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소개
가상화폐 비트코인의 핵심 기술로 세상에 알려진 블록체인은 현재 전 세계적으로 금융을 비롯해 제조, 유통, 공공, 의료 등 대부분의 산업군에서 블록체인 기반의 서비스를 앞다투어 도입하거나 검토하고 있다. 이 책은 블록체인 기술에 대한 쉽게 설명하고 있어서 전반적인 블록체인 기술, 특히 프라이빗 블록체인에 대해 이해하기 좋은 책이다. 블록체인 도입을 검토하는 기획자부터 블록체인 기반의 시스템을 개발해야 하는 개발자까지 블록체인의 기본 개념을 익히려면 반드시 읽어봐야 할 책이다.
★ 이 책에서 다루는 내용 ★
◎ [1부 기초편] 블록체인 기술을 둘러싼 전 세계 동향 소개
◎ [2부 이론편] 블록체인 기술을 구성하는 여러 기술에는 어떤 것이 있고 각각 무엇인지 설명
◎ [3부 실천편] 블록체인 기술 중 대표적인 플랫폼(블록체인 기반 기술)을 몇 가지 다루며 개발에 필요한 기본적인 지식을 예제 코드와 함께 설명
◎ [특별부록] 최신 Hyperledger Fabric v1.0 소개
작가 소개
아카하네 요시하루
1, 3, 14장 담당, 주식회사 NTT 데이터, 금융사업추진부 기술전략추진부 시스템 기획 담당 부장
아이케이 마나부
2, 6, 8, 10, 11, 12장 담당, 주식회사 NTT 데이터, 금융사업추진부 기술전략추진부 시스템 기획 담당 과장대리
이소 토모히로
4장 담당, 주식회사 NTT 데이터, 금융사업추진부 기술전략추진부 시스템 기획 담당 주임
혼다 히로시
5장 담당, 주식회사 NTT 데이터, 금융사업추진부 기술전략추진부 시스템 기획 담당
노지마 리이치로
7장 담당, 주식회사 NTT 데이터, 금융사업추진부 기술전략추진부 시스템 기획 담당 과장대리
호죠 마사시
7장 담당, 주식회사 NTT 데이터, 기술혁신총괄본부 시스템 기술본부 방식기술부
시바타 마사유키
9장 담당, 주식회사 NTT 데이터, 금융사업추진부 기술전략추진부 시스템 기획 담당
이나바 타카히로
13장 담당, 주식회사 NTT 데이터, 금융사업추진부 기술전략추진부 시스템 기획 담당 과장대리
나리키요 요시히로
13장 담당, 주식회사 NTT 데이터, 금융사업추진부 기술전략추진부 시스템 기획 담당
나가이 야스토시
11, 12장 담당, 스즈요 신와토 주식회사...
역자 : 양현
경희대학교 지리학과를 졸업하고 웹 개발자로 근무하다 보안 업무에 뛰어들었다. SK인포섹에서 소스 취약점 분석, 모의해킹, 서버 취약점 분석 업무로 본격적인 보안 실무 경험을 쌓고, 일본 NHN-Techorus에서 앱(웹/모바일) 진단 및 교육을 담당하고 있다. 번역한 책으로는 『CTF 정보보안 콘테스트 챌린지 북』 『알기 쉽게 설명한 VMware NSX』 『리눅스 서버 보안』 『취약점 진단 스타트 가이드』가 있다.
감수 : 공무제
한국IBM에서 블록체인 에반젤리스트로 활동하고 있다. 산업공학을 전공하고, 졸업 후 오픈소스 BPMS 프로젝트 멤버의 엔진 개발자로서 첫 사회생활을 시작했다. 다수의 회사에서 자바 기반 의 소프트웨어 엔지니어에서부터 WAS, 모바일 플랫폼 엔지니어 등을 담당하면서 웹에서 미들웨 어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스펙트럼의 기술과 경험을 쌓았다.
목 차
▣ 1장: 프롤로그
1.1. 비트코인이 ‘반감기’를 맞이했다!?
1.2. 비트코인은 시스템 비용을 절감하는가
__1.2.1. 비트코인 유지 비용
__1.2.2. 비트코인 시스템의 처리 성능
__1.2.3. 사실은 비싼 비트코인
1.3. 혁신은 사업 계획에 있다
1.3.1. 블록체인의 본질에 대한 이해
▣ 2장: 블록체인의 흐름
2.1. 시작은 비트코인
__2.1.1. 비트코인의 탄생
__2.1.2. 비트코인의 평판
__2.1.3. 블록체인 기술에 대한 주목
2.2. 핀테크로서의 블록체인 기술
2.3. 시스템 개발 기술로서의 블록체인
▣ 3장: 블록체인 기술이란?
