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소개
한민족 정신독립과 민족주의 사학 부르짖다!
민족사를 새롭게 인식시켜 구국정신을 이끌어내다!
독립운동의 정신적 원동력을 불어넣다!
보라! 신채호․박은식 두 선각자 피눈물의 기록!
“역사는 역사를 위하여 역사를 만드는 것이지, 역사 이외에 무슨 다른 목적을 위하여 만드는 것이 아니다. 다시 말해서 역사는 사회 유동 상태와 거기서 발생한 사실을 객관적으로 있는 그대로 적은 것이지, 지은이의 목적에 따라 그 사실을 좌우하거나 덧붙이거나 달리 고칠 것이 아니다.” -신채호 《조선상고사》에서
“옛사람이 이르기를 나라는 멸할 수 있으나 역사는 멸할 수 없다고 하였다. 나라는 형체이고 역사는 정신이다. 이제 한국의 형체는 허물어졌으나 정신만을 홀로 보존하는 것이 어찌 불가능하겠는가. 정신이 보존되어 멸하지 아니하면 형체는 반드시 부활할 때가 있을 것이다.” -박은식《한국통사》에서
《조선상고사》! 날조된 한국고대사혁파하다!
《조선상고사(朝鮮上古史)》는 독립운동가이자 역사학자인 단재 신채호(申采浩)가 한민족 역사를 새롭게 인식함으로써 정신 독립과 그 정신 기틀을 찾고자 했던 기록이다. 종래 유교주의 사관과 식민주의 사관의 한국사 왜곡을 바로잡고 이들의 역사인식과 연구방법을 극복하고자 한국 고대사를 민족주의 사관에 바탕하여 쓴 저작이다.
신채호는 《조선상고사》에서 사대주의 노예근성에서 한민족 역사를 무시하고, 성패와 흥망으로 낫고 못함을 가리며 유교적 윤리관에 근거하여 남의 잘잘못을 평가하는 과거 관점에서 벗어나고자 하였다. 또한 이 책에서 유교주의 역사관에서 명분을 앞세워, 자랑할 만한 우리 역사 사실을 말살했던 잘못을 신랄하게 비판하고 있으며, 새 왕조가 등장할 때마다 자신들의 혁명을 정당한 것으로 만들기 위해 이전 왕조의 사료들을 없애버리고, 왜곡․날조하여 사실을 사실대로 알지 못하게 뒤죽박죽을 만들어 놓았음을 통탄하고 있다. 이는 고려시대《삼국사기》와 조선시대《조선왕조실록》기록에서 찾아볼 수 있다.
망국의 한을 안고 민족중흥을 부르짖다!
신채호는 이 책에서 단군→기자→위만→삼국으로 계승된다는 기존 인식체계를 거부하고 대단군조선과 3조선, 부여와 고구려 중심 인식체계를 내세웠다. 《조선상고사》는 단군시대로부터 백제 멸망과 그 부흥운동까지 다루고 있다. 제1편 총론, 제2편 단군신앙 시대, 제3편 삼조선(三朝鮮)분립 시대, 제4편 열국쟁웅 시대, 제5편 고구려 전성시대, 제6편 고구려 쇠퇴 징조와 북부여 멸망, 제7편 고구려․백제 충돌, 제8편 남방 국가의 대고구려 공수동맹, 제9편 삼국혈전 시작, 제10편 고구려와 수의 전쟁, 제11편 고구려와 당의 전쟁, 제12편 백제의 강성(强盛)과 신라의 음모 등 모두 12편으로 이루어져 있다.
《조선상고사》는 한민족과 고대국가의 독특한 기원과 변천과정을 체계적으로 서술하고 있으며, 아울러 민족내부 계급관계를 주목하고 변증법적 역사발전단계설 등 근대적인 역사연구 방법론을 제시함으로써 한국 역사학 수준을 끌어올린 역작으로 평가되고 있다.
《한국통사》! 피눈물로 얼룩진 통한 한국근대사!
한민족에게 가장 통한(痛恨)의 시대인 근대사!
《한국통사(韓國痛史)》는 독립운동가이자 역사학자, 대한민국임시정부 제2대 대통령을 지낸 백암 박은식(朴殷植)이 근대 역사학적 방법론에 따라 민족주체적 관점에서 한국 근대사를 정리한 근대 민족사학의 기념비적인 저작이다. 파란과 역경으로 얼룩진 시대의 변천상을 뚜렷한 민족의식에 따라 쓴 성찰과 반성의 글로서 1863년 고종 즉위와 흥선대원군 집권기부터 1911년 105인 사건이 일어날 때까지의 역사를 시대별로 정리하여 중요한 사건에는 지은이 의견을 덧붙이고 있다.
