗官小說)에까지 해박했고 음악에도 조예가 깊었다. 또한 산수를 좋아해 삼각산, 금강산, 지리산, 팔공산, 가야산, 비슬산, 황악산, 속리산 등의 정상을 두루 올랐다고 한다. 만년에는 서울의 남산 밑에 집을 짓고 인공으로 폭포를 만들어 놓고 눈과 귀, 입을 즐겁게 한다는 ‘폭포 삼락(瀑布三樂)’을 즐기기도 했다.
저자 : 유호인
조선 전기의 문신이다. 자는 극기(克己), 호는 뇌계다. 함양에서 태어나 김종직에게서 배웠고 1462년(세조 8) 생원시와 진사시에 합격했다. 1474년(성종 5)에 문과에 합격하고 승문원 정자가 되었다. ≪동국여지승람≫의 편찬에도 참여했다. 1487년 일흔이 넘은 늙은 어미와 어버이를 잃은 두 딸, 어미를 잃은 두 손자를 돌보기 위해서 사직하고 의성의 현감으로 내려갔다. 이때 성종은 “이시렴 부디 갈까? 아니 가든 못할쏘냐? 무단(無端)이 싫더냐 남의 말을 들었느냐? 그려도 하 애도래라 가는 뜻을 닐러라”라는 시조를 써 주면서 안타까움을 전하기도 했다. 장수의 창계서원(蒼溪書院), 함양의 남계서원(藍溪書院)에 제향되었다. 2007년 12월 함양읍 죽장 마을에는 그를 기려 뇌계공원이 세워지기도 했다.
저자 : 남효온
조선 단종 때의 문신으로 생육신(生六臣)의 한 사람이다. 본관은 의령. 자는 백공(伯恭), 호는 추강(秋江), 행우(杏雨), 최락당(最樂堂), 벽사(碧沙)다. 김종직(1431~1492)의 문인으로 김굉필(1454~1504), 정여창(1450~1504) 등과 함께 수학했다. 1478년(성종 9) 올린 상소에 소릉(昭陵)의 복위를 상주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어 당시 훈구파들로부터 미움을 샀다. 1480년 어머니의 명령에 따라 생원시에 응시해 합격하고 나서는 다시 과거에 나가지 않았다. 그 뒤 벼슬을 단념하고 신영희(1442~1511), 홍유손(1431~1529) 등과 죽림거사(竹林居士)를 자처하고 평생 전국의 명승지를 돌아다니면서 울분을 달랬다. 사후 갑자사화(1504) 때 소릉의 복위를 주장한 일로 부관참시당했다. 고양의 문봉서원(文峰書院), 장흥의 예양서원(汭陽書院), 함안의 서산서원(西山書院), 영월의 창절사(彰節祠), 의령의 향사(鄕祠) 등에 제향되었다. 시호는 문정(文貞)이다. 저서로는 ≪추강집≫, ≪추강냉화(秋江冷話)≫, 당시에는 큰 화를 당할 수도 있었던 사육신(死六臣)의 순절을 다룬 ≪육신전(六臣傳)≫ 등이 있다.
저자 : 조찬한
조선 중기의 문신이다. 본관은 한양, 자는 선술(善述), 호는 현주(玄洲)다. 1601년(선조 34) 생원이 되고 1605년 정시(庭試)에서 장원을 했는데, 선조가 그의 글이 기이하다 해서 어필로 비점을 주고 특별히 전시(殿試)를 보도록 허락했다.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했다. 1618년(광해군 10) 4월 형인 위한(緯韓)과 함께 지리산을 여행하고 <유두류산록(遊頭流山錄)>을 지었다. 그는 특히 사륙변려문에 뛰어났다. 또한 글씨는 종요(鍾繇)와 왕희지의 경지에 이르렀다고 평가받아 사람들이 그의 글씨를 얻으면 귀중히 간직했고, 그와 교유한 권필(權?, 1569~1612), 이안눌(李安訥, 1571~1637), 임숙영(任叔英, 1576~1623) 등은 그를 예원(藝苑)의 거장으로 뽑기를 주저하지 않았다. 그의 후진으로는 이경석(李景奭, 1595~1671), 오숙(1602~1675), 신천익(申天翊, 1592~1661) 등이 있다. 장성 추산사(秋山祠)에 제향되었다. 저서로 ≪현주집≫이 있다. 그는 박연폭포를 장편으로 노래한 60줄짜리 7언 고시인 <박연가(朴淵歌)>를 남기기도 했다.
저자 : 김육
조선 후기의 문신이다. 본관은 청풍(淸風), 자는 백후(伯厚), 호는 잠곡(潛谷), 회정당(晦靜堂)이다. 1605년(선조 38)에 사마회시에 합격해 성균관으로 들어갔다. 1609년(광해군 1)에 성균관 유생들과 함께 김굉필, 정여창, 조광조, 이언적, 이황 등을 문묘에 향사할 것을 건의하는 상소를 올린 것 때문에 문과에 응시할 자격을 박탈당하고 가평 잠곡에 은거했다. 1623년 인조반정 이후 증광문과에 장원으로 급제했다.대동법을 건의해 충청도에 시행하도록 했고, 중국에 두 차례 다녀와서 화폐의 주조와 유통, 수레의 제조와 보급, 시헌력(時憲曆)의 제정과 시행에 노력했다. 저술로는 문집인 ≪잠곡유고≫, 우리나라 최초의 백과사전인 ≪유원총보≫, 흉년에 대처하는 방도를 적은 ≪구황촬요≫ 등이 있다. 미원서원(迷源書院)과 봉강서원(鳳岡書院), 계몽서원(啓蒙書院), 숭양서원(崧陽書院) 등에 배향되고, 1704년(숙종 30)에 잠곡서원(潛谷書院)에 독향(獨享)되었다. 시호는 문정(文貞)이다.