3.1. 블록체인과 비트코인
3.2. 분산 원장을 지원하는 기술
__3.2.1. 분산 원장이란
__3.2.2. 분산 원장의 이점
__3.2.3. 분산 원장의 단점
3.3. 블록체인이 널리 퍼질 가능성
▣ 4장: 블록체인 기술의 응용
4.1. 블록체인의 특징
4.2. 결제 및 거래에서의 응용
__4.2.1. 가상 화폐
__4.2.2. 송금?결제
__4.2.3. 무역 금융
__4.2.4. 자금 조달
__4.2.5. 마켓플레이스
__4.2.6. 전력시장
__4.2.7. 영상 콘텐츠 서비스
4.3. 서명 및 증명에서의 응용
__4.3.1. 저작권 관리
__4.3.2. 고액 물품 거래 추적
__4.3.3. 계약 관리 및 실행
__4.3.4. 문서 공증
4.4. 신규 서비스 응용
4.4.1. IoT
4.4.2. 투표54
4.5. 기타 응용 사례
4.6. 이후 과제
▣ 5장: 블록체인 업계 동향
5.1. 금융 분야
__5.1.1. 해외 은행
__5.1.2. 일본 은행
__5.1.3. 금융 상품 거래소
__5.1.4. 중앙은행
__5.1.5. 기타 금융 분야
5.2. 공공 분야
__5.2.1. 에스토니아 정부 동향
__5.2.2. 영국 정부 동향
__5.2.3. 미국 정부 동향
__5.2.4. 일본 정부 동향
5.3. 기타 분야
__5.3.1. 제조업계 동향
__5.3.2. 학술업계 동향
__5.3.3. 업계 단체 동향
__5.3.4. 기타 기업?단체 동향
[2부] 이론편
▣ 6장: 블록체인 구조
6.1. 비트코인 구조
__6.1.1. 비트코인의 목적
__6.1.2. 비트코인 구현 방법
__6.1.3. 비잔티움 장군 문제
__6.1.4. 비트코인의 처리 흐름
6.2. 블록체인 기술의 구성 요소와 분류
__6.2.1. 비트코인 이외의 블록체인 기반 기술
__6.2.2. 블록체인 기술 구성 요소
__6.2.3. 블록체인 기반 기술의 분류
6.3. 블록체인 기반 기술 비교
__6.3.1. 아키텍처 비교
__6.3.2. 데이터 모델 비교
▣ 7장: P2P 네트워크
7.1. P2P 네트워크 개요
7.2. P2P 네트워크 설계
__7.2.1. 퓨어 P2P와 하이브리드 P2P
__7.2.2. 비 구조화 오버레이와 구조화 오버레이
__7.2.3. 블록체인 기반 기술 분류
7.3. P2P 네트워크에 따른 블록체인의 동작(개요)
7.4. P2P 네트워크에 따른 블록체인의 동작(상세)
__7.4.1. P2P 네트워크에서 다른 노드와의 연계
__7.4.2. 데이터(블록) 송수신
7.5. 향후 과제
▣ 8장: 합의 알고리즘
8.1. 합의 알고리즘이란?