박은식은 《한국통사》머리말에서 한국의 정신을 보존하기 위해서 이 책을 짓는다고 말하고 있다. 그는 일제 침략과정을 온 세상에 폭로한다는 점에 초점을 맞추었기 때문에 한국 근세사를 서술하면서도 역사 사실을 중심으로 장(章)을 나누어 서술하고 있다. 또한 지은이 논평을 덧붙일 뿐만 아니라 하나의 사실(史實)이 일어나게 된 앞선 사실들을 말하면서 그 결과로 일어난 사실을 함께 서술하는 등 역사를 분석하고 비판하며 종합하는 근대 역사학의 방법론을 적용한 한국 최초의 저작이다. 또한 독립운동에 직접 참여한 박은식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썼기에 그의 역사관이 잘 반영되어 있다.
역사는 반드시 되풀이된다!
결코 되풀이되어서는 안 될 근대사를 돌아볼 때 ‘저 때 우리가 좀 더 일찍 깨치고 나라 힘을 키웠더라면?’하는 물음은 우리 스스로를 부끄럽게 만들 뿐이다. 조선 후기에 들어서면서 일본보다 앞서거나 적어도 앞설 수 있는 바탕을 마련할 수 있는 기회가 몇 번 있었지만 기득권 집권층의 무지와 무식으로 제대로 활용하지도 못했고, 그것이 그대로 통한의 한국근대사로 이어졌다.
박은식은 《한국통사》에서 러시아와 중국, 일본 등 강대국들이 세력균형을 통해서 서로 견제하면 한국도 유럽 약소국들처럼 독립할 수 있을 것이나, 어느 한 나라가 독점하고 잠식하게 되면 위험하게 될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 그때나 지금이나 한국이 처한 상황은 본질적으로 달라진 게 없으므로 ‘강대국간 상호 견제를 통해 한국 독립을 보장받아야 한다’는 박은식의 주장은 오늘날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두 나라로 나뉘어 끝없는 이념 갈등을 겪고 있는 우리에게 더욱 절실하게 다가온다.
중국 동북공정․이어도 도발!
일본 역사교과서 왜곡․독도 영유권 주장!
《조선상고사》와《한국통사》를 읽지 않고서는 중국의 동북공정(東北工程)과 이어도 도발 사건, 일본의 역사교과서 왜곡과 독도 영유권 주장 사건의 본질을 제대로 읽어낼 수가 없다. 세계 2대 초강대국 가운데 하나인 중국은 도광양회(韜光養晦)에서 시작하여 유소작위(有所作爲), 화평굴기(和平崛起)를 거쳐 최근에는 돌돌핍인(咄咄逼人)을 외치고 있다. 한편 일본은 메이지유신 때 탈아입구(脫亞入歐)를 외쳤다가 10년 전부터 탈구입아(脫歐入亞)를 준비하면서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일본이 아시아 여러 나라를 침략하며 내세운 대동아공영권(大東亞共榮圈) 구상과 본질적으로 다를 게 없는, 1950년대 후반에 주장했다가 미국의 반대와 아시아 국가들의 반일 정서 때문에 흐지부지되었던 동아시아 공동체 구상을 다시금 공공연히 떠들어대고 있다. 이 두 강대국 사이에 끼인 한국인들이 우리 과거사를 잊는다면 또 다시 100여 년 전 망국(亡國)의 전철(前轍)을 밟게 될 것이다.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 그래서 《조선상고사》와《한국통사》는 한국인이라면 반드시 읽어야 하는, 우리 민족 피눈물의 기록인 것이다.
작가 소개
박은식
황해도 황주에서 태어났다. 본관은 밀양, 호는 겸곡(謙谷)·백암(白巖)이며, 필명으로 무치생(無恥生)·태백광노·창해노방실(滄海老紡室)·백치(白痴)를 사용했다. 그는 한국 근대사상 격동기에 활동한 유학자, 근대 학교 운동의 선구자, 교육 사상가, 언론인, 역사가로서 애국계몽운동과 독립운동에 커다란 업적을 남겼다. 그리고 국내뿐만 아니라, 격동하는 중국으로 1911년 망명한 후 그곳에서 활발하게 활동했다.
