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소개
모두가 궁금해 하는 부동산 똑똑하게 보는 방법
명강사 최진기의 대한민국 부동산 특강!
부동산이 사유재산으로 인정된 이래, 어느 시대 어떤 나라든 부동산가격에 관한 여론은 시끄럽다. 땅값, 집값이 얼마나 오르고 내리는지가 우리 삶의 질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특히 가계의 소득격차가 벌어지고 소득분배 상황이 악화되면서 정부 부동산정책이 내집마련의 디딤돌이 될지 걸림돌이 될지 여부에 촉각이 쏠리고 있다. 자고 일어나면 서울 시내 아파트가격 하한선이 얼마고 서울 사는 삼십대 월세 비율이 절반을 넘어섰다는 식의 부동산 뉴스가 매일 넘쳐나는 요즘은 이제나저제나 부동산매매의 기회를 기다리고 있는 사람들이 길을 잃어버리기 십상인 때다. 어려운 경제지식을 누구나 이해하기 쉽게 설명해주는 강의로 유명한 저자는 어떤 관점으로 혼잡한 부동산시장을 바라봐야 최선의 판단을 내릴 수 있는지 알려준다.
오늘날 부동산투자를 관통하는 핵심 질문들이 있다. 부동산에서 시장을 이기는 정부가 정말 존재하는지, 역대 정부의 부동산정책이 어떤 성과를 거두었는지, 문재인 정부는 부동산을 잡을 수 있을지, 집값의 상승 또는 하락에 정책적으로 어떻게 대응할지, 대한민국 부동산이 적정 가격에 형성되어 있는지, 부동산 버블붕괴 시나리오가 실현될 것인지, 투기가 아닌 투자 목적의 부동산을 언제 사야 할지, 저자는 이 책을 구성하는 일곱 가지 질문에 대해 다양한 경제이론과 풍부한 자료, 흥미진진한 이야기를 통해 해설한다. 막막한 부동산투자의 친근하고 유용한 길잡이가 되어줄 필독서다.
저자 최진기는 대중에게 많은 사랑을 받아온 특유의 강의 스타일 그대로를 적용해 정치, 경제, 사회, 역사, 인문 전반을 아우르며 투자자들이 가장 궁금해 하는 두 가지 질문-“앞으로 부동산시장은 어떻게 될까?”, “지금 당장 집을 사야 할까, 말아야 할까?”-에 충실하게 답한다. 결론은 간단하지만 중요한 것은 답을 찾는 ‘과정’이다. 저자는 이를 위해 필요한 것이 바로 ‘정치경제학(political economy)적인 관점’임을 강조한다. 과거 그리고 현재의 부동산정책이 어떤 방향성을 가지는지, 부동산이란 투자자산은 어떤 속성을 보이는지, 변화를 앞둔 부동산시장이 향후 몇 년 동안 어떻게 움직일지, 이 책의 흐름을 따라 이해하고 분석하고 예측하는 과정을 통해 부동산투자의 메커니즘과 더불어 ‘부동산가격의 비밀’을 간파할 수 있다.
작가 소개
저 : 최진기
저자 최진기는 인문학의 대중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는 대한민국 대표 강사다. 고려대학교 사회학과와 한림대학교 대학원 사회학과를 나온 후, 학생들에게 사회문화 과목을 가르쳤다. 현재는 대중을 대상으로 철학부터 역사, 경제, 사회 전반을 아우르는, 한 곳에 매몰되지 않은 인문학을 선보이고 있다. 2008년 환율 해설 강의를 통해 대중들에게 인기를 얻기 시작하였으며, 2010년부터 현재까지 오마이스쿨 인문학 대표강사로 활동 중이다. 다가가기 어려운 인문학을 최진기만의 시각으로 쉽게 풀어내며, 탁월한 강의력과 명쾌한 전달력을 기반으로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 어렵고 복잡한 인문학과 경제 현상을 더 많은 대중들이 쉽게 다가갈 수 있도록 불철주야 노력하고 있다.
저서로는 베스트셀러인 『최진기의 지금 당장 경제학』, 『인문학의 바다에 빠져라』, 『최진기의 뒤죽박죽 경제상식』등이 있다. 최진기의 경제학, 인문학 강의는 오마이스쿨(www.ohmyschool.org)에서 볼 수 있다. KBS 생존경제 진행했고 이투스 사회탐구영역 강사였으며, 현재 오마이스쿨 대표강사이다.
주요 저서로는 <인문의 바다에 빠져라1, 2>, <최진기의 교실 밖 인문학>, <최진기의 지금 당장 경제학>, <최진기와 함께 읽는 21세기 자본>가 있다.