8.2. 계산량에 따른 증명(Proof of Work)의 문제점
8.3. 합의 알고리즘의 종류
__8.3.1. 대표적인 합의 알고리즘
__8.3.2. 분산 시스템의 장애 모델
8.4. 각 합의 알고리즘의 특징
8.5. 이후의 과제
▣ 9장: 전자 서명과 해시
9.1. 전자 서명을 통한 위조 및 변조 방지
__9.1.1. 전자 서명 개요
__9.1.2. 블록체인에서 전자 서명 이용
9.2. 해시를 통한 위조 및 변조 방지
__9.2.1. 해시 개요
__9.2.2. 블록체인에서 해시 이용
9.3. 향후 과제
__9.3.1. 암호 기술로서의 과제
__9.3.2. 기업 이용에 있어서의 과제
▣ 10장: 이용에 있어서의 과제
10.1. 적용 영역의 확대와 블록체인 기반 기술
10.2. 엔터프라이즈 영역에서 풀어야 할 과제
10.3. 엔터프라이즈 이용에 남은 과제
[3부] 실천편
▣ 11장: Bitcoin Core
11.1. 비트코인과 Bitcoin Core
__11.1.1. Bitcoin Core란?
__11.1.2. Bitcoin Core 작동
11.2. Bitcoin Core 설치부터 기동까지
__11.2.1. Bitcoin Core 설치
__11.2.2. 테스트넷에서 기동
11.3. Bitcoin Core 조작
__11.3.1. 블록 생성
__11.3.2. 블록 수 확인
__11.3.3. 계좌 생성
__11.3.4. 잔고 확인
__11.3.5. 송금
__11.3.6. 채굴
__11.3.7. 송금 확인
▣ 12장: 이더리움
12.1. 이더리움 개요
__12.1.1. 이더리움이란?
__12.1.2. 이더리움 구동
__12.1.3. 이더리움 설치
__12.1.4. 테스트 네트워크 구축
__12.1.5. 계좌 생성
__12.1.6. 잔고 확인
__12.1.7. 블록 수 확인
__12.1.8. 송금
__12.1.9. 송금 확인
__12.1.10. geth 정지
12.2. Contract를 사용한 샘플 개발
__12.2.1. 이더리움 확장 기능
__12.2.2. 이더리움 프로그래밍
__12.2.3. 개발 도구 준비
__12.2.4. browser-solidity 기동
__12.2.5. Contract 작성
__12.2.6. Contract 배포
__12.2.7. 테스트 데이터 입력
__12.2.8. HTML 파일 작성
__12.2.9. 연결 대상 및 사용자 정보 설정
__12.2.10. 샘플 응용 프로그램 실행
__12.2.11. 블록 상태 모니터링 도구 작성
▣ 13장: Hyperledger Fabric
13.1. Hyperledger Fabric 개요
__13.1.1. Hyperledger Project와 Hyperledger Fabric
__13.1.2. 멤버십 서비스
__13.1.3. 합의 알고리즘
__13.1.4. Fabric의 ‘원장’
__13.1.5. 체인 코드
__13.1.6. Validating Peer
__13.1.7. Hyperledger Project와 Hyperledger Fabric의 정보 소스
13.2. Hyperledger Fabric 구동
__13.2.1. 개발 환경 설정
__13.2.2. 가상 머신에 접속
__13.2.3. 개발 모드로 실행
__13.2.4. CA 서버 기동
__13.2.5. Validating Peer 기동
__13.2.6. 체인 코드 프로세스 기동
__13.2.7. 로그인
__13.2.8. 배포 트랜잭션 실행
__13.2.9. Invoke 트랜잭션 실행
__13.2.10. Query 트랜잭션 실행
13.3. 체인 코드를 사용한 샘플 개발
__13.3.1. 실행 환경
__13.3.2. 개발 도구 준비
__13.3.3. 체인 코드 작성
__13.3.4. HTML 파일 작성
__13.3.5. 도커 이미지 생성
__13.3.6. Docker Compose 설정 파일 편집
__13.3.7. Docker Compose에서 기동
__13.3.8. 샘플 응용 프로그램 실행
__13.3.9. 모니터링 도구 작성
▣ 14장: 에필로그
14.1. The DAO Attack 사건과 하드 포크 문제
__14.1.1. 사건의 개요와 논점
__14.1.2. The DAO Attack 사건의 교훈
14.2. 블록체인 사용 [방법론]
▣ 특별부록: Hyperledger Fabric v1.0
A.1. Overview
1.1. 시스템 아키텍처
__1.1.1. 트랜잭션
__1.1.2. 블록체인 데이터 구조
__1.1.3. 노드
__1.1.4. 트랜잭션의 흐름
A.2. Fabric 네트워크 구성하기
2.1. 사전 준비 사항
2.2. Hyperledger Fabric 소스 받기 및 빌드
2.3. Fabric 네트워크 부트스트랩을 위한 준비