어려서부터 주자학을 배우며 성장한 주자학자였으나, 변화와 다양한 사상을 접하면서 주자학 사상의 한계를 인식하고, 지행합일(知行合一)의 양명학(陽明學)으로 학문적 전환을 결단했다. 그는 이러한 사상적 변화와 함께 1898년 <황성신문>의 주필이 되었으며 독립협회에도 가입해 활동했다. 그 후 경학원 강사, 한성사범학교 교관을 역임하면서 교육 개혁에 관한 글을 쓰고, 1904년 ≪학규신론(學規新論)≫을 간행했다. 1905년 일제가 한국을 강제로 보호국으로 만들자 <대한매일신보>의 주필로서 이를 비판했다. 그는 이후 복간된 <황성신문>에서 일제의 침략을 고발하는 항일 언론 활동을 1910년 폐간될 때까지 펼쳤다. 또한 1906년 교육계몽단체인 서우·서북학회의 기관지인 <서우>·<서북학회월보>의 주필로 논설을 써서 계몽 활동에 진력하고, 서우사범학교·오성학교·서북협성학교 교장으로서 교육에 힘썼다.
1909년 <유교구신론(儒敎求新論)>을 발표해 유교 개혁을 주장했다. 이어 장지연(張志淵) 등과 함께 대동교(大同敎)를 창건해 유교 개혁 운동을 전개했다. 1910년에는 양명학 보급을 위해 ≪왕양명실기(王陽明實記)≫를 간행하고, 한문교과서 ≪고등한문독본≫을 저술했다. 병합 후에는 독립운동과 국혼이 담긴 역사서의 집필을 위해 1911년 중국으로 망명했다. 만주의 환인현(桓仁縣)에 있는 윤세복(尹世復)의 집에 1년간 머물면서 저술에 집중했고, 대종교(大倧敎) 신도인 그의 영향으로 대종교에 입교했다. 이때 ≪동명성왕실기(東明聖王實記)≫, ≪발해태조건국지(渤海太祖建國誌)≫, ≪몽배금태조(夢拜金太祖)≫, ≪명림답부전(明臨答夫傳)≫, ≪천개소문전(泉蓋蘇文傳)≫, ≪대동고대사론(大東古代史論)≫을 집필했다.
1912년 상해로 가서 신규식(申圭植) 등과 함께 동제사(同濟社)를 조직하고, 동포들의 자녀 교육을 위해 박달학원(博達學院)을 설립했다. 1914년에는 홍콩으로 가서 중국어잡지 <향강(香江)>의 주간이 되었다. 이 시기에 강유위(康有爲)·양계초(梁啓超)·당소의(唐紹儀)를 비롯한 중국혁명동지회 인물들과 친교를 맺었다. ≪안중근전(安重根傳)≫을 저술하고, 망명 후 꾸준히 집필하던 ≪한국통사≫를 간행했다. 상해에서 이상설(李相卨), 신규식, 유동열(柳東說) 등과 함께 신한혁명당(新韓革命黨)을 조직해 감독으로 선임되었다. 또 신규식 등과 함께 대동보국단(大同輔國團)을 조직해 단장으로 추대되기도 했다. 이후 한국인촌의 여러 학교를 순회하면서 한국 역사에 대한 강연으로 독립사상을 고취했다. 또 ≪발해사(渤海史)≫와 ≪금사(金史)≫를 한글로 번역하고, ≪이준전(李儁傳)≫을 저술했다.
1919년 3·1운동을 블라디보스토크에서 맞았다. 이때는 대한국민노인동맹단을 조직해서 활동했다. 1919년 8월 상해로 가서 임시정부, 블라디보스토크의 대한국민의회 정부, 서울 한성정부의 통합에 의한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수립을 지원했다. 임시정부의 기관지인 <독립신문>의 사장이 되었으며, 대한교육회 회장으로 선출되었다. 동시에 ≪한국독립운동지혈사≫의 집필을 시작해 1920년 12월에 간행했다. 이후 ‘건국사’를 쓰고야 말겠다는 각오는 뜻을 이루지 못했다. 1924년 대한민국임시정부 제2대 대통령에 추대되었으나 이듬해 11월 1일 서거했다.