목 차
프롤로그 _ 정치경제학으로 부동산을 바라보자
chapter 1 ‘시장을 이기는 정부는 없다’라는 일그러진 신화
01 언론에 의해 왜곡되는 부동산시장 19
모든 규제는 반동을 불러온다? 20
미디어가 부동산을 다루는 방식 _ 더블스피크 23
economic insight _ ‘토지공개념’과 프레임 전쟁 29
02 ‘규제를 이기는 시장’과 시장주의 패러독스 32
로베스피에르의 ‘반값 우유’ 정책 33
정조의 쌀값 규제와 박지원의 상소 35
‘나쁜 돈’ 때문에 민심 잃은 흥선대원군 37
폭격 없이 도시를 파괴하는 방법? _ 맨큐의 아이러니 39
economic insight _ 그래프로 이해하는 최고가격제 45
03 시장을 이기는 정부는 언제 어디서나 존재했다 48
시장은 만능이며 완전하다는 착각 52
아베의 화살은 시장이 만들었을까? 53
부동산시장을 이긴 싱가포르 정부 55
economic insight _ 맬서스와 리카도의 곡물법 논쟁 61
chapter 2 대한민국 정부는 부동산 안정화에 실패한 적이 없다
01 부동산에 대한 국민정서, 오해와 진실 67
하늘 높은 줄 모르고 치솟는 부동산가격? 68
내집마련의 꿈이 사라진 부동산시장? 74
economic insight _ 한국의 독특한 주거문화, 전세제 81
02 부동산을 잡은 정부, 부동산을 사랑한 정부 83
역대 정부의 부동산정책은 어떤 그림을 그렸나 84
부동산을 잡은 첫 번째 정권 _ 노태우 정부 87
부동산을 잡은 두 번째 정권 _ 노무현 정부 91
부동산을 사랑한 정권 _ 이명박·박근혜 정부 97
chapter 3 부동산시장에 새로운 질서가 시작된다
01 ‘J노믹스’를 알아야 부동산의 미래가 보인다 103
소득주도 성장론이란 무엇인가 105
부동산정책이 선거 승리의 마중물 113
02 문재인 정부가 부동산을 잡을 수 있는 이유 118
부동산 대세상승기가 아니다 120
오를 일밖에 없는 금리 126
부동산 패러다임이 변했다 131
economic insight _ 종부세의 파란만장한 역사 137
chapter 4 부동산이라는 상품의 속성부터 파악하자
01 부동산가격, 정부가 얼마든지 통제할 수 있다 143
부동산은 거래가 투명한 상품이다 145
부동산은 금융정책이 용이한 상품이다 149
02 부동산시장, 수요와 공급의 특수성 152
수요보다 가수요가 더 중요한 시장 153
공급이 완전비탄력적인 시장 156
economic insight _ 가격탄력성으로 읽는 수요량과 공급량 161
03 부동산 가수요를 억제하는 방법 165
부동산 가수요란 무엇인가 166
LTV, DTI 강화는 왜 논란의 대상일까? 170
무분별한 갭투자를 잡아야 한다 173
economic insight _ 부동산억제책 비판기사 톺아보기 178
chapter 5 부동산가격에 관한 선입견과 도그마
01 부동산가격을 바라보는 전제부터 잘못됐다 183
도덕주의자의 눈을 버려라 184
PIR 지수의 아전인수(我田引水)식 활용 193
economic insight _ ‘검은 백조’와 귀납적 사고 201
02 대한민국 부동산은 비싼가, 싼가 204
다른 나라보다 비싸다? 206
누가 아파트가격을 올리는가 210
실질소득에 비해 비싸다? 213
본래가치보다 비싸다? 214
economic insight _ 부동산가격의 착시현상 220
chapter 6 대한민국 부동산, 폭등도 폭락도 없다
01 가계부채 문제를 어떻게 볼 것인가 225
실질소득 증가 없는 부동산가격 상승의 결과 229
부채는 자산과 같이 보아야 한다 233
economic insight _ 부동산가격, 체감과 실제의 온도차 239
02 금리인상은 버블붕괴의 트리거가 될 것인가 242
버블을 경제이론으로 정립하다 _ 민스키 모멘트 246
서브프라임 모기지론 사태와 일본 부동산 버블붕괴 247
대한민국 가계, 아직 건재하다 253
economic insight _ 헤지펀드와 헤지투자는 다르다 259
03 정말 걱정해야 할 것은 부동산 버블이 아니다 260
버블은 약한 고리에서 터진다 262
금리인상시 대한민국의 약한 고리는? 265
chapter 7 부동산투자, 저가매수의 기회는 오는가
01 부동산에는 불패신화도 영원한 무덤도 없다 273
대박과 쪽박의 아이콘, 송도를 기억하십니까? 275
공급물량이 해소되는 시점을 노려라 278
02 사람들은 도대체 왜 비싸게 사서 싸게 팔까? 284
투자심리의 동조현상을 극복해야 한다 285
평균회귀이론이 부동산가격에 적용된다 289
부동산투자에도 행동경제학이 필요하다 292
economic insight _ 행동경제학은 완벽한 대안일까? 298
재화 등의 배송방법에 관한 정보 | 상품 상세설명페이지 참고 |
---|---|
주문 이후 예상되는 배송기간 | 상품 상세설명페이지 참고 |
제품하자가 아닌 소비자의 단순변심, 착오구매에 따른 청약철회 시 소비자가 부담하는 반품비용 등에 관한 정보 | 배송ㆍ교환ㆍ반품 상세설명페이지 참고 |