▣ 주요 목차
유송도록(遊松都錄) ···············1
유송도록(遊松都錄) ···············23
송경록(松京錄) ·················61
유천마성거양산기(遊天磨聖居兩山記) ·······103
천성일록(天聖日錄) ···············123
유송경기(遊松京記) ···············145
서유일기(西遊日記) ···············167
해설 ······················195
옮긴이에 대해 ··················202
01. 반품기한
- 단순 변심인 경우 : 상품 수령 후 7일 이내 신청
- 상품 불량/오배송인 경우 : 상품 수령 후 3개월 이내, 혹은 그 사실을 알게 된 이후 30일 이내 반품 신청 가능
02. 반품 배송비
반품사유 | 반품 배송비 부담자 |
---|---|
단순변심 | 고객 부담이며, 최초 배송비를 포함해 왕복 배송비가 발생합니다. 또한, 도서/산간지역이거나 설치 상품을 반품하는 경우에는 배송비가 추가될 수 있습니다. |
고객 부담이 아닙니다. |
03. 배송상태에 따른 환불안내
진행 상태 | 결제완료 | 상품준비중 | 배송지시/배송중/배송완료 |
---|---|---|---|
어떤 상태 | 주문 내역 확인 전 | 상품 발송 준비 중 | 상품이 택배사로 이미 발송 됨 |
환불 | 즉시환불 | 구매취소 의사전달 → 발송중지 → 환불 | 반품회수 → 반품상품 확인 → 환불 |
04. 취소방법
- 결제완료 또는 배송상품은 1:1 문의에 취소신청해 주셔야 합니다.
- 특정 상품의 경우 취소 수수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05. 환불시점
결제수단 | 환불시점 | 환불방법 |
---|---|---|
신용카드 | 취소완료 후, 3~5일 내 카드사 승인취소(영업일 기준) | 신용카드 승인취소 |
계좌이체 |
실시간 계좌이체 또는 무통장입금 취소완료 후, 입력하신 환불계좌로 1~2일 내 환불금액 입금(영업일 기준) |
계좌입금 |
휴대폰 결제 |
당일 구매내역 취소시 취소 완료 후, 6시간 이내 승인취소 전월 구매내역 취소시 취소 완료 후, 1~2일 내 환불계좌로 입금(영업일 기준) |
당일취소 : 휴대폰 결제 승인취소 익월취소 : 계좌입금 |
포인트 | 취소 완료 후, 당일 포인트 적립 | 환불 포인트 적립 |
06. 취소반품 불가 사유
- 단순변심으로 인한 반품 시, 배송 완료 후 7일이 지나면 취소/반품 신청이 접수되지 않습니다.
- 주문/제작 상품의 경우, 상품의 제작이 이미 진행된 경우에는 취소가 불가합니다.
- 구성품을 분실하였거나 취급 부주의로 인한 파손/고장/오염된 경우에는 취소/반품이 제한됩니다.
- 제조사의 사정 (신모델 출시 등) 및 부품 가격변동 등에 의해 가격이 변동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반품 및 가격보상은 불가합니다.
- 뷰티 상품 이용 시 트러블(알러지, 붉은 반점, 가려움, 따가움)이 발생하는 경우 진료 확인서 및 소견서 등을 증빙하면 환불이 가능하지만 이 경우, 제반 비용은 고객님께서 부담하셔야 합니다.
- 각 상품별로 아래와 같은 사유로 취소/반품이 제한 될 수 있습니다.
상품군 | 취소/반품 불가사유 |
---|---|
의류/잡화/수입명품 | 상품의 택(TAG) 제거/라벨 및 상품 훼손으로 상품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된 경우 |
계절상품/식품/화장품 | 고객님의 사용, 시간경과, 일부 소비에 의하여 상품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
가전/설치상품 | 전자제품 특성 상, 정품 스티커가 제거되었거나 설치 또는 사용 이후에 단순변심인 경우, 액정화면이 부착된 상품의 전원을 켠 경우 (상품불량으로 인한 교환/반품은 AS센터의 불량 판정을 받아야 합니다.) |
자동차용품 | 상품을 개봉하여 장착한 이후 단순변심의 경우 |
CD/DVD/GAME/BOOK등 | 복제가 가능한 상품의 포장 등을 훼손한 경우 |
상품의 시리얼 넘버 유출로 내장된 소프트웨어의 가치가 감소한 경우 | |
노트북, 테스크탑 PC 등 | 홀로그램 등을 분리, 분실, 훼손하여 상품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하여 재판매가 불가할 경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