목 차
조선상고사
제1편 총론
제1장 역사의 정의와 조선사의 범위 … 13
제2장 역사의 3대원소와 옛 조선사 결점 … 17
제3장 옛 조선의 종류와 그 득실 약평 … 21
제4장 사료 수집과 선택 … 30
제5장 역사 개조에 대한 우견(愚見) … 43
제2편 ‘수두〔단군신앙〕’ 시대
제1장 고대 총론 … 63
제2장 단군왕검의 건국 … 66
제3장 수두 홍포(弘布)와 문화 발달 … 71
제3편 삼조선(三朝鮮) 분립시대
제1장 삼조선 총론 … 83
제2장 삼조선 분립 그 뒤 신조선 … 89
제3장 삼조선 분립 그 뒤 불조선 … 93
제4장 삼조선 분립 그 뒤 말조선 … 96
제5장 삼조선 붕괴 원인과 결과 … 102
제4편 열국쟁웅시대
제1장 열국 총론 … 107
제2장 열국 분립 … 111
제3장 한무제 침략 … 126
제4장 계립령 이남 두 새 나라 … 137
제5편 고구려 전성시대
제1장 기원 1세기 초 고구려의 국력 발전과 그 원인 … 147
제2장 태조‧차대 두 대왕 문치 … 155
제3장 태조‧차대 두 대왕의 한족 축출과 옛 땅 회복 … 162
제4장 차대왕의 왕위 빼앗음 … 165
제5장 차대왕의 피살과 명림답부의 전권 … 169
제6장 을파소(乙巴素)의 업적 … 174
제6편 고구려의 쇠퇴 징조와 북부여의 멸망
제1장 고구려와 중국의 싸움, 고구려의 패전 … 179
제2장 고구려와 선비의 싸움 … 187
제7편 고구려‧백제 두 나라의 충돌
제1장 고구려‧백제 두 나라 관계의 유래 … 201
제2장 근구수왕(近仇首王)의 영무(英武)와 고구려의 쭈그러짐(附: 백제의
해외 정벌) … 203
제3장 광개토대왕의 북진정책과 선비 정복 … 208
제4장 장수태왕의 남진정책과 백제 천도 … 214
제8편 남방 여러 나라의 대고구려 공수동맹
제1장 네 나라 연합군과의 싸움과 고구려의 퇴각 … 221
제2장 백제의 위(魏) 침입 격퇴와 해외 식민지 획득 … 225
제9편 삼국 혈전의 시작
제1장 신라의 발흥 … 231
제2장 조령‧죽령 이북 10고을 쟁탈 … 240
제3장 동서전쟁(同婿戰爭) … 255
제10편 고구려와 수의 전쟁
제1장 임유관(臨渝關) 싸움 … 267
제2장 살수 싸움 … 272
제3장 오열홀‧회원진 두 싸움과 수 멸망 … 281
제11편 고구려와 당의 전쟁
제1장 연개소문의 서유(西遊)와 그 혁명 … 287
제2장 요수 싸움 … 302
제3장 안시성 싸움 … 303
제12편 백제의 강성(强盛)과 신라의 음모
제1장 부여성충의 위대한 계략과 백제의 영토 개척 … 329
제2장 김춘추의 외교와 김유신의 음모 … 337
제3장 부여성충의 자살 … 344
제4장 나‧당 연합군 침입과 백제 의자왕 사로잡힘 … 347
제5장 백제 의병 봉기 … 354
제6장 고구려의 당군 격퇴와 백제 의병의 전성 … 358
제7장 부여복신의 죽음과 고구려 내란 … 363
한국통사
서언(緖言) … 371
제1편… 375
1. 지리의 대강/2. 역사의 대개(大槪)
제2편… 379
1. 대원군(大院君) 섭정(攝政)/2. 경복궁 중건(重建)/3. 서원 철폐/4. 조세 정책 개혁/5. 국방에 대한 관심과 풍속 교정/6. 천주교 금지 및 신도 학살/7. 프랑스군 대파/8. 미국 군함 격퇴/9. 일본과의 교섭/10. 대원군의 환정(還政)/11. 일본과의 첫 번째 조약/12. 청국의 우리나라 자주외교 인정/13. 일본인과의 통상 및 토지 조차(租借)/14. 임오년 군졸의 난/15. 청국병 도래와 일본병 퇴각/16. 일본인의 요구 해결/17. 중국과 일본의 군대 주둔/18. 유럽과 미국 등 열강과의 수호통상/19. 갑신년 개혁당(改革黨)의 난/20. 일본사신의 5개 조항 요구/21. 청국과 일본의 톈진조약/22. 러시아 세력의 확대/23. 대원군의 환국(還國)/24. 황두 배상사건/25. 극에 달한 내정 부패/26. 