__2.3.1. Crypto Generator
__2.3.2. Configuration Transaction Generator
__2.3.3. 설정파일 준비
__2.3.4. 인증서 및 아티팩트 생성
A.3. Fabric 네트워크 시작
3.1. 채널 생성
3.2. 채널에 피어 참여
__3.2.1. Peer0.org1
__3.2.2. Peer1.org1
__3.2.3. Peer0.org2
__3.2.4. Peer1.org2
3.3. Anchor 피어 설정
3.4. 체인코드 디폴로이 및 동작 확인
__3.4.1. 체인코드 디플로이
__3.4.2. 체인코드 초기화
__3.4.3. Query
__3.4.4. Invoke
__3.4.5. Query
A.4. CouchDB 사용하기
A.5. 정리하며
- 단순 변심인 경우 : 상품 수령 후 7일 이내 신청
- 상품 불량/오배송인 경우 : 상품 수령 후 3개월 이내, 혹은 그 사실을 알게 된 이후 30일 이내 반품 신청 가능
반품사유 | 반품 배송비 부담자 |
---|---|
단순변심 | 고객 부담이며, 최초 배송비를 포함해 왕복 배송비가 발생합니다. 또한, 도서/산간지역이거나 설치 상품을 반품하는 경우에는 배송비가 추가될 수 있습니다. |
고객 부담이 아닙니다. |
진행 상태 | 결제완료 | 상품준비중 | 배송지시/배송중/배송완료 |
---|---|---|---|
어떤 상태 | 주문 내역 확인 전 | 상품 발송 준비 중 | 상품이 택배사로 이미 발송 됨 |
환불 | 즉시환불 | 구매취소 의사전달 → 발송중지 → 환불 | 반품회수 → 반품상품 확인 → 환불 |
- 결제완료 또는 배송상품은 1:1 문의에 취소신청해 주셔야 합니다.
- 특정 상품의 경우 취소 수수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결제수단 | 환불시점 | 환불방법 |
---|---|---|
신용카드 | 취소완료 후, 3~5일 내 카드사 승인취소(영업일 기준) | 신용카드 승인취소 |
계좌이체 |
실시간 계좌이체 또는 무통장입금 취소완료 후, 입력하신 환불계좌로 1~2일 내 환불금액 입금(영업일 기준) |
계좌입금 |
휴대폰 결제 |
당일 구매내역 취소시 취소 완료 후, 6시간 이내 승인취소 전월 구매내역 취소시 취소 완료 후, 1~2일 내 환불계좌로 입금(영업일 기준) |
당일취소 : 휴대폰 결제 승인취소 익월취소 : 계좌입금 |
포인트 | 취소 완료 후, 당일 포인트 적립 | 환불 포인트 적립 |
- 단순변심으로 인한 반품 시, 배송 완료 후 7일이 지나면 취소/반품 신청이 접수되지 않습니다.
- 주문/제작 상품의 경우, 상품의 제작이 이미 진행된 경우에는 취소가 불가합니다.
- 구성품을 분실하였거나 취급 부주의로 인한 파손/고장/오염된 경우에는 취소/반품이 제한됩니다.
- 제조사의 사정 (신모델 출시 등) 및 부품 가격변동 등에 의해 가격이 변동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반품 및 가격보상은 불가합니다.
- 뷰티 상품 이용 시 트러블(알러지, 붉은 반점, 가려움, 따가움)이 발생하는 경우 진료 확인서 및 소견서 등을 증빙하면 환불이 가능하지만 이 경우, 제반 비용은 고객님께서 부담하셔야 합니다.
- 각 상품별로 아래와 같은 사유로 취소/반품이 제한 될 수 있습니다.
상품군 | 취소/반품 불가사유 |
---|---|
의류/잡화/수입명품 | 상품의 택(TAG) 제거/라벨 및 상품 훼손으로 상품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된 경우 |
계절상품/식품/화장품 | 고객님의 사용, 시간경과, 일부 소비에 의하여 상품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
가전/설치상품 | 전자제품 특성 상, 정품 스티커가 제거되었거나 설치 또는 사용 이후에 단순변심인 경우, 액정화면이 부착된 상품의 전원을 켠 경우 (상품불량으로 인한 교환/반품은 AS센터의 불량 판정을 받아야 합니다.) |
자동차용품 | 상품을 개봉하여 장착한 이후 단순변심의 경우 |
CD/DVD/GAME/BOOK등 | 복제가 가능한 상품의 포장 등을 훼손한 경우 |
상품의 시리얼 넘버 유출로 내장된 소프트웨어의 가치가 감소한 경우 | |
노트북, 테스크탑 PC 등 | 홀로그램 등을 분리, 분실, 훼손하여 상품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하여 재판매가 불가할 경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