제품하자가 아닌 소비자의 단순변심, 착오구매에 따른 청약철회가 불가능한 경우 그 구체적 사유와 근거 | 배송ㆍ교환ㆍ반품 상세설명페이지 참고 |
재화등의 교환ㆍ반품ㆍ보증 조건 및 품질보증 기준 | 소비자분쟁해결기준(공정거래위원회 고시) 및 관계법령에 따릅니다. |
재화등의 A/S 관련 전화번호 | 상품 상세설명페이지 참고 |
대금을 환불받기 위한 방법과 환불이 지연될 경우 지연에 따른 배상금을 지급받을 수 있다는 사실 및 배상금 지급의 구체적 조건 및 절차 | 배송ㆍ교환ㆍ반품 상세설명페이지 참고 |
소비자피해보상의 처리, 재화등에 대한 불만처리 및 소비자와 사업자 사이의 분쟁처리에 관한 사항 | 소비자분쟁해결기준(공정거래위원회 고시) 및 관계법령에 따릅니다. |
거래에 관한 약관의 내용 또는 확인할 수 있는 방법 | 상품 상세설명페이지 및 페이지 하단의 이용약관 링크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
- 단순 변심인 경우 : 상품 수령 후 7일 이내 신청
- 상품 불량/오배송인 경우 : 상품 수령 후 3개월 이내, 혹은 그 사실을 알게 된 이후 30일 이내 반품 신청 가능
반품사유 | 반품 배송비 부담자 |
---|---|
단순변심 | 고객 부담이며, 최초 배송비를 포함해 왕복 배송비가 발생합니다. 또한, 도서/산간지역이거나 설치 상품을 반품하는 경우에는 배송비가 추가될 수 있습니다. |
고객 부담이 아닙니다. |
진행 상태 | 결제완료 | 상품준비중 | 배송지시/배송중/배송완료 |
---|---|---|---|
어떤 상태 | 주문 내역 확인 전 | 상품 발송 준비 중 | 상품이 택배사로 이미 발송 됨 |
환불 | 즉시환불 | 구매취소 의사전달 → 발송중지 → 환불 | 반품회수 → 반품상품 확인 → 환불 |
- 결제완료 또는 배송상품은 1:1 문의에 취소신청해 주셔야 합니다.
- 특정 상품의 경우 취소 수수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결제수단 | 환불시점 | 환불방법 |
---|---|---|
신용카드 | 취소완료 후, 3~5일 내 카드사 승인취소(영업일 기준) | 신용카드 승인취소 |
계좌이체 |
실시간 계좌이체 또는 무통장입금 취소완료 후, 입력하신 환불계좌로 1~2일 내 환불금액 입금(영업일 기준) |
계좌입금 |
휴대폰 결제 |
당일 구매내역 취소시 취소 완료 후, 6시간 이내 승인취소 전월 구매내역 취소시 취소 완료 후, 1~2일 내 환불계좌로 입금(영업일 기준) |
당일취소 : 휴대폰 결제 승인취소 익월취소 : 계좌입금 |
포인트 | 취소 완료 후, 당일 포인트 적립 | 환불 포인트 적립 |
- 단순변심으로 인한 반품 시, 배송 완료 후 7일이 지나면 취소/반품 신청이 접수되지 않습니다.
- 주문/제작 상품의 경우, 상품의 제작이 이미 진행된 경우에는 취소가 불가합니다.
- 구성품을 분실하였거나 취급 부주의로 인한 파손/고장/오염된 경우에는 취소/반품이 제한됩니다.
- 제조사의 사정 (신모델 출시 등) 및 부품 가격변동 등에 의해 가격이 변동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반품 및 가격보상은 불가합니다.
- 뷰티 상품 이용 시 트러블(알러지, 붉은 반점, 가려움, 따가움)이 발생하는 경우 진료 확인서 및 소견서 등을 증빙하면 환불이 가능하지만 이 경우, 제반 비용은 고객님께서 부담하셔야 합니다.
- 각 상품별로 아래와 같은 사유로 취소/반품이 제한 될 수 있습니다.
상품군 | 취소/반품 불가사유 |
---|---|
의류/잡화/수입명품 | 상품의 택(TAG) 제거/라벨 및 상품 훼손으로 상품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된 경우 |
계절상품/식품/화장품 | 고객님의 사용, 시간경과, 일부 소비에 의하여 상품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
가전/설치상품 | 전자제품 특성 상, 정품 스티커가 제거되었거나 설치 또는 사용 이후에 단순변심인 경우, 액정화면이 부착된 상품의 전원을 켠 경우 (상품불량으로 인한 교환/반품은 AS센터의 불량 판정을 받아야 합니다.) |
자동차용품 | 상품을 개봉하여 장착한 이후 단순변심의 경우 |
CD/DVD/GAME/BOOK등 | 복제가 가능한 상품의 포장 등을 훼손한 경우 |
상품의 시리얼 넘버 유출로 내장된 소프트웨어의 가치가 감소한 경우 | |
노트북, 테스크탑 PC 등 | 홀로그램 등을 분리, 분실, 훼손하여 상품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하여 재판매가 불가할 경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