갑오년 동학란/27. 구원병 요청의 전말/28. 일본군 입성/29. 일본사신의 폐현(陛見)과 상주(上奏) 및 기타 상황/30. 원세개 귀국/31. 일본군의 궁궐 침범/32. 청일 교섭/33. 청일 개전(開戰)/34. 우리나라 개혁의 신정치/35. 잠정합동 및 공수동맹/36. 청국과 일본 평양대전(大戰)/37. 청국과 일본 황해격전(激戰)/38. 일본군 청국 내지(內地) 침입 전황/39. 청‧일 시모노세키조약(下關條約)/40. 삼국 간섭과 요동 반환/41. 열강의 청국 군항 분할/42. 오토리 이임과 이노우에 공사 부임/43. 박영효의 재차 망명/44. 을미년의 차관조약/45. 일본인의 국모 시해/46. 왕후 폐위 및 복위/47. 지방 의병/48. 러시아 공사관으로의 이필과 김홍집 살해/49. 러시아 세력 확장과 열강 이권 침탈/50. 러시아와 일본의 협약/51. 외국인의 철도부설권 침탈
제3편… 470
1. 대한제국(大韓帝國) 성립/2. 재정 고문의 문제/3. 일본과 러시아의 3차 협약/4. 일본인의 광산 찬탈/5. 일본인의 어업 및 포경권 침탈/6. 일본인의 개성인삼 약탈/7. 울릉도‧장고도‧월미도‧고하도‧온양 온천 등의 각 사건/8. 제일은행권 강제 발행/9. 제2차 영‧일동맹 및 러시아와 프랑스의 협약/10. 한국과 만주 문제에 대한 일본과 러시아 교섭/11. 일본의 러시아 함대 습격/12. 일본과 러시아의 선전포고/13. 일본군 한성 입성과 의정6조(한일의정서) 체결/14. 이토의 대사 부임/15. 일본의 한국 통신기관 강점/16. 일본 선박의 자유 항행/17. 일본인의 황무지 개간 요구/18. 삼림벌채 및 포대건축, 휼금(恤金), 포사(庖肆)사건/19. 일본군‧관리의 북한 지역에서의 횡포/20. 일본 헌병의 경찰 업무 대리/21. 일본 헌병의 한인 집회 금지/22. 일본인의 찬정(贊政) 최익현 구속/23. 각 부 일본인 고문/24. 일본인의 우리 군대 감축/25. 군용지 강점, 군수물자 강요, 군용 일꾼 강제 모집/26. 한국 땅에서의 일본과 러시아의 전투/27. 일본과 러시아의 뤼순전투/28. 일본과 러시아의 요동 각지에서의 전투/29. 일본과 러시아의 해전(海戰)/30. 제2차 영‧일동맹의 개정/31. 일본과 러시아 강화조약/32. 주영 서리공사 이한응 자결/33. 한국 선비들이 일본 왕에게 소(疏)을 올림/34. 특파대사 이토 내한/35. 이토의 보호조약 강제 체결/36. <황성신문> 봉쇄와 사장 구속/37. 매국을 성토한 상소들/38. 시종무관장 민영환, 원임 의정대신 조병세, 참판 홍만식, 경영관 송병선, 학부주사 이상철, 평양징상병 김봉학 등의 자결 순국/39. 중국지사 반종례의 도해 자결/40. 반대 세력 투옥/41. 찬정 최익현의 전국 사민에 고하는 격문 발표/42. 일본인의 한국 황제 감제(監制)/43. 일본의 진해‧영흥만 점령 및 북간도 문제와 일본 차관 등/44. 일본공사의 옥탑 도취(盜取)와 일본군의 석비 절취(竊取)/45. 동양척식회사/46. 헤이그 만국평화회의에 밀사 파견/47. 이토의 고종 양위 협박/48. 정미7조약 성립/49. 군대 해산과 참령 박승환(朴勝煥) 순국/50. 원주진위대 정교 민긍호의 거의(擧義)/51. 일본인의 학대 개황(槪況)/52. 한국인 교육 말살/53. 한국인 산업의 억압/54. 장인환, 전명운의 미국인 스티븐스 살해/55. 소네의 통감 취임과 이토의 육군, 사법 양부 폐지/56. 안중근 의사의 이토 저격/57. 이재명의 이완용 살해 미수/58. 일본의 한국 병합/59. 안명근의 데라우치 살해 미수/60. 일본인의 교회 속박/61. 120명 무더기 투옥
결론 … 559
한국통사 후서(後序) … 562
한국통사 발(跋) … 564
《조선상고사》와 《한국통사》에 대하여
신채호와 《조선상고사》 … 569
박은식과 《한국통사》 … 583
신채호 연보 … 595
박은식 연보 … 598
역자 소개
- 단순 변심인 경우 : 상품 수령 후 7일 이내 신청
- 상품 불량/오배송인 경우 : 상품 수령 후 3개월 이내, 혹은 그 사실을 알게 된 이후 30일 이내 반품 신청 가능
반품사유 | 반품 배송비 부담자 |
---|---|
단순변심 | 고객 부담이며, 최초 배송비를 포함해 왕복 배송비가 발생합니다. 또한, 도서/산간지역이거나 설치 상품을 반품하는 경우에는 배송비가 추가될 수 있습니다. |
고객 부담이 아닙니다. |
진행 상태 | 결제완료 | 상품준비중 | 배송지시/배송중/배송완료 |
---|---|---|---|
어떤 상태 | 주문 내역 확인 전 | 상품 발송 준비 중 | 상품이 택배사로 이미 발송 됨 |
환불 | 즉시환불 | 구매취소 의사전달 → 발송중지 → 환불 | 반품회수 → 반품상품 확인 → 환불 |
- 결제완료 또는 배송상품은 1:1 문의에 취소신청해 주셔야 합니다.
- 특정 상품의 경우 취소 수수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결제수단 | 환불시점 | 환불방법 |
---|---|---|
신용카드 | 취소완료 후, 3~5일 내 카드사 승인취소(영업일 기준) | 신용카드 승인취소 |
계좌이체 |
실시간 계좌이체 또는 무통장입금 취소완료 후, 입력하신 환불계좌로 1~2일 내 환불금액 입금(영업일 기준) |
계좌입금 |
휴대폰 결제 |
당일 구매내역 취소시 취소 완료 후, 6시간 이내 승인취소 전월 구매내역 취소시 취소 완료 후, 1~2일 내 환불계좌로 입금(영업일 기준) |
당일취소 : 휴대폰 결제 승인취소 익월취소 : 계좌입금 |
포인트 | 취소 완료 후, 당일 포인트 적립 | 환불 포인트 적립 |
- 단순변심으로 인한 반품 시, 배송 완료 후 7일이 지나면 취소/반품 신청이 접수되지 않습니다.
- 주문/제작 상품의 경우, 상품의 제작이 이미 진행된 경우에는 취소가 불가합니다.
- 구성품을 분실하였거나 취급 부주의로 인한 파손/고장/오염된 경우에는 취소/반품이 제한됩니다.
- 제조사의 사정 (신모델 출시 등) 및 부품 가격변동 등에 의해 가격이 변동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반품 및 가격보상은 불가합니다.
- 뷰티 상품 이용 시 트러블(알러지, 붉은 반점, 가려움, 따가움)이 발생하는 경우 진료 확인서 및 소견서 등을 증빙하면 환불이 가능하지만 이 경우, 제반 비용은 고객님께서 부담하셔야 합니다.
- 각 상품별로 아래와 같은 사유로 취소/반품이 제한 될 수 있습니다.
상품군 | 취소/반품 불가사유 |
---|---|
의류/잡화/수입명품 | 상품의 택(TAG) 제거/라벨 및 상품 훼손으로 상품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된 경우 |
계절상품/식품/화장품 | 고객님의 사용, 시간경과, 일부 소비에 의하여 상품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
가전/설치상품 | 전자제품 특성 상, 정품 스티커가 제거되었거나 설치 또는 사용 이후에 단순변심인 경우, 액정화면이 부착된 상품의 전원을 켠 경우 (상품불량으로 인한 교환/반품은 AS센터의 불량 판정을 받아야 합니다.) |
자동차용품 | 상품을 개봉하여 장착한 이후 단순변심의 경우 |
CD/DVD/GAME/BOOK등 | 복제가 가능한 상품의 포장 등을 훼손한 경우 |
상품의 시리얼 넘버 유출로 내장된 소프트웨어의 가치가 감소한 경우 | |
노트북, 테스크탑 PC 등 | 홀로그램 등을 분리, 분실, 훼손하여 상품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하여 재판매가 불가할 경우 |